이 기사는 2022년 05월 23일 07:37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시장가격 혹은 실적이 실체나 실익 대비 지나치게 많이 오른 경우를 '거품'이라고 부른다. 우리는 그동안 IT버블, 부동산 버블, 벤처버블 등 수많은 거품을 경험해 왔다.거품론이 실제로 적중하며 시장 붕괴를 목도한 적도 있지만 또 어떤 경우엔 해프닝으로 끝나기도 했다. 거품론이 옳고 그른 지를 따지려면 결국 밸류에이션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느냐의 문제로 귀결된다.
밸류에이션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한 제약바이오 시장에 늘 거품론이 꼬리표처럼 따르는 건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최근 실적 대박을 친 진단기업들은 거품론이 다소 억울하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대형 제약 바이오 기업들이 단 한번도 벌어들인 적 없는 3조원의 매출을 먼저 달성했지만 그 누구도 진단기업들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지 않는다. 코로나가 한창 극성일 때 주가가 기존 대비 10배 이상 올랐다가 다시 고꾸라져 제자리를 맴돈다.
매출 폭증의 배경인 코로나가 종식되면 실적이 다시 원래대로 돌아갈 것이란 분석은 합리적으로 들린다. 진단업종은 수십년간 제약바이오 시장 내 돈 안되는 변두리 아이템으로 치부됐다는 점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정말 진단기업들의 실적은 거품일까. 1분기 실적을 보자. 방역지침이 느슨해지고 코로나에 대한 불안감이 완화됐음에도 에스디바이오센서·씨젠·엑세스바이오 등 중상위 진단기업들은 사상 최대 실적을 발표했다.
코로나에 대한 의견은 전문가들마다 다르지만 종식보다는 풍토병으로 자리할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다. 변종 바이러스가 출연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미국에선 코로나 확진자가 또 늘었고 병원 및 연구소, 정부기관은 진단키트를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나섰다. 진단수요가 미미하지만 꾸준할 수 있다는 의미다.
실적을 논외로 보더라도 진단기업이 코로나 팬데믹으로 쌓은 자산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1분기 현금성자산 기준으로 에스디바이오센서 1조2000억원, 씨젠 5900억원, 엑세스바이오 7000억원이다. 중소 진단기업들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키트 및 시약을 만드는 데 큰 비용이 소요되지 않는 덕에 우수한 수익성을 자랑한다.
보유현금을 무기로 성장 동력 발굴에도 한창이다. 앞다퉈 투자전열을 갖추고 있고 또 상당한 자금을 국내외 바이오 투자에 집행하고 있다. 주변인일 뿐이던 진단기업들이 제약바이오 시장 '큰 손'이 됐다.
코로나는 진단기업들의 역량이 빛을 발한 하나의 계기일 뿐이다. 당장 실적은 다소 주저앉을 수 있지만 진단이 제약바이오 시장의 주요아이템으로 가능성을 증명했다는 건 주목해야 한다. 다양한 바이오벤처와의 협업도 기대할 부분이 있다. 오히려 이제 막 성장을 위해 달릴 출발선 앞에 섰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지금은 누가 어떻게 어떤 성장을 이룰 지 관심있게 지켜볼 때가 아닐까 싶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 모니터]'AC 1호' 상장 도전 블루포인트파트너스 결국 '철회'
- 저스템, 플람 인수한다…저온 플라즈마 신사업 장착
- [유명무실 회사채 수요예측]편법 논란 종지부찍나…금투협, 모범규준 손본다
- [이사회 모니터]DB금융투자, '관 출신' 선호...전군표 전 국세청장 영입
- [증권사 IB, 유상증자 비즈니스 전략]NH증권, 하이브 '투트랙 전략' 확실하게 통했다
- [이사회 모니터]키움증권, '법률 담당' 사외이사로 김앤장 박성수 변호사 낙점
- [IPO 모니터]'공모 임박' 토마토시스템, 공모가격 올릴까
- [IPO 모니터]LS MnM, 상장 시동 건다…전담인력 충원
- [IPO 모니터]코어라인소프트, AI 열풍에 상장 '순항'
- [IPO 모니터]대체식품 선두주자 인테이크, 상장준비 '이상 무'
최은진 제약바이오부 차장의 다른 기사 보기
-
- 에이비엘바이오, 단돈 100만원 출자 '美법인' 39억 대여금
- 삼성바이오로직스, 이자 '3배' 내년까지 1조 갚는다
- R&D로 돈 번 에이비엘바이오, 신규 투자처 '강남빌딩'
- [제약바이오 ESG 트래커]존림의 무기 ESG…환경 민감한 CMO, 'E' 집중전략
- [제약바이오 ESG 트래커]'글로벌 기업' 브랜딩 전략, 눈높이 못따라간 해외평가
- 경영시스템 손보는 HK이노엔, 핵심은 'ESG·임원혜택'
- [CFO 워치/SK바이오사이언스]엔데믹 이길 '투자' 새 리더십으로…지주사 CFO 낙점
- 메디톡스와 전면전, '인력·재원' 대웅제약으로 일원화
- [제약바이오 ESG 트래커]창업주 정신을 '시스템'으로…뉴 리더 슬로건 된 'ESG'
- [이사회 모니터/SK바이오사이언스]코로나 엔데믹 '새판짜기'…모기업 감시체제 굳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