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그룹 원자력 리부트]해외원전 시장 '기지개'...원전 생태계 살아나나②윤석열 정부 원전 복원 의지에 '수주 경쟁력' 제고
김서영 기자공개 2022-07-19 08:07:30
[편집자주]
두산그룹의 원자력 사업이 최근 새 국면을 맞았다. 올해 5월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면서 전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백지화' 됐다. 유럽연합(EU)에서는 원자력 발전을 친환경 사업으로 보고 그린 택소노미에 포함시켰다. 때마침 두산그룹도 채권단 관리 체제에서 벗어나면서 원전 사업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됐다. 더벨이 두산그룹의 원자력 사업 '재시동(reboot)' 행보를 살펴봤다.
이 기사는 2022년 07월 15일 08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해외 원전 시장이 기지개를 켜면서 두산에너빌리티(옛 두산중공업)에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원자력 산업이 친환경 발전 방식으로 꼽히며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이 연이어 원전 확대 정책을 내놓고 있다. 윤석열 정부도 원전 복원 의지를 강하게 내비치며 수주 경쟁력도 높아졌다는 분석이다.◇'그린 택소노미' 계기, 주요국 원전 정책 확대 '도미노'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원자력 사업이 재조명을 받고 있다. 유럽연합(EU)이 이른바 '그린 택소노미(Taxonomy)', 즉 녹색분류체계에 원자력 발전을 포함시킬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유럽 각국을 비롯해 미국, 아시아 국가들에서 원전 확대 정책이 속속 발표되고 있다. 올해 5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프랑스도 원전에 대한 태도가 변했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전 확대에 소극적이었으나 최근 원전 활성화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신규 원자로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6기에 대한 신규 건설 및 8기 건설 가능성까지 타진한다. 또한 안전이 보장될 때에만 한해 노후원전 수명을 연장할 방침이다.
미국 역시 EU와 같은 행보를 보였다. 원전을 친환경 에너지로 분류한 것이다. 에너지부에서 60억달러 규모의 원자력 발전소 운영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특히 차세대 원자로 기술과 소형모듈원자로(SMR·Small Modular Reactor) 개발에 초점이 맞춰졌다. 앞으로 7년간 약 3조6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확정한 상태다.
서구 선진국이 주도권을 잡고 있는 원전 시장에서 아시아 국가들의 원전 확대 정책이 눈길을 끈다. 중국은 15년간 원전 150기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4400억달러에 육박하는 규모다. 일본은 2030년까지 기존 6% 수준이었던 원전 비율을 전체 발전량의 20% 수준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두산에너빌리티, '팀 코리아' 서포트...원전 생태계 회복 '기대'
해외 주요 국가들이 연이어 원전 확대 정책을 내놓고 있는 가운데 원전 주기기를 생산하는 두산에너빌리티에 더할 나위 없는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대형 원전 수출 프로세스는 한국전력공사(한전)와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주체가 돼 수주 계약을 체결하면 협력사인 두산에너빌리티가 여기에 주기기를 납품하는 구조다. 대형 원전 수요가 증가하면 납품 물량도 증가하게 되는 구조다.
대형 원전 수출 정책에 문재인 정부와 윤석열 정부 사이의 차이는 거의 없다는 게 원전업계 중론이다. 다만 문 정부는 국내는 탈원전 정책을 펼치는 대신 원전 수출 강화 기조를 펼쳤다. 반면 윤 정부는 국내외 전방위로 원전 사업을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다. 한 마디로 바뀐 것은 국내 원전 사업 기조다.
이를 두고 원전업계 관계자는 "문재인 정부에서는 국내외 상반된 원전 기조를 보인 탓에 원전을 발주처로부터 '왜 자국에서 멈춘 원전을 해외로 수출하려 하냐'고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며 "윤석열 정부에서는 일관된 기조를 보여 대형 원전 수출 전략에서 정당성을 획득한 셈"이라고 분석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한전과 한수원의 1차 벤더로서 독자적인 해외 원전 전략을 세울 순 없다. 다만 이들의 수주 정책에 적극 동참하게 된다. 원전 수주 경쟁입찰에서는 보통 프랑스와 미국, 한국이 3파전을 벌인다. 두산에너빌리티는 한전, 한수원과 손잡고 경쟁입찰에서 납품가 조정에 적극 협조하고, 원전 기술을 해외 발주처에 설명하는 등 '팀 코리아'로서 돕겠다는 입장이다.
대형 원전 수출이 확대되면 두산에너빌리티에 납품하는 2차 벤더들도 '낙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탈원전 정책 이후 크게 축소됐던 국내 원전 생태계가 활기를 되찾을 것이란 예상이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과 이영 중기부 장관은 지난달 22일 원전산업 협력업체 간담회에서 원전 생태계 지원방안과 관련 중소기업 금융 지원방안을 약속했다.
아울러 두산에너빌리티는 협력사 일감지원을 위해 신한울 3·4호기 재개 시 제작 물량을 조기 발주하고, 선금 지급을 통해 사업 정상화를 돕겠다고 밝혔다. 5년 이상 장기공급계약 제도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또 현재 240억원의 동반성장펀드 규모를 840억원 수준으로 늘리는 금융지원책을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디벨로퍼 리포트]외형 키우는 신세계프라퍼티, 투자 더 늘린다
- [떠오르는 모듈러 건축]삼성물산, 사우디 네옴시티에 'OSC 기술' 활용
- [건설리포트]제일건설, 안정적 실적 속 재무비율 개선 '뚜렷'
- [Company Watch]HL디앤아이한라 미국법인, 조지아공장 증축 '매출 기여'
- [건설사 미수금 모니터]동부건설, 역촌1구역 협상 타결…공사비 회수 '원활'
- [떠오르는 모듈러 건축]자연과환경, 전문 자회사 출범…사업 확장 드라이브
- [Company Watch]'모듈러 자회사' 코오롱이앤씨, 매출 400억 돌파 '질주'
- [건설사 미수금 모니터]코오롱글로벌, 공사비 회수 '이상 무'
- [건설사 미수금 모니터]HL디앤아이한라, 지방주택 현장 공사비 회수 '착착'
- [건설리포트]동문건설, 수주목표 '1.2조' 실적 반등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