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2년 08월 02일 07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 박세창 금호건설 사장이 물려받을 그룹은 한때 재계 10위권 안에 들기도 했다. 굴지의 항공그룹과 대우건설 등 톱티어급 대형 건설사를 갖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3년 사이 그룹 총수이자 부친인 전 회장은 불명예 퇴진했고 그룹은 재계 60위권으로 밀려났다.십수년 전부터 장래가 촉망되는 젊은 후계자로 지목되며 재계의 집중 관심을 받았지만 40대 후반의 나이가 될 때까지 그는 아직 경영 전면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능력보다도 선대의 욕심, 가족간의 불화로 적기에 전면에 서지 못한 탓이다. 재계에선 그를 '비운의 황태자'라 칭한다.
# 이규호 코오롱글로벌 부사장이 물려받을 그룹은 재계 50위권이다. IMF 이후 사세가 크게 기운 뒤 최근 20년간 줄곧 40~50위권에 머물렀기에 후계자에 대한 관심도도 그만큼 덜했다. 이렇게 빠른 경영 데뷔를 예상한 이 역시 많지 않았다.
그동안 후계자는 그룹 주요 계열사들을 거치며 빠르게 트레이닝을 받았다. 그의 데뷔 무대는 안정적인 매출을 기반으로 신사업까지 도모할 수 있는 신설분할 회사다. 경영자로 본격 데뷔한 그의 올해 나이는 만 37세다. 비교적 이른 시기이나 그룹내 후계자 교육이나 또 다른 여러 면을 볼 때 적당한 시점에 무대에 세웠다는 평가가 나온다.
재벌그룹 후계자들에 대한 이야기는 언제나 세간의 입에 비중있게 오르내리는 스테디셀러다. 특히 동종업계 내 비슷한 규모 기업의 후계자들이 비교대상으로 동시에 거론될 때 관심도는 더 높아진다.
박세창 사장과 이규호 부사장이 속해있는 금호건설과 코오롱글로벌의 올해 시평순위는 각각 15위, 16위로 붙어있다. 두 후계자 모두 현재 그룹 총수의 장남이다. 그 덕분에 일찍부터 경영 분쟁 여지가 없는 확고한 후계자로 지목된 인물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경영 수업도 일찌감치 받았고 주요 계열사들 요직을 두루 거치며 실전 모의고사도 마쳤다. 경영자로서의 전면 데뷔를 눈 앞에 두고 있었다는 점에서도 비슷했다.
차이점도 있다. 한 쪽 그룹은 쇠락기를 거치고 있는 중이고 다른 한 쪽은 사세 팽창기에 있다는 점이다. 결국 이 차이가 후계자의 경영자 데뷔 시점까지 엇갈리게 했다. 권토중래를 기약해야하는 금호그룹 입장에선 박세창 사장을 섣불리 경영 전면에 내놓기 조심스럽다. 그룹 자산의 과반을 떼어낸 뒤 마지막 남은 금호건설 마저 실패한다면 재도약의 기반을 완전히 잃어버리는 꼴이기 때문이다. 여러모로 적기를 놓친 모양새다.
팽창기에 있는 코오롱그룹은 후계자의 경영 데뷔에 모험을 걸어볼 수 있는 상황이다. 이 부사장이 실패를 한다해도 그룹 전체의 존망이 달려있는 정도는 아니다. 재계와 여론의 관심도도 그 어느 때보다 높아져 있다. 그가 역량만 입증한다면 코오롱그룹은 일찌감치 명분과 실리, 타이밍을 모두 챙긴 경영 승계를 마무리지을 수 있다.
두 후계자의 엇갈린 처지를 놓고 '얄궂은 운명의 장난'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이들 행보가 그룹의 흥망성쇠에 따라 극명하게 갈리는 모습이라 더 그렇다. 다른 기업도 유념해볼만한 일 아닐까. 이들의 대비되는 현실은 기업이 승계의 무대를 얼마나 적기에 얼마나 그럴듯하게 꾸려주느냐의 중요성을 잘 보여주는 사례인 듯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성상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신성이엔지, 새만금 수상태양광 발전사업 협약
- [i-point]이엠앤아이 "슈뢰딩거 AI 플랫폼 판매 확대 기대"
- [지배구조 분석]원일티엔아이 지분 절반씩 가져간 두 아들, 이정빈 대표 ‘캐스팅 보트’
- [i-point]아이씨티케이, PQC 보안 솔루션 3종 출시
- [Company Watch]‘동물실험 폐지 수혜’ 바이오솔루션, 국내 유일 ‘국제 인증’
- [Company Watch]회생 딛고 올라선 원일티엔아이, 10년간 알짜 이익
- [Red & Blue]'삼성전자 파트너' 미래반도체, 관세 유예 소식에 '활짝'
- [i-point]해성옵틱스, 삼성전기 ‘2025 상생협력데이’ 품질혁신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