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기업의 변신]크고작은 조직개편...'체질 개선' 성공할까③SK·삼성 출신 등 외부 인사 영입 박차
이호준 기자공개 2022-08-31 07:43:30
[편집자주]
유진기업은 '자타공인' 국내 레미콘 업계 선두주자다. 2010년대 들어 삼표산업이 치고 올라오며 업계 1위를 두고 엎치락뒤치락 하고 있지만 계열사 ㈜동양과의 시장 점유율을 합치면 여전히 1위 지위를 지키고 있다. 다만 유진기업도 수익성 확보라는 레미콘 업계의 공통 고민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성숙기에 접어든 레미콘 사업 대신 새로운 수익 모델을 발굴, 변신의 과정을 거치고 있는 유진기업의 상황을 더벨이 들여다본다.
이 기사는 2022년 08월 29일 08시1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유진기업이 방향성을 건자재 플랫폼 기업에 맞추면서 회사의 조직 재편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는 대체로 B2B 건자재 유통을 고도화시키거나 미래 성장 전략 수립과 관련이 있는 부서 신설에 초점이 있다는 분석이다.최근 들어 외부 인물을 대거 수혈하고 있다. 예컨대 SK수펙스 추구협의회 출신부터 삼성그룹 M&A 전략 담당까지 끌어모으며 기존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사무국 조직 세분화하고 신사업팀 만들고
유진기업의 최대 관심사는 사업 확장이다. 지속 성장을 위해 본업인 레미콘에서 각종 건자재 유통, 인테리어 사업 등으로 보폭을 넓히기로 결정한 만큼 혁신 동력을 만들어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이 때문에 조직 개편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1년 사이 기존 B2B 건자재 유통 사업을 고도화하는 조직을 전면에 내세우는 동시에 전사적인 신성장 전략을 책임지는 팀을 신설하고 조직을 세분화하기도 했다.
2020년 12월로 시계를 돌려보면 얘기가 더욱 쉽다. 유진기업 내 전략 부서는 주로 본업인 레미콘과 관련이 있었다. 부실채권회수TFT 등 리스크 관리를 위한 조직도 있었지만 기술연구소를 비롯해 영업·관리·재경·인사·법무 등이 대부분이었다.
지난해부터 상황은 달라졌다. 일단 전사적인 경영 전략을 짜는 사무국 조직이 세분화됐다. 기존에는 인사·법무만 있던 조직에 전략·기획·M&A 팀이 생겼다. 해당 조직은 건자재 유통 사업의 고도화부터 그룹 포트폴리오 관리 등의 실무를 맡는다.
계열사 간의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한 팀도 만들어졌다. 신사업팀을 만들고 레미콘 계열사 ㈜동양과 협업을 진행 중이다. 신사업팀은 부지개발 등 유진그룹의 자산 개발을 책임지고 있다.
이밖에도 IT 이노베이션 팀 신설 등 신규 사업 발굴을 위한 크고 작은 조직 재편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유진기업 관계자는 "최근 들어 부서가 만들어지고 이름도 바뀌는 등 회사 내에 여러 변화가 생기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활발한 외부 인사 영입, 역할 주목
외부 인사 영입도 눈길을 끈다. 유진기업은 최근 성완진 전 SK수펙스 추구협의회 팀장을 사무국 전략기획 담당(상무)으로 영입했다. 성 상무는 2분기에 영입돼 지난달부터 업무를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다.
1974년생인 성 상무는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했고 와튼스쿨과 하버드 대학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행정고시 42회로 공직에 입문한 이후 보스턴컨설팅그룹(BCG), SK수펙스 추구협의회 글로벌 성장 지원 팀장을 역임했다.
SK수펙스 추구협의회에선 그룹의 글로벌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맡아 온 것으로 알려졌다. 유진기업 관계자는 "성 상무는 유진그룹의 미래 성장 전략을 수립하고 기존 주력 계열사의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하는 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작년엔 삼성증권 출신 김대성 이사를 영입, M&A 담당에 임명했다. 김 이사 역시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삼성증권 IB팀, 대체투자 팀, 삼성그룹 내 M&A TF팀 등에서 20년간 일한 인수합병(M&A) 전문가다.
실제로 굵직한 M&A들을 성사시켜왔다. 교보생명의 한국자산관리공사(KAMCO) 지분 매각, 한국자산관리공사의 대우건설 지분 매각, 삼성전자 메디슨 인수 등 회사 내외부를 가리지 않고 M&A 관련 실무를 맡아왔다.
유진기업에 들어온 이후에도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 지난해 유진저축은행 매각건과 태성시스템 인수건 등을 주도하며 그룹 포트폴리오 정리 작업을 이끌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이호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업계 재편 불붙나...현대제철, 동국제강과 현대IFC 매각 논의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동국산업, 세금부담 줄어든 지금이 '증여 적기'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운전자본 가중 동국산업, 현금흐름 개선 묘수있나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성장보단 생존 우선...동국산업, 올해 만기 도래 '2200억'
- [thebell note]장세욱의 싸움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동국산업, 손익 '엇박자'…영업흑자에도 순손실 300억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KG스틸, 그룹내 '유동성 창출' 중심 부상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무관세' 종료 美시장…KG스틸USA, 실적유지 가능할까
- 아주스틸, 420억 손상차손…PMI 통해 자산 재평가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