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경영분석]웰컴저축, 가계대출 영업 부진…비용효율화 노력상반기 순익 지난해 대비 26.59% 감소…업계 3위 유지
이기욱 기자공개 2022-09-08 07:37:48
이 기사는 2022년 09월 07일 15시5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웰컴저축은행이 금융당국의 고강도 총량 규제로 인해 가계대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기업대출 위주로 영업이 이뤄져 수익성이 전년 대비 악화됐다. 웰컴저축은행은 수익성 방어를 위해 광고선전비 등의 지출을 줄이며 비용효율화에 힘을 쏟고 있다.7일 업계에 따르면 웰컴저축은행은 올해 상반기 519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지난해 상반기(707억원)보다 순익이 26.59% 감소했지만 타 경쟁사들도 함께 순익이 줄어 업계 3위 자리를 지키는데 성공했다. 2위 OK저축은행과의 격차는 지난해 상반기 776억원에서 151억원으로 좁혀졌다.
올해 상반기 동안 웰컴저축은행은 기업대출 위주로 영업을 확대했다. 금융당국의 총량 규제로 가계대출 영업이 제한되자 대안으로 중소기업대출을 크게 늘렸다. 6월말 기준 웰컴저축은행의 중소기업대출 잔액은 2조8990억원으로 지난해말(2조3476억원) 대비 23.49% 늘어났다.
업종별로는 부동산업 및 임대업이 7099억원에서 8759억원으로 가장 많이 증가했으며 부동산PF대출도 5066억원에서 6360억원으로 25.54% 늘어났다.
개인대출은 오히려 2조4799억원에서 2조4642억원으로 줄어들었다. SBI·OK·다올·페퍼저축은행 등 타 저축은행들도 총량규제 여파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됐지만 잔액 자체가 감소한 곳은 웰컴저축은행이 유일하다. 웰컴저축은행 전체 대출 중 개인대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47.82%에서 42.14%로 줄어들었다.
웰컴저축은행 관계자는 “지난해까지 업계 전체적으로 가계대출이 크게 늘어나다보니 올해 초부터 금융당국이 보다 엄격하게 각사별로 관리를 하고 있다”며 “가계대출 영업에 제약이 있었고 기업대출의 영업 환경도 좋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기업대출 비중이 늘어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의도적으로 영업 포트폴리오를 조정한 것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개인 신용대출에 비해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기업대출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수익성도 함께 악화됐다. 웰컴저축은행의 상반기 대출채권 평균 잔액은 5조1415억원이며 여기서 발생한 이자수익은 2810억원이다. 평균 대출 이자율은 5.47%로 연 기준 10.93% 수준이다. 지난해 상반기 기준 평균 대출 이자율은 연 13.1%로 1년만에 2.17%포인트 하락했다.
기준금리 인상의 영향으로 예수부채 평균 이자율은 같은 기간 1.88%에서 2.16%로 0.28%포인트 높아졌다. 예대마진율은 11.21%포인트에서 8.77%포인트로 2.44%포인트 축소됐다.
웰컴저축은행 관계자는 “기업대출 확대와 함께 법정 최고금리 인하, 중금리대출 취급 증가 등이 대출금리 하락의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말했다.
웰컴저축은행은 비용효율화를 통해 수익성 방어에 나서는 모습이다. 상반기 웰컴저축은행의 판매관리비는 629억원으로 영업규모 확대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지난해 동기(682억원)보다 7.77% 줄어들었다. 주요 저축은행들 중 지난해 대비 판관비가 줄어든 곳은 웰컴저축은행이 유일하다. 210억원에서 146억원으로 30.48% 줄어든 광고선전비가 비용절감을 이끌었다.
향후 웰컴저축은행은 비용효율화를 통한 수익성 개선에 나서면서 영업 확대 보다는 건전성 관리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6월말 기준 웰컴저축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4.76%로 지난해말(4.93%)보다는 소폭 개선됐지만 여전히 SBI저축은행(2.26%), 다올저축은행(1.89%), 페퍼저축은행(3.09%) 등 타 저축은행들보다는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부동산PF대출, 건설업, 부동산업 등 부동산 관련 대출의 고정이하여신비율도 지난해말 1.39%에서 1.96%로 0.57%포인트 높아졌다. 부동산관련 대출 총액이 1조4225억원에서 1조7428억원으로 22.52% 증가했고 고정이하여신 총액은 199억원에서 342억원으로 71.86% 늘어났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KGC인삼공사, 혈당 케어 브랜드 ‘GLPro’ 확장
- [i-point]원영식 오션인더블유 회장, 산불 피해 장애인·주민 후원
- [thebell note]WM의 IB화
- [연기금투자풀 지각변동]ETF 포트폴리오 추가…삼성·미래에셋운용의 '고민'
- [Product Tracker]IMM로즈골드5호 GP커밋, 유동화 펀드 구조는
- 전진건설로봇 기초자산 EB…운용사 우려에도 700억 매듭
- 엘엑스운용 'NPL펀드' 론칭…패밀리오피스 자금 확보
- [스튜어드십코드 모니터]마이다스에셋운용, 적극적 행사기조 '현재진행형'
- ACE 미국500타겟커버드콜, 월배당 매력 '눈길'
- [연기금투자풀 지각변동]하위운용사도 눈치싸움…"증권사 무방 vs 기존 선호"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독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이노큐브의 비전 바이오 생태계 조력자 'End to End' 지원
- [종근당·앱클론 동행 전략]CGT 전방위 협업, 넥스트는 확장성·안정성 강점 'zCAR-T'
- [종근당·앱클론 동행 전략]표면적으론 CAR-T 사업화, 숨은의미 제약업 'CGT 주도권'
- [thebell interview]알지노믹스, 일리 1.9조 빅딜 유전자 편집 플랫폼 확장 핵심
- 오상헬스, 엔데믹 부진 끊고 '흑자'…"기대할 것 더 있다"
- [동성제약 오너십 체인지]조카에 유리한 신주상장 가능 결론…이사 유지 가처분 주목
- [한독 오픈이노베이션 전략]대형사 맞선 선제투자, 패러다임 전환 구심점 '이노큐브'
- 휴젤, 주가도 '차석용 매직' 순익보다 많은 주주환원
- [Sanction Radar]관세 두렵지 않은 GC녹십자, 알리글로 美 고마진 전략 유지
- [한독 오픈이노베이션 전략]태생부터 '협업 DNA', 투자로 다져진 70년 성장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