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천리 ‘믿을맨’ 이찬의 부회장, 자회사 구원투수 등판 삼천리이에스 실적 악화에 리더십 교체...그룹 사업과 시너지 모색
정명섭 기자공개 2023-01-20 07:29:05
이 기사는 2023년 01월 18일 14시0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천리그룹이 위기에 빠진 자회사를 구하기 위해 이찬의 부회장을 구원투수로 내세웠다. 이 부회장은 삼천리그룹에서 33년째 임원을 지낸 에너지 전문가로, 과거 인도네시아 파시르 탄광을 세계적인 광산으로 키웠던 인물이다.삼천리그룹은 최근 계열사 삼천리이에스(삼천리ES) 대표에 이 부회장을 선임했다. 삼천리그룹 대표를 맡고 있는 이 부회장이 삼천리이에스 대표를 겸임하는 구조다. 삼천리이에스는 에너지 솔루션, 에너지 플랜트, 고효율기기 공급 사업을 하는 계열사다. 연료 전지와 고효율 냉방설비인 가스히트펌프(GHP) 공급 등이 핵심이다.

삼천리이에스의 GHP의 경우, 가스 냉·난방이 전기 구동식 냉·난방(EHP) 대비 가격 경쟁력에서 밀리는 데다 시장 규모도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다. 주요 플랜트 사업인 연료전지발전의 EPC 수주 실적이 부진한 영향도 실적에 악영향을 줬다. 플랜트 사업 특성상 수주 실적이 2~3년 후에 반영되는데, 삼천리이에스의 최근 2년간 실적이 악화됐다는 건 수주 부진 여파가 다년간 누적됐다는 의미다.
삼천리그룹이 이 부회장을 구원투수로 투입한 건 이 때문이다. 삼천리그룹 관계자는 “이 부회장이 업계 전체적인 경륜이 많고, 전체적인 시각에서 그룹과 연계해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는 등 삼천리이에스의 역할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부회장은 그룹 내에서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1954년생인 그는 연세대 응용통계학과를 나와 1988년에 삼천리그룹에 입사했다. 이후 기획, 전략 부문을 거쳐 삼탄(현 ST인터내셔널)과 키데코(삼탄의 인도네시아 합작법인) 대표를 역임했고, 2015년부터 삼천리그룹 대표를 맡고 있다. 그는 내부에서 기획통, 이론·실무에 능통한 에너지 전문가로 평가받는다.
이 부회장은 인도네시아 유연탄 생산이 주력이었던 삼탄을 이끌 당시, 현지 파시르 지역 광산을 세계 7대 광산으로 이끈 주역으로 손꼽힌다. 파시르 광산은 서울 면적과 비슷한 5만400헥타르(ha)로, 매장량은 13억톤에 달했다.
당시 탄층 경사가 가팔라 선진국들이 개발을 포기했지만, 삼탄은 흙더미를 옆에서 계단식으로 파내는 개발을 고안해 광산 개발에 성공했다. 이후 키데코의 연매출은 16억5000만 달러 규모(약 2조400억원)로 성장했다. 삼탄 매출에서 키데코가 차지하는 비중은 90%에 달했다. 당시 삼탄 계열사 19개가 파시르 광산에서 유연탄을 채취하고 운반, 판매하는 업체였기 때문이다.
이 부회장은 1991년 당시 37세에 삼천리 임원으로 승진해 33년째 임원으로 자리를 지키고 있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이는 국내 100대 기업 전문경영인 중 최장수 기록으로, 젊은 나이에 임원 자리에 오른 것을 고려하면 꾸준히 성과를 냈다는 의미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유증&디테일]'초음파 DDS 선두' 아이엠지티, 임상시험 150억 조달
- 엠케이전자, '반도체 후공정 1위' ASE 어워드 수상
- [AACR 2025 프리뷰]신약 개발 속도내는 제이인츠바이오, 연구 2건 출격
- [AACR 2025 프리뷰]국내 항암 신약 투톱 유한양행·한미약품, '최다' 기록 쓴다
- 뉴로바이오젠, 6.5조 L/O에 1% 마일스톤…상업화 '관건'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한미약품, '비만약' 28억 신규 산입…내년 출시 기대감 반영
- [AACR 2025 프리뷰]항암 신약 글로벌 진출 필수 관문, 커지는 K-바이오 존재감
- 2000억 현금 보유 일성아이에스, 부동산 베팅 '요양원' 발판
- OCI홀딩스, 부광약품 '유증' 활용법 '실권주·신주증서'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신약보단 우주, 보령의 R&D 가치 단 150억 '카나브' 뒷배
정명섭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상호관세 후폭풍]미·중 '고래싸움'에 화학사 수출 리스크 여전
- [상호관세 후폭풍]'관세 유예'에도 국제유가 내림세…고민 커지는 정유사
- [에쓰오일 밸류업 점검]'PBR 1배 미만' 지속, 아쉬운 대외여건
- [에쓰오일 밸류업 점검]위기마다 대규모 투자…'샤힌 프로젝트'에 거는 기대
- [상호관세 후폭풍]'90일 유예'에 기업들 일단 안도, 정부 협상 성과에 쏠린 눈
- 한화·LG, 한전과 영등포 데이터센터 구축 '맞손'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동성케미컬 "친환경소재 시대, 생산체계 선제 구축"
- [상호관세 후폭풍]중국·베트남 생산비중 높은 HS효성, '고관세' 영향 불가피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유니드, 고ROE와 상반된 PBR…중국공장 신설효과 기대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유니드, 오너 3세 이우일 체제 안착…'지분승계'만 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