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시밀러 한계와 도전]삼성바이오에피스 R&D '키맨' 김경아 부사장②삼성종합기술원 출신, 500명 R&D 인력 통솔
임정요 기자공개 2023-02-09 12:55:04
[편집자주]
2010년대부터 본격 개화한 국내 바이오의약품 산업은 바이오시밀러(복제약) 회사들의 성공이 마중물이 됐다. 신약개발은 평균 10년의 연구개발 기간과 1조원의 비용이 소요되지만 성공 가능성을 장담할 수 없는 영역이다. 이에 일부 회사들은 전략적으로 특허가 만료된 블록버스터 바이오의약품을 '카피'하는 바이오시밀러 사업에 뛰어들어 성공을 거뒀다. 다만 모방할 대상이 있어야만 사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성장 정체에 직면한 바이오시밀러 회사의 재무상태와 앞으로의 생존전략을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3년 02월 07일 08:16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바이오시밀러 매출로 2021년 9000억원대 매출과 2000억원대 영업이익을 기록한 삼성바이오에피스. 작년부터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100% 자회사가 되어 모회사의 연결실적에 소폭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연구개발을 통한 매출 창출이 삼성바이오에피스 사업의 관건이기 때문에 R&D 인력 구성은 회사의 대들보와 같다. 지난 7년간 바이오시밀러와 신약 R&D 실무를 이끌어온 김경아 부사장(사진·56)에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다.
◇삼성종기원 출신으로 삼성바이오에피스 7년차…모든 시밀러 품질 감독
2012년 설립된 삼성바이오에피스는 2015년 첫 바이오시밀러 허가획득을 받았다. 현재까지 허가받은 6종의 시밀러 제품이 모두 김 부사장(CTO)의 감독 아래에서 출시됐다.
김 부사장은 서울대 약학 학사, 동대학 독성학 석사, 미국 존스홉킨스대 신경독성학 박사를 졸업하고 미국 UCSF 메디컬센터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지냈다.
2010년 삼성전자 삼성종합기술원에 치료용 항체 개발 연구원으로 합류했고 2012년 관련 부문 상무로 승진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에는 2015년 12월에 건너왔다. 전임자인 최창훈 CTO(현 드노보바이오테라퓨틱스 대표)가 떠나면서 생긴 공석을 채웠다.
김 부사장은 7년 넘게 삼성바이오에피스의 QE(Quality Evaluation)팀의 총책을 맡는 등 개발업무를 주도하고 있다. 2020년 전무로 승진했고 2022년부터 삼성그룹 전체에서 전무 직급이 없어지고 부사장으로 합쳐졌다.
김 부사장 아래로는 김윤철 개발담당 상무(CD팀장)와 김세훈 생산담당 상무(PD팀장)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2022년에 영입된 해외파 인력들이다.
김윤철 상무는 UCLA 미생물학 박사를 졸업했다. 이후 보령제약에서 제약바이오업계 경력을 시작한 뒤 듀플로젠, 라이프테크놀로지스, 화이자 등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15년부터 의약품 위탁생산업체 카탈란트에서 단백질 의약품 양산을 담당하다가 삼성바이오에피스에 합류했다.
김세훈 상무는 서울대 화학공학 학사/석사, 미국 텍사스 A&M대학교 화학공학 박사를 졸업하고 텍사스대학교 MD앤더슨 암센터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지냈다. 미국MSD에서 8년, 몰레큘러템플릿츠(Molecular Templates)에서 4년간 재직하며 세포주 공정개발에 전문성을 쌓았다. 삼성바이오에피스에는 2022년 1월 합류했다.
◇세포주 개발 등에 400여명 배치…"시밀러와 신약 조직 구분 없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외부 인재 영입을 통한 신약개발 의지를 숨기지 않고 있다.
2022년 1월 미국 빅파마 임원 출신 조호성 부사장(CSO)과 이미미 부사장을 영입한 점이 그렇다. 이 부사장은 1년을 채우지 못하고 작년 하반기 일신상의 사유로 퇴사했지만 영입 당시 유전자치료제 분야 전문가인 점이 주목받았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신약개발 방향성이 유전자치료제라는 점을 시사했다.
조 부사장은 미국 UC버클리 화학 박사 출신으로 미국 셀진의 부회장, BMS의 수석부사장을 지낸 이력이다. 현재는 삼성바이오에피스 CSO로서 바이오 기술 전략 관련 자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작년 9월말 기준 박사급 연구원 97명, 석사급 연구원 202명 등 연구전담 인력 총 507명이 재직 중이었다. 그 중 432명이 개발본부에 배치되어 세포주 공정 등을 연구개발한다.
삼성바이오에피스 관계자는 "신약과 시밀러 별도 조직을 구분하고 있지 않고 내부 인력들 중에서 일부를 관련 리서치 업무에 투입해서 하고 있다"며 "시밀러나 신약이나 R&D의 프로세스는 유사해서 각자 맡은 과제가 무엇인지에 대한 차이일 뿐 완전히 서로 다른 분야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R Briefing]벡트, 2030년 5000억 매출 목표
- [i-point]'기술 드라이브' 신성이엔지, 올해 특허 취득 11건
- "최고가 거래 싹쓸이, 트로피에셋 자문 역량 '압도적'"
- KCGI대체운용, 투자운용4본부 신설…사세 확장
- 이지스운용, 상장리츠 투자 '그린ON1호' 조성
- 아이온운용, 부동산팀 구성…다각화 나선다
- 메리츠대체운용, 시흥2지구 개발 PF 펀드 '속전속결'
- 삼성SDS 급반등 두각…피어그룹 부담 완화
- MNC솔루션 고속성장, 'K-방산' 피어그룹 압도
- [DB금투 밸류업 점검]"PIB로 '투자 플랫폼' 기업 도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