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 프랜차이즈 '치킨플러스', M&A 시장 매물로 주관사 삼정KPMG, 베트남 법인 등 자회사도 거래 대상 포함
김예린 기자공개 2023-02-15 07:57:15
이 기사는 2023년 02월 14일 14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프랜차이즈 업체 치킨플러스가 M&A 시장에 매물로 나왔다. 국내는 물론 베트남 법인 전체가 매각 대상이다. 배달형 프랜차이즈 업체로 코로나19 기간에는 특수를 누렸지만 올해는 앤데믹 전환으로 실적이 꺾일 수 있다는 점이 한계로 꼽힌다.14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치킨플러스 운영사 '돕는사람들' 최대주주 측은 보유지분 100%에 대한 매각 작업을 진행 중이다. 돕는사람들은 클레어인베스트먼트제이호 사모투자합자회사가 지분 61.9%를 들고 있고, 창업자인 유민호 대표와 특수관계자 등이 나머지 38.1%를 갖고 있다. 매각 주관사는 삼정KPMG다. 거래 대상에는 치킨플러스뿐 아니라 소스 제조 자회사 바른푸드, 베트남 자회사 바른비나(BARUN VINA)도 포함됐다.

다만 배달중심 사업 방식은 ‘양날의 칼’이 된 형국이다. 코로나19 여파로 매장 중심 프랜차이즈 시장은 크게 위축됐지만 배달 위주 프랜차이즈 업체들은 수혜를 누렸다. 치킨플러스 역시 매출이 증가했다. 그러나 사회적 거리두기가 끝난 만큼, 배달 위주 업체들은 실적이 꺾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치킨 프랜차이즈 시장은 레드오션으로 업계 내 경쟁이 치열한 점도 수익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요인이다. 가장 최근 공시인 2021년 기준 '돕는사람들'의 매출은 306억원으로 전년(288억원) 대비 소폭 늘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2020년 17억원 흑자에서 2021년 16억원 적자로 돌아섰다.
IB업계 한 관계자는 “치킨 프랜차이즈는 가맹점들의 건전성이나 본사와의 관계 등 신경써야 할 부분이 많아 인수 결정에 보수적일 수 있다”며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가 끝나면서 배달이 메인인 프랜차이즈 업체들의 실적이 꺾이는 점은 인수 매력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원트랜스폼과 파트너쉽 체결
- hy, 계절 맞춘 '잇츠온 박속 연포탕' 신제품 출시
- 'e빔 전문' 쎄크, 수요예측 흥행...IPO 공모가 최상단 확정
- [i-point]미래아이앤지, 수협은행에 'SWIFT ISO20022' 솔루션 공급
- 넥슨 '카잔' 흥행 비결은 '보스전·최적화·소통'
- [WM 풍향계]"금 팔까요? 살까요?" 엇갈리는 문의 급증
- 오라이언 이성엽, '메자닌' 안목 적중…코벤 성과 눈길
- 제일엠앤에스, CB 투자 운용사 어쩌나
- [2025 주총 행동주의 리포트]표대결 아닌 설득에 초점…트러스톤 '대화형 주주행동'
- 연금 통합한 우리은행 WM그룹, 컨설팅 파트 간판 바꾼다
김예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자동차 부품사 코렌스, 최대 300억 투자 유치 돌입
- '유니콘 등극' 리벨리온, 2000억 프리IPO 추진
- 배터리 장비사 세종기술, 150억 투자유치 추진
- EQT, 인천공항 폐기물 처리업체 '경인에코텍' 인수 완료
- '지붕형 태양광 인수' 스틱·에이치에너지, LP 모집 포인트는
- 앵커PE, '식품 첨가물 제조사' 현진그린밀 매각 추진
- '500억 베팅' 스틱·에이치에너지, 모햇 태양광 발전소 인수 추진
- 한상기업 LVMC홀딩스, 300억 메자닌 발행 추진
- 페블즈PE, 반도체 디자인하우스 '위더맥스' 250억 투자 추진
- HCEI, 룰루레몬 납품 '빅토리아텍스타일' 인수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