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건전성·영업력·조달·자율성' 위주 평가지표 대폭 재설계①'조달·운용' 극대화, 기반고객 확대로 수익성 개선 노력…건전성 관리 배점 높여
고설봉 기자공개 2023-04-05 07:03:52
이 기사는 2023년 03월 29일 15시3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한은행의 2023년 핵심성과지표(KPI)는 전체적으로 큰 틀을 다시 설계하고 세부 평가항목을 대폭 조정한 것이 특징이다. 기준금리 인상과 그에 따른 고금리 리스크 등이 복합되면서 영업환경이 급변한 데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2023년 신한은행은 크게 4가지 요소를 기초로 해 KPI를 설계됐다. 우선 건전성 관리를 첫번째 기준으로 삼았다. 신한은행은 올해 ‘건전성 관리에 대한 현장 관심도 제고’라는 설계 원칙을 내세웠다. 건전성을 유지하는 전 과정을 평가해 차주에 대한 관리활동을 강화하기로 했다.
두번째 특징은 기반고객 확대 및 우량고객 유치다. 영업활동 과정에서 미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핵심 고객들을 적극 발굴하라는 뜻이다. 기반고객과 우량고객을 신규 유치해 영업활동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의도다. 미래세대, 직장인, 시니어 등 핵심고객군 선점에 대항 평가지표를 신설했다.
세번째는 조달과 운용의 균형적 성장 추진이다. 견고하고 선제적인 위기대응체제를 마련하기 위해 조달과 운용의 균형잡힌 성장을 추진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조달 측면에선 유동성 핵심예금 유치를 강화한다. 운용 측면에서 수익성과 건전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내실 자산성장을 전략으로 삼았다.
올해 KPI 설계 방향 마지막 특징은 현장자율성 강화다. 현장에서 중심을 잡고 각 상황에 맞게 전략방향을 설계해 개별 평가를 받는 방식이다. 자율영업 평가 운용을 통해 각 영업점 및 각 직원별 셀프 리더십(Self-Leadership)을 배양하겠다는 포석이다.

전체적으로 평가항목은 지난해 상반기 고객가치성장, 재무, 종합건전성, 기반영업, 정책항목, 내부통제 등 6개였다. 올해는 고객가치성장, 고객, 재무, 외형, 정책항목, 자율영업, 내부통제 등 7개로 늘었다. 고객 항목이 올해 신설됐고 일부 평가항목의 평가기준이 바뀌면서 명칭도 변경됐다.
하위 평가항목은 대거 줄였다. 지난해 신한은행은 기반영업 평가항목 아래 개인POOL과 기업POOL, 외환POOL 등으로 나눠 기반영업 활성화를 꾀했다. 하지만 올해는 기반영업 평가가 폐지되면서 개인POOL과 기업POOL이 각각 POOL 배점 평가로 바뀌었다.
세부 평가항목인 POOL 배점은 지난해 고객중심 판매, 투자자산 관리, 퇴직연금 자산관리, 조정 세전이익, 영업활동 수익, 리테일 유동성 증대, 연체율, 잠재부실자산 감축, 정책금융, 퇴직연금, 원신한, 기반확대, 적립거래 투자자산 증대, 투자자산AUM 증대, 고자산고객 관리, 통합목표, 순증목표, 법인유동성 증대 가점, 수출입 외형, 외환수익, 수출입고객수 가점 등 21개 지표로 설계했다.
올해는 고객중심 판매, 투자자산 관리, 퇴직연금 고객관리, 개인POOL, 기업, 조정 세전이익, 외환, 외환외&업무활동수익, 연체율, 잠재부실자산감축, 초단기연체율, 유동성 핵심예금 유지율, 기업POOL, 청약, ISA, 적립식상품판매, 서민금융, TCB, 혁신금융, 퇴직연금, IRP, 원신한 협업, 기업/기관 연계영업, 자율영업 등 24개로 지표를 늘렸다.
그만큼 올해 세부적으로 평가지표 설계를 늘린 만큼 더 촘촘한 영업점 평가를 하겠다는 의지가 엿보인다. 이는 올해 영업환경이 녹록지 않은 만큼 각 영업점별로 최고 퍼포먼스를 내면서 내실도 쌓을 수 있도록 본점 차원에서 관리에 고삐를 죄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더불어 기업형 점포 및 기관형 점포에 대해선 일부 KPI 배점을 조정해 특화 영업점의 영업력 극대화를 시도했다. 일반형 및 Micro형 점포에 비해 기업형 및 기관형 점포는 고객 유형 및 주력 거래하는 상품이 다르기 때문이다.
올해 신한은행 KPI는 총점 1000점 만점이다. 이 가운데 전 유형 점포 공통으로 고객가치성장 100점, 재무 400점, 자율영업 70점, 내부통제 감점 200점이 각각 동일하게 배점됐다.
그러나 다른 평가항목의 경우 각 영업점 유형에 맞게 일부 배점을 조정했다. 고객 평가항목은 일반형 150점, 기업형 140점, 기관형 165점이 각각 배점됐다. 세부적으로 개인POOL 지표는 일반형 110점, 기업형 80점, 기관형 165점이다. 기업 지표의 경우 일반형 40점, 기업형 60점이 각각 배점됐다.
외형 평가항목은 일반형 105점, 기업형 125점, 기관형 5점으로 영업점별 차이가 크다. 세부적으로 유동성 핵심예금 유지율 지표는 각 5점으로 전 점포가 동일하다. 다만 기업 POOL 평가는 일반형 100점, 기업형 120점으로 차이가 난다.
정책항목도 점포 유형별 차이가 크다. 일반형 175점, 기업형 165점, 기관형 160점 등이다. 세부적으로 고객중심 상품판매 POOL은 일반형과 기관형이 각 55점이고, 기업형 45점이다. 정책금융 POOL은 일반형과 기업형이 각 50점으로 동일하고, 기관형은 25점이 배점됐다. 퇴직연금 POOL도 일반형과 기업형이 각 70점으로 동일하고, 기관형은 60점이 배점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영상/Art Feed]1000억 짜리 자코메티 조각 공개…삼성 리움미술관 소장품전
- [영상]'황제주' 등극 삼양식품…불닭으로 어디까지 가나
- [i-point]대동, 새만금서 '정밀농업 솔루션' 고도화 협력 추진
- [Sanction Radar]반복된 코인거래소 전산장애…DAXA 차원 대응책 마련
- 엑스페릭스, 'ID4Africa 2025'서 초박형 광학식 지문스캐터 공개
- [thebell interview]"수익성 개선 집중, 포트폴리오 다각화 자신"
- [i-point]폴라리스오피스·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AI 기반 IP 투자 생태계 조성
- [Company Watch]삐아, 물류 법인 '삐아서비스' 설립 배경은
- [thebell interview]채이배 소장 “세금 행정 불합리 개선 노력할 것"
- [거래재개 노리는 코스닥사]'감사의견 적정'시큐레터, 1년 개선기간 행보 주목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경영권 위협받는 한진칼]한진그룹, LS그룹과 혈맹…리스크 선제적 차단
- [경영권 위협받는 한진칼]'탄탄해진' 한진그룹 지배력...KCGI 분쟁 때와 다르다
- [경영권 위협받는 한진칼]지배구조 취약한 국적항공사…우호지분 45.5% '이상무'
- [항공시장 경쟁체제 점검]에어프레미아, 취항편 늘렸지만 고객 유치 실패
- [항공시장 경쟁체제 점검]티웨이항공, 장거리노선 '정상궤도' 올릴 수 있나
- [감액배당 리포트]엠에스오토텍, 자회사 명신산업 자본금 대규모 회수
- [항공시장 경쟁체제 점검]'다크호스' 대명소노, 티웨이항공에 '올인'
- [항공시장 경쟁체제 점검]'메가 LCC' 출범 무산, 고착화된 '1강 다약’
- '한온시스템 인수' 한국타이어, 최대 매출 달성
- [감액배당 리포트]엠에스오토넥, 지배구조 개편에 '적극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