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폴트옵션 적극 대응 신한증권, 상품 라인업 '완비' 신한운용 '신한밸런스프로' 시리즈 활용 3개 추가
이돈섭 기자공개 2023-04-24 08:19:52
이 기사는 2023년 04월 18일 14:03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한투자증권이 사전지정운용제도(디폴트옵션) 본격 시행을 앞두고 상품 라인업을 꽉 채웠다. 당국은 각 퇴직연금 사업자별로 최대 10개 상품을 승인하고 있는데, 지난해 7개 상품을 승인받은 데 이어 이번에 3개 상품의 추가 승인을 획득했다. 국내 43개 퇴직연금 사업자 중 10개 상품 승인을 받은 곳은 삼성화재와 신한증권 등 두 곳뿐이다.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고용노동부는 지난달 퇴직연금 사업자 8곳의 사전지정운용 승인상품 18개 포트폴리오를 추가 승인했다. 지난해 7월 사전지정운용 제도가 본격 시행된 이후 고용부는 상품 승인 절차를 두 차례에 걸쳐 진행했다. 올해부터는 상품 승인 절차를 상시 운영할 계획으로, 지난달 올해 첫 승인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에 새롭게 상품 승인을 받은 사업자는 DB생명과 근로복지공단, 대구은행, 동양생명, 신한투자증권, 신한라이프, KB증권, 유안타증권 등이다. 각 위험도별 승인 상품 수는 초저위험 상품 2개, 저위험 상품이 7개, 중위험 상품 5개, 고위험 상품 4개였다. 상품 위험도가 높아질수록 단일 금융상품 비중도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눈에 띄는 점은 신한증권이 최대 승인 수를 꽉 채웠다는 사실이다. 퇴직연금 사업자 한 곳이 승인받을 수 있는 사전지정운용 상품 최대 수는 10개다. 신한증권은 지난해 7개 상품을 승인받은 데 이어 이번에 3개 상품을 추가 승인받았다. 43개 퇴직연금 사업자 중 10개 승인 절차를 마친 곳은 지난해 삼성화재에 이어 신한증권이 두 번째다.
신한증권은 저위험과 중위험, 고위험 포트폴리오를 하나씩 올렸는데, 그룹 계열사인 신한자산운용 '신한밸런스프로' 펀드를 적극 활용했다. 국내외 펀드에 재간접 투자하고 있는 이 상품은 지난해 말 중립형(채권혼합)과 적극형(주식혼합형) 등 두 종류로 출시됐다. 이 펀드 중립형과 적극형의 운용규모는 각각 23억원씩이다.
저위험 포트폴리오의 경우 신한밸런스프로와 DB손해보험의 이율보증형 보험을 7:3 비중으로 담았다. 중위험 포트폴리오는 신한밸런스프로 중립형, 고위험 포트폴리오는 신한밸런스프로 적극형만으로 운용한다. 신한증권 관계자는 "각 상품별 보수 수준과 위험도 등 당국이 제시하는 일정 요건을 만족하도록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국내 43개 퇴직연금 사업자는 올해 7월부터 사전지정운용제도를 의무 운영해야 한다. 사전지정운용제도가 본격 시행된 것은 지난해 7월이지만 정책 당국이 1년의 유예 기간을 부여한 결과다. 현재 사업자별로 고용부 측에 추가 상품 승인을 신청하는 한편, 기승인 상품을 사용자 측 퇴직연금 규약에 반영하는 작업이 한창이다.
한편 올해 추가 승인 과정에서는 근로복지공단도 이름을 올렸다. 30인 이하 사업장 대상 퇴직연금 사업자인 근로복지공단은 이번에 초저위험, 중위험, 고위험에서 상품을 구성해 당국 승인을 받았다. 각 위험별로 삼성화재 GIC, 삼성화재퇴직연금TDF2025, 삼성화재퇴직연금TDF2035 등 삼성화재 보험 상품들을 대거 채택했다.
근로복지공단은 4개 상품을 추가 구성해 당국 승인을 받아 7월 사전지정운용 제도 본격 시행에 앞서 총 7개 상품 라인업을 구성하겠다는 방침이다. 근로복지공단이 위탁받은 퇴직연금 적립금은 4조1000억원. 사업주와 가입자 동의를 받아 중소기업퇴직연금기금으로 옮기고 있다. 해당 기금 규모는 현재 700억원 정도에 불과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 "고맙다! 디폴트옵션" IRP 확장에 적립금 ‘300조’ 넘었다
- 한화운용 "디폴트옵션 성과, 연금 비즈니스 확대 교두보"
- 디폴트옵션 진척 상황, 사업자 평가 지표된다
- 퇴직연금 제도 체계화…디폴트옵션 도입 '화룡점정'
- 한화운용 'Lifeplus TDF', 디폴트옵션 성과 '쏠쏠'
- 디폴트옵션 승인 재신청 마감…보수 인하에 상품 교체도
- 미래에셋 '연금동행' 디폴트옵션 승인에 업계 "부글부글"
- 신영·우리운용, 디폴트옵션 승인 줄줄이 탈락
- 산업은행,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시스템 마련 분주
- 디폴트옵션 상품 4개중 1개 탈락…사업자들 '멘붕'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엄주성 차기 대표 "주주·고객·직원 모두에 최선 다할 것"
- 김연수 한컴 대표 데뷔전 "유럽 AI 기업 조만간 인수"
- [ETF 위클리]엇갈린 레버리지·인버스, KB 웃고 삼성 울고
- DL이앤씨, 핵심 신사업법인 카본코 '리더십 공백'
- [다시 반도체의 시간]SK하이닉스, 'HBM리더'가 펼쳐갈 새로운 40년
- [LG이노텍은 지금]'정리의 귀재' 떠나고 '카메라 전문가' 온다
- '11번가 고민' SK, 두산·삼표 갈림길 변수는
- [새판 짜는 아주약품]오너 3세 거침 없는 경영행보, 변화의 중심에 서다
- [신작으로 보는 게임사 터닝포인트]네시삼십삼분, '탈모바일' 포문 열었다
- [K-바이오 클러스터 기행/전남 화순]설립 20년차인 올해가 클러스터 패러다임 전환 원년
이돈섭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아우름운용, 윤상우 대표 체제서 첫 코벤펀드 도전
- NH아문디 국채10년인덱스, DB 적립금 인기몰이
- 다올운용, 해외 시장성 자산 기반 헤지펀드 출시
- 국민은행, 디폴트옵션 포트폴리오 완비…은행권 최초
- [2023 더벨 헤지펀드 포럼]"해외 투자자 유치, 운용사 유니크 전략 필수"
- [기업 DB운용 엿보기]국민은행, SG은행 회사채에 적립금 투자
- [기업 DB운용 엿보기]경남·부산은행 360억, 펀드 공동투자 나선다
- [헤지펀드 운용사 실적 분석]안다운용, 상반기 순익 반등…비용 절감 효과
- 꽉막힌 공모주 전략, 소규모 운용사도 싱가포르 관심
- 엘엑스운용, NPL 펀드 설정 릴레이…펀딩 채널 다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