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실적개선랭킹 톺아보기]원태연 대표의 '혁신회의', 나무가 수익성 끌어올렸다①작년 별도 영업익 425% 성장, '신공법' 개발 낳은 열띤 토론 결과
구혜린 기자공개 2023-05-02 08:35:24
[편집자주]
한국거래소는 정보데이터시스템을 통해 주기적으로 상장사의 주요 실적 개선 비율을 산출해 '실적개선랭킹' 정보를 제공한다. 더벨은 실적개선랭킹 통계 중 코스닥 상장사의 연간 기준 성과를 뽑아 분석했다. 지난해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고(高) 악재로 사업 환경이 악화됐지만 위기 속에서도 활약한 코스닥 기업의 영업 성과와 지배 구조, 재무 지표 등을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3년 04월 27일 15시4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성 갤럭시(Galaxy) 스마트폰 카메라 모듈 공급사 '나무가'가 지난해 425%의 영업이익 개선세를 보였다. '레이저 풀 컷팅'이란 새로운 공법을 도입해 양산 수율(양품의 비율)을 끌어올린 결과다. 원태연 나무가 대표 주최로 매주 진행되는 '혁신회의'가 신공법 개발에 혁혁한 공을 세웠단 후문이다.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에 따르면 나무가는 코스닥 기업 기준 '2022년 실적개선랭킹'에서 영업이익 및 순이익 개선 기업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한국거래소는 별도기준 실적 성장세가 높은 기업과 관련해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카테고리별 순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 나무가는 영업이익과 순이익 각각 세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별도기준 영업이익은 189억원으로 전년대비 425%, 당기순이익은 342억원으로 전년대비 307% 증가했다. 매출액은 3429억원으로 같은 기간 64억원 줄어들었다. 매출액이 축소됐는데 영업이익이 크게 개선됨에 따라 2021년 1%에 불과했던 영업이익률이 지난해 6%까지 성장했다.
나무가는 스마트폰 카메라 모듈을 생산하는 삼성전자 협력사다. 삼성전자 향 매출액 비중이 99%에 달한다. 2021년 삼성 플래그십 스마트폰 후면카메라 공급사 라인에 진입했다. 플래그십 스마트폰인 갤럭시S 시리즈 중에서도 고부가가치 카메라가 적용된 울트라 모델을 담당하는 협력사 중 하나다. 모듈 사업을 영위하는 드림텍에 2019년 인수돼 현재 연결자회사(지분율 29.80%)로 분류돼 있다.
지난해 실적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매출원가율의 변화다. 지난해 나무가 매출원가율은 89%를 기록, 전년대비 5%포인트(p) 하락했다. 플래그십 스마트폰 진입 기간 1년이 경과함에 따라 시행착오가 줄어들면서 상품 양산 수율이 개선됐다는 평가다. 또한 전반적인 생산성이 개선되면서 자연스럽게 투입되는 인력이 전년에 비해 줄어들기도 했다.
수율 및 생산성을 끌어올린 비결은 신공법에 있다. 지난해 나무가는 'LFC(레이저 풀 컷팅)' 공법을 개발해 양산 라인에 도입했다. 이는 카메라 모듈 기판을 자체적으로 컷팅하는 기술이다. LFC 공법을 도입한 뒤 불량율이 떨어지면서 폐기 등에 발생하는 비용이 줄어들게 됐다. LFC 공법 도입으로 품질이 개선되면서 올해 초 삼성전자 품질 최우수 협력사로 선정되기도 했다.
나무가가 새로운 공법을 개발할 수 있었던 건 매주 진행된 '혁신회의' 덕이다. 나무가는 2020년부터 원태연 대표 주최로 매주 혁신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각 부서의 실무자와 팀장급인 그룹장, 실장급 임원 등이 모두 이 회의에 참여한다. 단순 비용절감 등을 위한 경영 혁신회의가 아니다. 개발 중인 기술 과제 진척사항 등이 보고되는 자리로 전사 차원에서 많은 주의가 기울여지고 있단 후문이다.
나무가 관계자는 "지난해 레이저 풀 컷팅 신공법 도입으로 플래그십 스마트폰 모델 수율이 드라마틱하게 개선됐다"며 "전사적으로 매주 꼼꼼하게 진행되는 혁신회의의 결과"라고 말했다.
영업이익 대비 순이익이 큰 것은 달러 강세 수혜가 더해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나무가가 거둔 별도 기타수익은 294억원으로 전년(171억원)대비 72% 증가했다. 기타수익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외환차익 245억원 및 외화환산이익 35억원이다. 나무가는 매출이 모두 달러베이스로 발생하는 기업이다. 지난해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로 치솟으면서 환 차익을 얻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