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석훈, 뚜렷한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의지 표명 "합병 무산 시 투입한 공적자금 회수 가능성 매우 낮아진다"
이재용 기자공개 2023-10-25 07:31:20
이 기사는 2023년 10월 24일 14시5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사진)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 성사 의지를 다시 한번 확인했다.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항공산업 경쟁력 강화에 양 사 합병이 가장 적합하다는 판단에서다.
강 회장은 24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장에서 더벨과 만나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기업결합 외 플랜B가 없다고 재차 밝혔다.
현재 IB 업계 등 금융권에서는 산은의 플랜B 검토 가능성 등이 거론되고 있다. 합병을 결정한 지 약 3년이 지났다. 양사의 기업결합 신고 완료가 애초 예상보다 장기화되면서 무산 전망까지 나온다.
대한항공은 기업결합 신고 대상 14개 경쟁 당국에 기업결합을 신고했으며 미국과 EU, 일본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경쟁 당국 중 한 곳에서만 불허해도 합병은 무산된다.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전에서 가장 큰 걸림돌은 독과점 문제다. 특히 EU 경쟁 당국은 양 사 합병으로 유럽 주요 화물·여객 노선에서 대한항공의 독과점이 우려된다며 시정을 요구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아시아나 화물 사업을 매각하고 일부 노선을 국내 LCC에 매각하는 시정 안을 이달까지 EU에 제출하기로 했다. 아시아나항공 화물 부분을 매각하고 유럽 4개 노선을 반납할 것으로 알려졌다. 아시아나항공은 오는 30일 이사회를 열고 화물사업 매각 여부를 결정한다.
강 회장은 "아시아나 이사회가 (화물사업을) 살리기로 한다면 국민의 혈세 또는 공적자금이 얼마나 더 들어갈지 알 수 없다"며 "이번 합병이 꼭 되기를 기원하고 아시아나 이사회가 합리적인 결정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시아나항공 매출의 21%가량을 차지하는 화물 사업과 주요 여객 노선을 포기하려는 것을 두고 비판도 적지 않다. 합병 목적인 항공산업 시너지가 상당 부분 사라지므로 합병 외 다른 방안도 검토하는 게 타당하다는 지적이 있다.
하지만 강 회장은 양 사 합병이 항공산업 경쟁력 강화, 고용 보장 등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특히 지금까지 두 항공사 합병에 3조원 이상 투입된 공적자금 회수 측면에서 양 사 합병을 유일한 정상 회수 방안으로 여긴다.
강석훈 산은 회장은 이날 국감에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이 무산될 경우 어떤 피해가 예상되느냐'는 질의에 대해 "기존에 투입한 공적자금 회수 가능성이 매우 낮아진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신테카바이오 "동물실험 단계적 폐지 수혜 기대"
- [변곡점 맞은 해운업]'퀀텀점프' 현대LNG해운, 선대 확장효과 '톡톡'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HD한국조선해양 수익원천 자회사 '금융→조선' 이동
- [상호관세 후폭풍]트럼프의 '90일 유예·애플 지목', 삼성전자 득실은
- '반년 장고' 거래소, 제노스코 상장심위 개최 '미승인' 가닥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수산아이앤티, 무차입 경영 비결 '16년 흑자'
- AIA생명, 실적-자본적정성 '양날의 검' 된 환율 변동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IBK저축, 영업권·총량 규제에 발목 잡힌 '서민금융'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정상혁 행장 역점 사업 'RM One Team' 평가항목 신설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신규 유치 고객 '주거래 확대' 방점 찍었다
이재용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anction Radar]은행·증권 PD 15곳, '조단위' 공정위 과징금 처분 위기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손실흡수력 최상위 삼성생명, 8할이 Tier1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자본규제 '패러다임 시프트'
- [Sanction Radar]한화 금융그룹, '경영 취약성' 대거 적발
- [윤석열 대통령 탄핵]금융지주, 불확실성 해소로 밸류업 탄력받나
- [윤석열 대통령 탄핵]원화, 단기 강세 흐름…변동성 확대 '촉각'
- [금융권 AI윤리 현주소]NH농협은행, 리스크 관리 체계 '완비'
- [금융권 AI윤리 현주소]하나금융, 속도보다 완성도에 무게
- [Sanction Radar]기업은행, 개선 의지 읽히는 '쇄신위' 조기 구성
- 새마을금고 정부합동감사 개시…대출 적정성 따져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