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ancial Index/SK그룹]부채비율 가장 낮춘 곳은 SK에코플랜트·가스[레버리지·커버리지 지표/부채비율]⑤1년 전 대비 50%p 안팎 감소, 하이닉스는 25.4%p 증가
박기수 기자공개 2024-01-05 08:04:55
[편집자주]
기업은 숫자로 말한다. 매출과 영업이익 기반의 영업활동과 유·무형자산 처분과 매입의 투자활동, 차입과 상환, 배당 등 재무활동의 결과물이 모두 숫자로 나타난다. THE CFO는 기업 집단이 시장과 투자자에 전달하는 각종 숫자와 지표(Financial Index)들을 분석했다. 숫자들을 통해 기업집단 내 주목해야 할 개별 기업들을 가려보고 기업집단의 재무 현황을 살펴본다. 이를 넘어 숫자를 기반으로 기업집단과 기업집단 간의 비교도 실시해봤다.
이 기사는 2023년 12월 29일 09시31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파이낸셜 인덱스(Financial Index)란?[외형과 수익성]
⑤부채비율
부채비율은 자기자본 규모 대비 총부채의 비중을 뜻한다. 타인자본에 대한 의존도와 재무 안전성을 가늠할 수 있는 대표적 지표다. 업종마다 다르지만 통상 100% 이하면 매우 안전, 200%를 넘으면 위험하고 간주하고 있다. SK그룹의 부채비율 등락 추이를 계열사별로 살펴본다.
SK그룹 계열사 중 SK에코플랜트가 작년 9월 말 이후 1년 만에 부채비율을 가장 많이 낮춘 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SK가스와 SK디앤디, SKC, SK이노베이션 등도 연결 부채비율이 하락했다.
29일 THE CFO 집계에 따르면 SK에코플랜트는 올해 9월 말 연결 기준 부채비율 209.8%를 기록했다. 작년 9월 말 부채비율 263.5% 대비 53.8%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SK가스도 작년 9월 말 부채비율 169.6%에서 올해 9월 말 127.6%로 42%포인트 낮아졌다.
이 밖에 부채비율이 1년 전 대비 감소한 SK그룹 기업은 △SK디앤디 △SKC △SK스퀘어 △SK바이오사이언스 △SK이노베이션 △SK텔레콤 △SK(별도) 다.
SK디앤디와 SKC는 올해 9월 말 부채비율로 각각 198.5%, 170.8%을 기록했다. 1년 전 대비 각각 37%포인트, 18.2%포인트 낮아졌다. SK스퀘어와 SK바이오사이언스도 작년 대비 부채비율이 각각 17.8%포인트, 11.4%포인트 떨어져 11.2%, 11.4%를 기록했다.
SK이노베이션과 SK텔레콤, SK(별도) 도 올해 9월 말 기준 부채비율로 174.8%, 141.5%, 77.3%를 기록했다. 작년 9월 말 대비 각각 7.7%포인트, 6.8%포인트, 2.1%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반대로 작년 9월 말 대비 부채비율이 높아지는 기업으로는 △SK E&S △SK디스커버리(별도) △SK케미칼 △에스엠코어 △SK플라즈마 △SK하이닉스 △SK실트론 △SK네트웍스 △SK바이오팜 △SK스페셜티다.
SK스페셜티는 올해 9월 말 연결 부채비율로 223.5%를 기록했다. 작년 9월 말 부채비율 149.5% 대비 74%포인트 상승한 값이다. SK스페셜티는 SK그룹 계열사 중 1년 만에 부채비율이 가장 상승한 기업이다.
SK바이오팜과 SK네트웍스도 1년 전 대비 부채비율이 각각 42%포인트, 38.9%포인트 상승한 132.9%, 324.4%를 기록했다. SK네트웍스는 SK그룹 계열사 중 가장 부채비율이 높은 곳이다.
올해 대규모 손실을 낸 SK하이닉스도 자본 감소 효과 탓에 부채비율이 올랐다. SK하이닉스의 올해 3분기 말 연결 부채비율은 84.8%로 작년 3분기 말 대비 25.4%포인트 치솟았다. SK실트론도 올해 3분기 말 연결 부채비율 198.1%를 기록하면서 1년 전 대비 부채비율이 34.7% 상승했다.
이 외에도 △SK케미칼(올해 3분기 말 연결 부채비율 52.4%) △SK디스커버리(별도, 59.7%) △SK E&S(141.7%) 등은 1년 전과 비슷한 부채비율을 유지했다. 각각 1년 전 대비 5.5%포인트, 5.1%포인트, 5.0%포인트 상승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캐시플로 모니터]한화 3형제 가족회사 한화에너지, 가용 현금만 5000억
- [조선업 리포트]한화오션, 든든한 자금줄 산은 덕 현금흐름 '이상무'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순현금만 93조…차입 부담 버거운 호텔신라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영업익 본 궤도로…수익성 독보적 1위 삼바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重 매출성장 1위, 삼바·삼전도 반등…고민 깊은 SDI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증자]한화에어로, 차입 조달했어도 부채비율 유럽과 '비슷'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증자]오션 연결로 부채비율 낮췄는데…유증이 최선이었나
- [Financial Index/삼성그룹]1년새 주가 어디가 올랐나…금융사·삼성重·삼바 '미소'
- 손재일 한화에어로 대표 "유증이 최선의 방법"
- ROE에 대한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