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엔터, 바람픽쳐스 인수 적정가는 얼마였을까 당시 매출 0원, 완전 자본잠식, 400억 주고 인수 …2년간 195억 손상처리
고진영 기자공개 2024-02-05 10:59:02
이 기사는 2024년 01월 31일 16시2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약 4년 전 인수한 바람픽쳐스가 사법리스크 불씨가 됐다. 김성수 대표이사가 바람픽쳐스를 시세보다 높게 인수해 회사에 손해를 끼쳤다는 혐의로 법정에 선다.카카오엔터는 바람픽쳐스를 비싸게 샀을까. 기획부터 수익까지 시간적 텀이 긴 드라마제작사의 특성상 적정가를 산정하는 것은 간단치 않은 문제다. 인수 당시 바람픽쳐스는 자본잠식 상태였지만 당시 <지리산>, <킹덤:아신전> 등 기대작들을 준비 중이기도 했다.
◇순자산가치 54억, 잔여 영업권 150억
카카오엔터는 2021년 3월 카카오페이지가 카카오엠을 흡수해 출범했다. 바람픽쳐스를 인수한 것은 합병 전인 2020년 카카오엠 시절이다. 당시 카카오엠은 바람픽쳐스 외에도 로고스필름과 글앤그림미디어 등 드라마제작사를 대거 사들였다.
특히 바람픽쳐스의 재무상태가 안좋았는데 매출없이 비용만 발생하는 상태였을뿐 아니라 자산보다 부채가 많았다. 2020년 연말 기준 바람픽쳐스는 자기자본이 마이너스(-) 33억원으로 완전자본잠식에 빠져 있었다.
그러나 취득 시점 카카오엔터는 바람픽쳐스의 식별가능 순자산 공정가치를 마이너스가 아닌 54억원으로 계산했다. 순자산 구성을 보면 무형자산이 188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2020년 말 기준 바람픽쳐스 감사보고서상 무형자산은 66억원 수준인데 공정가치 산정 과정에서 이 자산을 장부가보다 높게 평가한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카카오엔터는 바람픽쳐스 몸값으로 400억원을 지급했다. 인수대금이 순자산 가치를 한참 웃돌았기 때문에 이 금액의 86%를 넘는 346억원이 영업권으로 계상됐다. '고가 인수' 의혹을 촉발시킬 만한 지점이다.
비슷한 시기 인수한 로고스필름과 글앤그림미디어에서도 영업권이 발생하긴 했지만 인수대금과 순자산 가치의 차이가 바람픽쳐스 만큼 크진 않았다. 카카오는 두 회사를 각각 200억원에 매수했으며 약 120억원(59.8%), 137억원(68.6%)의 영업권이 생겼다.
그리고 카카오엠을 흡수해 설립된 카카오엔터는 2021년 바람픽쳐스에 대해 167억원을 손상차손으로 인식했다. 회수가능 금액이 372억원으로 평가돼 장부가(540억원)를 밑돌았기 때문이다. 영업권 손상차손은 M&A 이후 몸값이 적정했는지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 볼 수 있다. 손상차손을 했다는 것은 값을 쳐준 만큼 이익을 지 못했다는 뜻이다.
그 해 카카오엔터가 손상차손을 진행한 피인수기업 중 멜론(1985억원)을 제외하면 바람픽쳐스의 손상 규모가 가장 컸다. 2021년 바람픽처스는 tvN <지리산>, 넷플릭스 <킹덤:아신전> 등을 편성했다. 매출을 152억원 냈지만 순손실 상태를 벗어나진 못했다.
2022년에도 사정이 크게 나아지진 않았다. 공동제작한 tvN <연예인 매니저로 살아남기> 등을 방송, 매출이 441억원으로 늘었고 손손익이 12억원으로 플러스 전환했지만 약 28억원을 손상 처리했다. 회수가능 금액이 260억원으로 더 줄었기 때문이다.

2년간 바람픽쳐스 영업권에서 손상처리된 금액은 195억원이고 남은 영업권은 151억원 수준이다. 여기에 인수 당시 순자산 공정가치(54억원)을 더하면 약 205억원. 인수 대가로 지급한 돈이 400억원이었으니 단순 계산했을 때 카카오엔터가 바람픽쳐스를 2배는 비싸게 주고 산 셈이다.
2021년 7월엔 카카오엔터가 바람픽처스에 210억원을 추가 출자하기도 했다. 기존 대여금의 출자전환을 포함해 현물 및 현금출자 방식으로 진행됐다. 인수대금까지 합치면 카카오엔터가 바람픽처스에 투입한 돈은 600억원을 넘는다.
◇변호인 측 "성장잠재력 충분했다"
현재 카카오엔터의 김성수 대표, 이준호 투자전략부문장은 배임 혐의 등으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상태다. 검찰은 이 부문장의 배우자인 배우 윤정희 씨가 투자한 바람픽쳐스에 시세 차익을 몰아주기 위해 이 부문장과 김 대표가 공모했다고 보고 있다. 윤정희 씨는 2019년경 바람픽처스 사내이사로 재직하기도 했다.
다만 일각에선 검찰이 드라마제작사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시선도 있다. 드라마제작사는 당장의 실적보다 제작 중인 작품의 미래가치가 중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업계 관계자는 "카카오엔터가 인수했을 때 바람픽쳐스는 CJ 쪽에서 관심 있어한다는 설이 돌정도로 시장에서 탐내던 회사"라며 "2021년 지리산이 생각보다 흥행에 실패하긴 했으나 당시엔 대박날 작품일 줄 알았다"고 말했다.
바람픽쳐스는 지난해 <도적:칼의 소리>, 디즈니 <최악의 악>과 <레이스>, ENA <남남>, tvN <무인도의 바다> 등의 제작작품을 편성했다. 인수 전부터 준비한 작품 중 <폭싹 속았수다> 역시 올해 넷플릭스 오리지널로 공개된다. 김원석 감독과 임상춘 작가가 배우 아이유, 박보검 씨와 호흡을 맞췄다.

김 대표 측 변호인은 “바람픽쳐스는 이미 유명작가나 감독들과 작품을 준비하면서 성장 잠재력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뤄진 투자였다”며 “영장 혐의 사실에 관련해선 법정에서 충실히 소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영장심사는 2월 1일 오후 2시에 열린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위세아이텍, 대한소방공제회 사업 수주…데이터 기반 행정 고도화
- [i-point]감성코퍼레이션, 75억 규모 자사주 취득·소각
- [thebell note]글로벌세아그룹의 민간외교
- [thebell interview]"왓타임, 중고시계 1등 플레이어 목표…일본 공략"
- [VC 투자기업]리코, 585억 시리즈C 투자 유치…업박스 고도화
- 오거스트벤처, 영화투자 강자 급부상 '비결은'
- [김화진칼럼]보험 사기
- [리걸테크 스타트업 점검]엘박스, 투자 혹한기 깨고 시리즈C 성료 임박
- [달바글로벌 road to IPO]구주매출 고사한 FI…'오버행 우려' 기우일까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13곳 몰린 재도약, 나우IB·교보증권 탈락 이변
고진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자비용 분석]이마트 삼킨 이자비용, 5000억이 전부일까
- [레버리지&커버리지 분석]IPO자금 들어온 엠앤씨솔루션…보유현금 왜 줄었나
- [재무전략 분석]'긴축 모드' LG헬로비전, 1000억대 추가 손상 배경은
- [상장사 배당 10년]포스코홀딩스, 18년 전으로 돌아온 배당규모 사정은
- [the 강한기업]'고생 끝에 낙' 오는 DN오토모티브
- [유동성 풍향계]'승승장구' 올리브영, 6000억대 사옥 인수 체력은
- 삼성전자의 주주환원은 현명할까
- [CFO는 지금]순항하는 삼천리, 순현금 4000억대 회복
- [상장사 배당 10년]정의선 회장, 취임 후 현대차그룹서 '5200억' 받았다
- [CFO는 지금]'임시 자본잠식' 효성화학…관건은 현금흐름 회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