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너 지분구조 트래킹]미완의 OCI '1인' 지배력 구축, 연합전선 선회③3세 이우현 회장, 2009년 이사회 진입에도 낮은 지분 걸림돌…윤곽 드러낸 한미 공동경영
김동현 기자공개 2024-03-13 14:31:16
[편집자주]
오너가 경영권 분쟁의 단골 키워드는 지분율이다. 그룹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주요 기업의 보유 지분을 바탕으로 오너 경영인이 서로 경쟁하는 모습이 반복되고 있다. 지분 경쟁은 회사 의사결정의 종착지인 이사회와 주주총회에 영향을 미치며 수적 우위 싸움의 기반이 되기도 한다. 더벨이 경영권 분쟁의 단초가 된 주요 회사의 오너가 지분구조를 되짚으며 지배구조 변화를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3월 07일 14시5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OCI그룹은 이우현 회장이 지주사의 대표이사로 회사를 이끌고 있지만 최대주주 자리에는 숙부인 이화영 유니드 회장이 앉아있다. 한 기업집단 안에 OCI와 유니드, SGC그룹 등이 개별 회사로 움직이고 있지만 이우현 회장이 최대주주가 아닌지라 그룹 지배력에 대한 의문부호가 따라다녔다.이 회장의 부친인 고(故) 이수영 명예회장도 과거 경영권을 이어받았음에도 낮은 지분율로 고전했지만 합병, 증자 등을 통해 지배력을 끌어올렸다. 올해 이우현 회장의 경우 '이종'업계인 한미약품 그룹의 손을 잡고 연합전선을 구축한다.
한자릿수의 낮은 지분율을 보유한 이 회장이 임주현 한미약품 사장을 OCI홀딩스 최대주주로 맞아 우호세력으로 들이고 대신에 두사람이 공동으로 OCI홀딩스의 경영권을 행사한다. 사내이사도 양사가 동일하게 2명씩 두며 무게 균형의 추를 맞췄다.
◇선대와 다른 낮은 '3세' 회장 지분율
OCI는 1959년 설립된 동양화학공업이 그룹의 모태이지만 2000년 합병을 통해 지금의 모습을 갖췄다. 동양화학공업이 2000~2001년 제철화학과 제철유화를 인수하며 동양제철화학을 출범했는데 당시 존속법인으로 남은 기업은 다름 아닌 제철화학이었다.
동양화학 대표로 회사를 이끌던 두 형제 경영인(이수영·이복영)을 비롯해 기타비상무이사로 있던 이회림 창업주 등이 그대로 동양제철화학으로 넘어왔다. 이를 통해 2001년부터 동양화학 측 오너가와 제철화학 측 전문경영인이 등기임원으로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이러한 합병 절차를 거치며 오너가 지분율에도 변화가 생겼다. 2000년 전까지 이수영 명예회장의 동양화학 지분율은 3.35%(보통주 기준)에 불과했다. 동생인 이복영·이화영 회장의 지분율(각각 1.64·1.80%)보다는 높았지만 이회림 창업주(5.90%), 계열사 유니온(5.22%) 등과 비교하면 지분율이 낮았다.
이 가운데 제철화학·제철유화 인수합병(M&A) 및 그뒤 진행한 무상증자 등의 절차를 거치면서 2001년 말 이수영 회장의 지분율은 12.08%까지 뛰어 최대주주 자리에 앉을 수 있었다. 이수영 회장은 2017년 별세하기 전까지 두 동생과 두배가량 차이나는 두자릿수대 지분율을 유지하며 지배력을 굳혔다.
다만 3세 시대로 넘어오면서 이화영 유니드 회장 지분율이 이우현 회장을 앞서게 됐다. 이우현 회장 등이 이수영 회장이 작고하며 남긴 OCI 지분(10.92%)을 상속받았으나 2000억원 규모의 상속세를 마련하기 위해 보유 지분을 매각하며 자연스레 지분율이 낮아졌다.
이는 OCI홀딩스 출범 이후에도 이어지고 있으며 현재 지주사의 최대주주는 지분 7.41%를 보유한 이화영 회장이다. 다만 이우현 회장의 모친(김경자 송암문화재단 이사장)과 동생(이지현 OCI미술관 관장) 등의 합산 지분율은 9.95%로 이화영 회장 측(이우일 유니드 사장 포함 7.66%)이나 이복영 SGC그룹 회장 측(이우성 SGC에너지 사장 포함 8.04%) 보다 높다. 이우현 회장의 동생 이우정 전 넥솔론 사장은 2015년 이미 보유한 OCI 지분을 모두 처분했다.

◇숙부 동의 속 진행된 통합 논의, 주목받는 이사회 의장
개인으로 놓고 봤을 때 두 숙부의 지분율이 이 회장보다 높아 이번 OCI그룹과 한미약품그룹의 통합도 숙부의 동의 아래 진행된 것으로 전해진다. 이번 통합이 진행되고 나면 임주현 한미약품 사장(8.62%)이 개인 최대주주로 올라서며 2017년 이수영 회장 작고 이후 7년 만에 최대주주 변동이 일어난다. 대신 OCI홀딩스가 한미약품그룹을 아래에 두며 경영권을 행사한다.
기존 OCI의 사업과 한미약품의 사업이 융합하는 만큼 양사는 동일한 수의 경영진을 지주사 이사회에 배치해 공동 경영권을 구축할 예정이다. 당장 오는 29일 정기 주주총회에서 임 사장과 김남규 라데팡스파트너스(양사 거래 총괄 자문) 대표가 사내이사로 새롭게 선임된다. 기존 백우석 회장과 이우현 회장, 서진석 사장으로 구성된 3인의 사내이사진 가운데 백 회장이 임기만료로 자리에서 내려와 OCI 측과 한미약품 측 인사가 2대2 동수를 이룬다.
OCI는 동양화학에서 동양제철화학으로 통합·출범한 뒤부터 줄곧 3~4인의 사내이사진을 유지했다. 이수영 명예회장을 비롯해 이회림 창업주, 이복영 회장 등도 사내이사에 이름을 올렸고 이화영 회장의 경우 2000년대 초반 기타비상무이사로 의사결정에 참여한 바 있다. 이회림 창업주의 별세(2007년)로 이복영·이화영 회장이 OCI 경영에서 손을 뗐으며 2009년 이우현 당시 부사장이 사내이사로 진입하며 3세 시대를 열었다.
앞으로 한미그룹과의 공동 경영 체제가 구축될 예정인 가운데 백 회장이 사내이사에서 물러나며 향후 이사회 의장 선임 결과에도 관심이 쏠린다. 그동안 OCI의 이사회 의장은 대표이사 회장이 맡았다. 이수영 회장에 이어 백우석 회장이 대표이사 자격으로 의장 자리에 앉았고 지주사 출범 뒤에는 대표직을 내려놓고 사내이사로 의장직을 유지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김동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매각 추진중인 현대IFC, 현대제철에 첫 배당
- 한화에어로, 동유럽 생산 '현지화'...내년에 자금 80% 투입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새출발' 인베니, 투자·배당이익 선순환 집중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 현대제철 미국 현지 JV 검토 배경은
- [중견 배터리사 점검]동화일렉, 자회사 적극지원으로 '글로벌 신증설' 마무리
- [중견 배터리사 점검]동화일렉, 그룹 편입후 첫 적자...미·EU 돌파구 찾는다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HD현대사이트솔루션 '건설기계·인프라코어' 기여도 올라갈까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HD한국조선해양 수익원천 자회사 '금융→조선' 이동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배당여력 '빵빵' ㈜한화, 생보가 에어로 기여도 제쳤다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GS, 하반기 배당수익 원천 GS칼텍스 '중간배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