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경영분석]한투저축, 대규모 충당금 적립에 순익 '타격'업무이익 97%를 충당금으로, 순익 40억…부동산PF 연체율 '6.3%'
김서영 기자공개 2024-04-04 12:43:05
이 기사는 2024년 04월 02일 15시3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투자저축은행(한투저축은행)이 지난해 두자릿수 순이익을 기록하며 수익성 악화를 겪었다. 순이익이 전년과 비교해 큰 폭으로 줄어들면서 올해 1월 새로 선임된 전찬우 대표이사의 어깨가 무거워졌다는 평가가 나온다.특히 충당금적립전 이익의 97%에 해당하는 1949억원 규모의 충당금을 적립한 탓에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했다. 금융감독원이 작년 결산 공시 직전까지 한투저축은행의 추가 충당금 적립을 권고하며 손실흡수 능력 제고를 당부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업무이익의 97%, 충당금으로 적립…순익 40억원 '급감'
2일 한투저축은행은 '2023년 경영 실적 결산'을 공시했다. 한투저축은행은 지난해 40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800억원)보다 95% 감소한 수치로 순이익이 급감했다.
한투저축은행의 수익성 악화는 대손충당금 적립률 강화 여파가 컸다. 지난해 충당금적립전 이익은 2009억원으로 전년(2186억원)과 비교해 8.1% 줄어드는 데 그쳤다. 한투저축은행과 함께 상위 10위 대형사로 꼽히는 OK저축은행의 충당금적립전 이익이 36.4%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감소 폭이 크지 않았다.

다만 그에 비해 충당금 적립액은 크게 증가했다. 작년 말 기준 충당금 적립액은 2022년 말(1142억원)보다 70.67% 증가한 1949억원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대손충당금 적립액은 1928억원으로 전년(1114억원) 대비 73.07% 증가했다.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결산 공시 직전까지 금융감독원의 지시로 대손충당금을 더 적립한 것으로 전해진다.
한투저축은행이 대손충당금 적립액이 커진 배경에는 고정이하여신(NPL) 규모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작년 말 기준 한투저축은행의 총여신 규모는 6조9128억원이었다. 이 가운데 부실여신이 1724억원이고 NPL 규모가 4086억원으로 나타났다. 부실여신과 NPL은 전년 말과 비교해 각각 65.9%와 125.12% 증가했다. 특히 NPL 규모가 1년 새 두 배 이상 증가했다.
한투저축은행은 작년 한 해 동안 569억원 규모의 대출채권에 대해 상각 처리를 단행했다. 이 가운데 작년 4분기 중 상각한 규모만 514억원으로 전체 연간 대손상각액의 90.3%에 해당한다. 한편 2022년 한 해 동안 114억원의 대손상각액을 기록했다. 같은 해 4분기에 상각한 액수는 15억원에 불과했다.
◇가계대출 늘리며 리스크 대응, BIS비율 15% '눈길'
지난해 한투저축은행의 신규 영업은 다소 위축됐다. 작년 말 기준 대출잔액은 6조9128억원으로 전년 동기(72조1065억원)와 비교해 소폭 감소했다. 감소 폭은 2.73%를 기록했는데 타 경쟁사와 비교하면 영업 자산 감소 폭이 크지 않았다.
대신 한투저축은행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리스크가 높아진 기업대출이 아니라 가계대출 비중을 늘리며 비우호적인 업황에 대응했다. 구체적으로 기업대출은 2022년 말 5조1051억원에서 작년 말 4조7200억원으로 7.54% 감소했다. 구성비 역시 71.84%에서 68.28%로 줄었다.
반면 가계대출 규모는 작년 말 2조561억원으로 2조원을 돌파했다. 2022년 말 1조8444억원에서 1년 새 11.48% 증가한 것이다. 같은 기간 구성비도 25.95%에서 28.74%로 30%를 앞두고 있다.
한투저축은행 경영 실적에서 눈여겨봐야 할 점은 바로 부동산PF 대출채권이다. 한투저축은행은 저축은행업계에서 OK저축은행 다음으로 많은 규모의 부동산PF 대출채권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작년 말 기준 부동산PF 대출채권은 8111억원으로 작년 9월 말(9614억원)과 비교해 15.63% 줄었다.
부동산PF 대출채권 규모는 줄었으나 연체액은 증가했다. 작년 말 연체액은 511억원을 기록했다. 연체율은 6.3%로 작년 9월 말 연체율 2.86%보다 3.44%p 상승했다. 작년 말 전체 부동산 관련 대출채권 연체액은 1585억원으로 연체율은 5.33%로 나타났다.
부동산PF 연체율이 상승했지만, 대표적인 재무 건전성 지표인 BIS비율은 상승했다. 작년 말 기준 한투저축은행의 BIS비율은 15.02%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기(10.88%)와 비교해 4.14%p 상승한 수준으로 이는 업계 최고 수준에 해당한다.
유동성비율도 큰 폭으로 끌어올렸다. 작년 말 기준 유동성비율은 245.11%로 1년 새 77.79%p 급등했다. 다만 NPL비율이 상승해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작년 말 NPL비율은 5.91%로 6%에 가까워졌다. 전년 동기 2.55%로 나타났던 것과 비교해 크게 상승한 것이다. 연체대출비율도 5.14%로 1년 새 2.37%p 상승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캐시플로 모니터]삼양식품, 호실적 연동 법인세 부담 '현금흐름' 반영
- [thebell interview/컬리 10주년 줌인]김종훈 CFO "외형 확장에 방점, 수익성은 장기 전략"
- [넷플릭스발 지각변동]플랫폼이 고르는 콘텐츠…제작 권력도 이동
- [i-point]씨플랫폼-엑스게이트, 손잡고 네트워크 보안 시장 공략
- [Company Watch]삼보모터스, 새 멕시코법인 첫 매출 '전기차 부품 거점'
- [i-point]아이씨티케이, WIPO 글로벌 어워드 최종 후보 선정
- [영상]항공시장 다크호스 대명소노, 티웨이항공에서 멈춰선 이유는
- 코스닥 오너의 투자조언
- [i-point]에이루트, 무상감자 결정
- [i-point]샌즈랩, 지식재산 경영인증 획득… IP 포트폴리오 강화 박차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건설리포트]'흑자전환' 코오롱글로벌, 원가 절감 숨은 공신은
- [현대건설 SMR 리포트]미래 성장동력 '차세대 원전', 밸류업 해법될까
- [현대건설 SMR 리포트]'시공부터 전력 판매까지' 차세대 원전 청사진은
- [건설리포트]한신공영, 포항 펜타시티 준공에 재무 개선 '톡톡'
- [현대건설 SMR 리포트]대형원전 자신감, 소형화 경쟁 우위 점할까
- [건설리포트]'흑자전환' 동부건설, 수익형 수주 전략 통했다
- [지배구조 분석]우미건설, 자회사 합병해 '선택과 집중'
- [건설리포트]'회생졸업 9년차' 동아건설산업, 3년 연속 외형 성장
- [Company Watch]금강공업, '100억대' 모듈러 생활관 수주 낭보
- [Company Watch]자이에스앤디, 시행사 '러브콜' 수주잔고 3조 육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