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 '몸값 2조' 지오영 인수 SPA 체결 임박 인수 구조 가시화, 매수자문 조력자에 '골드만삭스·삼성증권'
임효정 기자공개 2024-04-19 15:35:32
이 기사는 2024년 04월 19일 08시5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MBK파트너스가 의약품 유통기업인 지오영을 인수한다. 올해 초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후 4개월여 만에 주식매매계약(SPA) 체결을 앞두면서 딜 종결에 근접했다. 이번 거래에서 골드만삭스와 삼성증권이 인수 측 자문사로서 조력자 역할을 했다.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MBK파트너스는 수일 내에 블랙스톤과 지오영 인수를 위한 SPA 체결을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 세부사항에 대한 막바지 조율만 남은 상태로 알려진다. 블랙스톤은 매각주관사로 모간스탠리를 선정하고 지난해 하반기부터 지오영 매각을 추진했다. 매각 작업 10개월 만에 SPA 체결에 다다른 셈이다.

MBK파트너스는 블랙스톤이 보유했던 지오영 지분을 인수하며, 조 회장의 지분율은 변동이 없다. 이번 거래에서 지오영의 기업가치는 2조원 수준으로 책정된 것으로 알려진다.
SPA 체결은 올해 초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이후 4개월여 만에 이뤄진다. 당초 3월께 우선협상기한이 종료됐지만 양사는 협의를 이어온 것으로 파악된다. 그간 빅딜에 빠지지 않고 이름을 올린 MBK파트너스가 또 다시 강자로서의 면모를 보여줬다는 평가다.
MBK파트너스가 지오영 인수를 눈앞에 둔 가운데 골드만삭스와 삼성증권이 조력자 역할을 맡았다. 골드만삭스는 5년 전 블랙스톤이 지오영이 인수하는 과정에서 자문을 담당한 경험이 있다. 삼성증권은 2019년 MBK가 롯데카드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조단위 딜을 자문한 이력이 있다. 이번 빅딜에서도 신뢰 관계를 이어가고 있는 모습이다.
MBK파트너스는 지오영 인수에 8조원대 규모의 5호 블라인드펀드를 동원할 예정이다. 지난해 메디트, 오스템임플란트, 넥스플렉스를 연달아 인수하며 펀드 소진율은 60%를 넘어선 상태다.
블랙스톤은 5년 만에 지오영의 엑시트를 눈앞에 뒀다. 블랙스톤은 2019년 앵커에쿼티파트너스로부터 지오영을 인수한 후 추가로 지역 군소 제약유통사를 인수하며 볼트온을 통한 밸류업을 이어갔다. 인수 당시 지오영의 기업가치를 약 1조1000억원으로 책정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VC 투자기업]'소호은행 최대주주' KCD, 추가 투자유치 나설까
- 퓨리오사AI, 1조 넘는 밸류로 하반기 펀딩 나선다
- '미국 신제품 출시' 엑시나, 현지 전문가 영입 승부수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창업초기 소형, '첫 도전' AC 치열한 경합
- [i-point]지아이에스, 지방세 성실 납세자 선정
- [Red & Blue]유일에너테크, '레이저 노칭' 해외 시장 확장 집중
- [지배구조 분석]'승계 완료' 김승재 재영솔루텍 대표, 지배력 확대 '딜레마'
- [코스닥 어닝 서프라이즈]에프엔에스테크, 부품소재부문 변동성 완화 기여
- 유한양행 '렉라자 병용'이 쓴 생존기간 "치료기준 바꿨다"
- 종근당, R&D 조직 재편 고민…BD임원 신약 수장 등용
임효정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회생 M&A' 신한정밀공업, 주관사로 삼일PwC 낙점
- [thebell League Table]M&A 시장 주도한 'SI', 조단위 딜도 꿈틀
- KDB-하나, 이랜드파크 메자닌 '수익률 9.7%' 내걸었다
- 웅진씽크빅, ‘프리드라이프 인수’ 우군 나서나
- 옐로씨-비전벤처스가 품는 코아솔, 투자 포인트 '삼성전자 협력'
- '2대주주' 앵커에쿼티, SK일렉링크 경영권 노린다
- E&F-IS동서, 매각 앞둔 '코엔텍' 3800억 리파이낸싱 추진
- 'MBK 포트폴리오' 네파, ABL로 300억 조달한다
- 어피니티, '락앤락' 2000억대 리파이낸싱 추진
- [영풍-고려아연 경영권 분쟁]'분쟁 장기화 여파' NH증권, 1.5조 브릿지론 연장 '불가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