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4년 04월 30일 07:17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4월이 어느덧 막바지로 치닫고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에 따른 위기가 올 것이라는 '4월 위기설'과 달리 이렇다 할 이벤트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사실 위기설의 진원지는 명확치 않았을 뿐더러 근거도 빈약했다. 그럼에도 부동산 PF 부실 우려가 커지면서 생명력을 얻기 시작했다.업계의 해석도 다양했다. 감사보고서 제출 시한인 4월에 부동산 PF에 취약한 기업들의 부실이 드러날 것이라는 전망과도 무관치 않았다. 또 총선 이후 부실 PF 사업장 구조조정이 본격화 될 것이라는 분석과도 연관성이 있었다. 유독 '4월'에 힘이 실린 것도 이 때문이다.
정부는 총선 전부터 이같은 위기설을 진화하는데 힘을 쏟았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달 건설업계 인사들과 만나 "상반기 내 시스템 리스크로 번질만한 유동성 위기가 현실화 될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일축했다. 또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도 총선 전부터 4월 위기설을 두고 "문제 없다"고 선을 긋기도 했다.
정부의 바람대로 위기설은 빗나간 걸까. 올해 초 부동산 PF 부실 문제를 재점화 한 태영건설 워크아웃이 그동안 예상보다 원활하게 진행돼 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일단 급한 불을 끈 셈이다.
더불어 국내 부동산 PF에 신용보강을 제공해온 건설사들 역시 최근 2년간 체력을 키웠다. 특히 레고랜드 사태 이후 급격하게 경색된 금융시장 속에서 대형 건설사들은 일찌감치 현금 유동성 확보에 나섰고 곳간에 현금을 채웠다. 혹자는 "위기설이 돌면 위기가 아니다"라고 해석한다. 위기설에 대비해 관련 주체들이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얘기다.
그러나 4월 위기설이 빗나간다고 해도 현 상황의 반전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건설부동산 시장 상황이 녹록지 않은 건 여전히 변함 없는 사실이다. 상대적으로 체력이 약한 디벨로퍼, 중소 건설사, 지방 건설사들은 여전히 생존을 고민하고 있다. 여기에 PF 리스크를 짊어지고 영역을 확장했던 부동산신탁사들 역시 위기설의 진원지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결국 4월 위기설에서 방점을 찍어야 할 단어는 '4월'이 아닌 '위기'다. '설(說)'이었다고 할 지라도 지금이 건설부동산 시장의 위기라는 점은 시장 관계자들이 체감하고 있다. 그리고 이번 위기는 아직까지 바닥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는 더욱 크다.
최근 열린 2024 더벨 건설부동산 포럼에서는 한 연사 역시 업계에 다소 뼈 때리는 조언을 했다. 이번 위기와 관련해 괜한 희망을 갖기보다 현실을 똑바로 바라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위기를 기회로 삼기 위한 첫걸음이라는 점에서 곱씹어 볼만 하다.
그는 "미래 예측이 어려운 건 희망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며 "현실을 냉혹하고 편견없이 바라보는 게 부동산 시장을 전망하는 데 가장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이어 "국내 부동산 PF 처리 방안은 크게 두가지인데 한 가지는 시장 상황이 개선돼 개인이 이를 매입하는 것, 또 다른 하나는 PF 구조조정"이라면서도 "현재로선 개인들이 매입할 생각은 없기 때문에 2008년 금융위기 당시와 마찬가지로 앞으로 구조조정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CES 2025]하정우 베어로보틱스 대표 "LG전자 동행 이어간다"
- 메리츠증권, 국내·미국 주식 거래수수료 완전 무료
- [i-point]AP시스템, 잉여현금흐름·순이익의 30% 환원
- [Red & Blue]'V자 반등' HB테크놀러지, 유리기판 테마 효과
- [유동성 풍향계]세아제강지주, 자회사 투자부담에 '잉여현금' 급감
- [카드사 생크션 리스크]삼성카드, 3단계 내부통제 체제에도 소비자보호 '보통'
- [금융사 생크션 리스크]광주은행, 자회사관리·내부통제 '총체적' 미비
- 새 수장 영입한 KY PE…투자 영토 확장 나선 브레인운용
- [인사이드 헤지펀드]르네상스운용, '천보 투자' 미슐레6호 성공적 청산
- [LP Radar]한국벤처투자 조직개편, '지역벤처 활성화' 방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