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ETF 돋보기]KODEX미국S&P500배당귀족 커버드콜, 연분배율 ‘최상위’6.27% 안정적인 배당수익에 옵션 프리미엄 더해
황원지 기자공개 2024-05-09 08:39:37
이 기사는 2024년 05월 02일 08시34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성자산운용의 ‘KODEX 미국S&P500배당귀족커버드콜’이 최근 최상위권 연분배율을 기록하면서 투자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배당과 함께 옵션프리미엄을 수취하면서 투자메리트가 확대됐다.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KODEX 미국S&P500배당귀족 커버드콜’의 연간 분배율은 6.27%를 기록중이다. 이는 배당형 ETF 중 최상위권에 해당하는 성적이다.

2017년 상장한 이 상품은 3월, 6월, 9월, 12월까지 1년에 네 차례 분배금을 지급한다. 지난 3월에는 주당 130원, 작년 12월에는 주당 131원의 분배금 지급을 결정했다. 분기 분배금은 2021년에는 주당 150원~160원 수준에 달했으나 지난해부터 130원대로 줄어들었다.
이 ETF는 미국 S&P500 구성종목 중 지난 25년간 꾸준히 배당이 증가한 기업에 투자한다. 미국S&P고배당지수 매수와 S&P500콜옵션 매도를 병행해 커버드콜 전략을 활용한다. 커버드콜 전략은 지수가 하락하면 콜옵션을 매도해 얻은 프리미엄으로 수익을 올린다.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률을 기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고배당 종목과 콜옵션 매도를 병행했다는 점에서 분배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었다는 평가다. 커버드콜 ETF의 분배금 재원은 통상 배당금과 옵션프리미엄으로 구성된다. 주가 상승에 따른 자본차익은 많지 않더라도 매 분기 분배금을 많이 받을 수 있다는 점이 매력이다.
다만 지수가 우상향하면서 자본차익은 크게 보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자산인 미국S&P고배당지수(S&P 500 Dividend Aristocrats Net Total Return)는 지난 1년간 약 10% 내외 상승하며 우상향 그래프를 그렸다. 살 수 있는 권리인 콜옵션을 매도하는 커버드콜 전략의 특성상 주가 상승기에는 옵션이 실행돼 수익을 그대로 반납하는 경우가 많다.
대내외 불안정한 금융시장 환경 속에서도 안정적인 수익률과 현금 배당이 이뤄지면서 퇴직연금 투자자들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개인연금·퇴직연금 계좌를 활용한 배당 ETF는 연금 수령 이전엔 배당소득세(15.4%)를 내지 않는다. IRP계좌로 5년 이상 투자하고 55세 이후 수령하면 연금소득세율이 3.3~5.5%에 불과해 절세도 가능하다.
지수 내 구성 종목은 △West Pharmaceutical Services Inc(2.05%) △W.W. Grainger Inc(1.84%) △A.O. Smith Corp(1.71%) △Clorox Co(4.59%) △Pentair PLC(1.67%) △Linde plc(1.65%) △AbbVie Inc.(1.65%) △Ecolab Inc(1.64%) 등이다.
이달 초 기준 순자산총액은 399억원 수준이다. 최근 3개월과 6개월 수익률은 각각 0.18%, 7.18%로 높은 편이다. 총보수율은 연간 기준 0.30%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강소 전선업체 리포트]'자회사 효과' 대원전선, 글로벌 시장 공략 '과제'
- [제일엠앤에스 시장복귀 여정]완전자본잠식 해소, 거래재개 '촉각'
- [저평가 시그널: PBR 0.3]주주환원율 높인 DL이앤씨, 올해 PBR 개선 ‘기대’
- TSMC CFO의 자신감
- [Financial Index/생명보험]가중부실자산비율 평균 0.19%, 하나생명 가장 높아
- [저평가 시그널: PBR 0.3]OCI그룹, 저평가 극복전략은 '본업경쟁력' 회복
- [Financial Index/지방은행]압도적 선두 '광주', 고전하는 '제주'…ROE 격차 11%p
- [thebell interview]양영근 CFO, '위기 설계도' 그리는 구원투수
- [Financial Index/증권사]평균 유동비율 123%, 단기 유동성 관리 '양호'
- [Board Match up/한국 vs 미국 은행]우리금융, 역량 평가 진일보…씨티·웰스파고 등도 세분화
황원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미국보단 아시아"…라이프운용 '보이저 2호' 출격
- 늦어지는 마르디 메크르디 상품화…IPO 시장 침체 여파
- VIP운용 조창현, '올스타밸류' 두마리 토끼 잡았다
- PTR운용, 하나증권 손잡고 하이일드펀드 출시
- [thebell note]상품부 ‘중용의 미학’
- [꿈틀대는 사모대출펀드 시장]'고이율 매력' 세일즈 포인트…약점은 이자소득 과세
- 날개 단 푸른인베스트먼트, AUM 1700억 돌파
- NH증권, DS운용 손익차등형 펀드 출격
- [꿈틀대는 사모대출펀드 시장]분주한 KB-미래에셋, 리테일 반응은 ‘아직’
- [꿈틀대는 사모대출펀드 시장]'선봉장' 한국·삼성증권, 고금리채권 수요 흡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