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PE, 효성화학 특수가스 경영권 인수전 뛰어들까 기존 원매자 IMM·스틱 등 소수만 남을 전망, MBK·KKR 추가 참전 후보 거론
감병근 기자공개 2024-05-22 08:06:18
이 기사는 2024년 05월 21일 14시2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효성화학 특수가스사업부 투자유치가 경영권 매각으로 전환되면서 국내외 대형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가 추가로 참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효성그룹 입장에서는 시간이 더 걸리더라도 추가 원매자 확보를 통해 매각 이익 극대화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21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효성화학은 최근 특수가스사업부 지분 매각 대상을 기존 49%에서 100%로 변경하기로 내부 결정을 내렸다. 아직 프로세스레터 등을 통한 공식 통보는 이뤄지지 않았지만 일부 원매자들이 관련 내용을 전달받은 상황으로 전해진다.
최근까지 지분 49% 인수를 전제로 효성화학 특수가스사업부 실사를 진행한 재무적투자자(FI)는 모두 9곳이었다. 하지만 경영권 매각으로 거래 구조가 공식 전환되면 이들 중 대부분은 자금 부담 등을 이유로 딜을 포기할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다.

현 상황이라면 효성화학이 향후 추가로 특수가스사업부 인수후보를 모집할 가능성이 있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추가 인수후보를 모집할 경우 딜 진행은 추가 지연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효성그룹 입장에서는 원매자간 인수 경쟁을 통해 매각가를 최대한으로 끌어올려야만 효성화학 재무구조 개선 등 당면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효성화학에 거액의 대출을 제공한 산업은행 등 주요 채권자들에게도 이는 중요한 문제다.
이번 사안에 밝은 한 관계자는 “경영권 매각이 공식화되면 국내외 대형 PE들 중 추가로 참전할 곳이 나올 것”이라며 “기존 원매자들도 이 같은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관련 대비를 시작하려는 움직임이 있다”고 말했다.
현재 추가로 딜에 뛰어들 가능성이 있는 국내외 대형 PEF 운용사로는 MBK파트너스,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 등이 거론된다. 이들은 딜 초기 매각 구조가 확정되지 않았을 때 효성화학 특수가스사업부 경영권 인수에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효성화학 특수가스 사업부는 반도체 제조공정 등에서 이물질을 세척하는 데 쓰이는 삼불화질소(NF3)를 주력으로 생산하는 글로벌 3위권 업체다. NF3을 기반으로 하는 특수가스 시장은 반도체 제조공정 고도화 및 전기차 시장 성숙 등에 따라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킵스파마 계열' 알곡바이오, 이데트렉세드 임상 환자 모집
- [Company Watch]코인원, 적자 감수 '신규 고객 유입' 마케팅 투자 지속
- [Red & Blue]롤러코스터 주가 한진칼, '경영권 분쟁 vs 시세 차익'
- [i-point]제이엘케이, 네이처 자매지에 논문 게재
- 롯데캐피탈, 순익 줄었지만 부실 털기로 건전성 개선
- 동양생명, 제도 변경 영향에 보험손익 급감
- [이사회 분석]SBI저축, 모리타 SBI홀딩스 전무 사임…차기 의장은
- [저축은행 위험 관리 점검]애큐온저축, 선제적 신용 관리로 건전한 자산 중심 경영
- [우리금융 인사 풍향계]임종룡 회장 '독립 경영' 방침 드러난 보험사 CEO 선임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웰컴저축, 금융권 저신용자 대출 '최후의 보루'
감병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LP&Earning]우본, 해외주식·대체투자 성과로 수익률 안정세 지속
- 박찬우 ICS 대표, 아워홈 이사회 합류
- [영상]코오롱, 내셔널타이틀 '한국오픈' 격전지 우정힐스 매물로 내놨다
- 코오롱, '충남권 명문' 우정힐스CC 매각 추진
- 체급 다른 롯데시네마-메가박스, 1대1 합병 추진 배경은
- [LP Radar]'하드캡 조건' 새마을금고 출자, 중소형사 수혜 기대감
- 엠플러스운용 매각 재개, '지분 70% 인수' 고정 조건
- 전동규 서진시스템 대표, 'FI 풋옵션 대비' 3000억 펀딩 추진
- LG화학 수처리 품는 글랜우드PE, '과점시장·성장성' 베팅
- '가격 vs 클린엑시트' SK에코플랜트, 환경자회사 매각 고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