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부정대출 제재 예고…KCD 인뱅 영향은 컨소시엄 참여 문제 없지만 심사시 페널티 받을 가능성 있다
김영은 기자공개 2024-09-02 12:39:45
이 기사는 2024년 08월 29일 07시4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우리은행의 부정대출 문제가 한국신용데이터(KCD) 인터넷은행 컨소시엄에 미칠 여파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우리은행은 KCD 컨소시엄에 든든한 자금줄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됐다. 그러나 부정대출 사태로 인해 금융감독원이 강도높은 징계를 예고하면서 컨소시엄 참여에도 난항이 예상되고 있다.업계에서는 우리은행의 제재 가능성이 현실화하더라도 인터넷은행 컨소시엄 참여 여부는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제재 여부가 심사 과정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우리은행 기관 제재 여부, 컨소시엄 참여에는 문제 없어
손태승 전 우리금융 회장 친인척에 대한 부당대출 문제로 우리금융․은행에 대해 강도 높은 제재가 예고되고 있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지난 6월 착수한 수시검사에서 손 전 회장의 친인척을 대상으로 616억원 규모의 대출을 취급한 사실을 발견했다. 현재 금감원은 추가 현장검사 등을 통해 제재 가능성을 검토 중이다.

우리은행이 참여하고 있는 KCD 컨소시엄의 인터넷은행 준비 작업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당국이 아직 제재 수위를 공식적으로 밝히지는 않았지만 제재에 대한 의지를 명확히 보이고 있다. 더불어 부정대출의 주체인 은행에 대한 제재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앞서 우리금융은 우리은행에 이어 우리카드의 KCD 컨소시엄 참여를 결정하며 전향적인 지원에 나설 것을 시사했다.
다만 제재가 현실화되더라도 우리은행의 KCD 컨소시엄 참여 여부는 문제가 되지 않을 전망이다. 제재 수위에 영향을 받는 신사업 진출, 자회사 소유가 아닌 지분투자에 그치는 만큼 징계로 인해 인터넷은행 참여가 막히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10% 이상의 한도초과보유 또한 요건 상으로는 문제가 없다. 인터넷전문은행 특례법은 대주주(한도초과보유주주)가 '최근 5년간 금융관련법령 등을 위반해 벌금형 이상에 해당하는 형사처벌을 받은 사실이 없어야 한다'고 자격 요건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기관 제재의 경우 형사처벌이 아닌 행정처분에 해당되기 때문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주주구성 요건 심사시 낮은 점수 받을 수도
그러나 업계에서는 예비인가 심사 시 우리은행의 기관제재 여부가 심사 과정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우리은행이 주주로서의 적정한지 여부와 관련해 당국이 재량적 판단을 내릴 수 있다는 관측이다. 금융위원회는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시 대주주 적격성 및 은행주주로서의 적합성을 주요 항목으로 심사하고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대주주적격성 항목을 심사할 때 다른 컨소시엄과 비교해 낮은 점수를 부여할 가능성이 있다"며 "현 정부 기조로는 약간이라도 도덕적인 문제가 있는 점에 대해 페널티를 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KCD관계자는 “우리은행과 기존에 논의하던 사안이 달라진 것은 없다"고 말했다. 더불어 “컨소시엄에 추가적으로 투자의향서를 보낸 곳은 충분히 있다"는 입장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김영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토스뱅크 청사진 '글로벌·기업'…이은미 대표 진가 발휘하나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부산은행, 디지털 강화 통한 가계대출 확대...지역 한계 극복
- [금융권 AI 윤리 현주소]후발주자 지방금융 3사, AI 거버넌스 수립 공동 대응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토스뱅크, '선배' 보고 배우며 흑자전환…주담대는 글쎄
- [금통위 POLL]4월 기준금리 동결 우세…'환율·금융안정' 부담 커졌다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케이뱅크, 자본력 여전히 발목…IPO 열쇠는 '기업금융'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카카오뱅크, 지방은행과 다각도 협업 나서는 까닭
- 거대 양당 연이어 은행장 소집…관세 후폭풍 대응 논의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확장성 제한적인 지방은행, 인뱅에서 돌파구 찾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