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벤토리 모니터]한화솔루션 쌓여가는 재고, '선택과 집중' 전략재고자산 총액 4조 상회…태양광 가동률 저하에 회전율 3회 아래로
김동현 기자공개 2024-09-25 07:27:15
[편집자주]
제조기업에 재고자산은 '딜레마'다. 다량의 재고는 현금을 묶기 때문에 고민스럽고, 소량의 재고는 미래 대응 능력이 떨어진다는 점에서 또 걱정스럽다. 이 딜레마는 최근 더 심해지고 있다. 공급망 불안정에 따른 원재료 확보의 필요성과 경기침체에 따른 제품 수요의 불확실성이 샌드위치 형태로 기업을 압박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벨은 기업들의 재고자산이 재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9월 23일 16시02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화솔루션의 재고자산 총액이 4조원을 넘어섰다. 태양광을 필두로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생산능력을 끌어올리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재고 물량이 늘어났지만 태양광 업황의 변동성이 커지며 전체 재고자산회전율이 최근 10년 사이 최저점을 찍었다.전체 재고자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재공품(제조 단계의 제품) 재고자산이 불과 2년 사이 3배 가까이 뛰었다. 상품·제품 재고자산이 감소 추세였음을 고려하면 기존 재고를 떨어내는 동시에 추후 납품을 위해 사전적으로 재공품 물량을 늘린 것으로 풀이된다.
한화솔루션은 연결 기준 기초소재, 가공소재, 신재생에너지 등의 사업부문을 두고 있는데 가공소재와 신재생에너지 부문은 한화첨단소재와 한화큐셀이 각각 담당한다. 이중 한화큐셀의 경우 비주력 사업장을 정리하며 생산 역량을 미국에 집중하고 있지만 국내 공장의 가동률이 처음으로 50%대까지 떨어진 상태다.
2020년 한화솔루션의 전신인 한화케미칼은 자회사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를 합병한 이후 2021년부터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가동률을 별도로 공개하기 시작했다. 당시만 해도 음성·진천의 셀·모듈 생산능력(각각 6GW 이상)이 중국, 말레이시아 등 해외 거점보다 2~3배가량 많았다.
태양광 산업의 성장세가 가시화하며 2021~2022년 신재생에너지 부문 생산능력은 95%에 육박했다. 기초소재 부문 울산공장, 가공소재 부문 공장(세종·음성)의 가동률이 90% 아래로 떨어졌던 시기다.
신재생에너지 부문에서 가동률을 끌어올리면서 2020년까지 1조원 아래였던 해당 사업의 재고자산 총액 역시 1조원선(2021년), 2조원선(2022년)을 차례로 넘어섰다. 특히 2022년에는 상품·제품 재고자산 규모만 1조원을 웃돌며 제품 생산속도가 빨랐다. 그해에 신재생에너지 부문은 연간 흑자전환에 성공하기도 했다.
다만 지난해부터 드리워진 태양광 업황 둔화 속에 가동률이 점차 하향 조정됐다. 대신 비주력 생산사업장은 정리하고 증설 투자를 미국에 쏟는 '선택과 집중' 전략을 택했다. 지난해 말 음성공장(3.5GW)에서 모듈 생산을 중단했고 올해 상반기 말에는 중국 치둥공장에서도 셀·모듈(각각 2~3GW) 영업·생산을 중지했다. 이중 음성공장 중단의 여파로 현재 국내공장 가동률이 58%까지 떨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신규 생산거점인 미국공장은 램프업(생산량 확대)을 거치는 단계다. 2022년 1.7GW 수준이었던 미국 내 모듈 생산능력은 증설 과정을 거쳐 지난해 말 5.1GW, 올 상반기 8.4GW 등으로 확대됐다. 한화솔루션이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해외 가동률을 공개하고 있진 않다. 아직 미국 셀 공장이 가동하지 않아 국내에서 생산한 셀이 미국으로 들어가는 점을 감안하면 현지 가동률 자체는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듯 높지 않은 가동률에 재고가 쌓이며 재고자산회전율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재고자산회전율은 그 숫자가 높을수록 재고자산이 매출로 빠르게 전환한다는 의미다. 한화케미칼 시절이던 2017년 5.8회까지 찍었던 재고자산회전율은 2021년 4.7회, 2023년 3.4회, 올 상반기 2.4회 등으로 내려왔다. 최근 1년6개월 사이에만 회전율이 1회 떨어졌다.
올 상반기 4조315억원 규모의 재고자산 총액 중 신재생에너지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62%(2조4883억원)에 이른다.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재고자산 액수가 3년 연속 2조원을 웃도는 수치로, 재공품 재고가 2022년 3863억원에서 올 상반기 1조673억원으로 불어나며 전체 재고자산 증가를 이끌었다. 같은 기간 상품·제품 재고자산은 1조3946억원에서 9159억원으로 줄며 회사 차원의 최종 제품 재고 감축에 초점을 둔 것으로 분석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코스닥 오너의 투자조언
- [i-point]에이루트, 무상감자 결정
- [i-point]샌즈랩, 지식재산 경영인증 획득… IP 포트폴리오 강화 박차
- [i-point]한컴케어링크, 3년 연속 질병관리청 생산 과제 수행기관 선정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주가만으로도 확실한 환원, 미래투자 차이점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안정적 배당 추구 vs 적극적 주주환원에 '알파'도 기대
- 교보생명, 보장성 비중 축소 속 실적·CSM 동시 감소
- BC카드, 신사업 선전에도 본업 매출 축소
- 푸본현대생명, 환율 변동성에 투자부문 적자
- 코리안리, 보험계약마진 증가… 킥스비율도 우상향
김동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삼성SDI, '현저한' 투자축소...속도조절은 지역별 상이
- 한화큐셀 박승덕 사장, 복귀 4년만에 대표 내정
- [KAI 밸류업 점검]지배구조 준수율 70% '재진입' 목표, 중점개선 항목 '주주'
- 운영자금 급한 포스코필바라, 자금조달 상·하반기 분산
- [이사회 분석]포스코GS에코머티리얼즈, 포스코 지분율 70%로 '급증'...이사회 구조는 유지
- [KAI 밸류업 점검]'별도·최소' 배당성향 설정, 주주환원 다양화 가능성 열었다
- [KAI 밸류업 점검]1.5조 투자 반환점, 윤곽 드러낸 AI·우주 포트폴리오 방향성
- [KAI 밸류업 점검]올해보단 내년...폴란드 수출에 매출 성장 자신감
- 존재감 살아있는 한화시스템 ICT, '필리' 손실 메운다
- '1.1조 유증' 포스코퓨처엠, 소재 공급망 '조기' 재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