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위기대응 체계 점검]애큐온저축, 차주 상환능력 저하…건전성 개선 집중①가계대출 비중 29→41%…부실채권 적극 정리에 연체율 하락
김서영 기자공개 2024-09-26 12:53:25
[편집자주]
저축은행업계가 위기를 겪고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과 개인사업자 대출 등에서 부실이 발생하며 연체율이 높아지고 있다. 충당금 적립액도 커지면 수익성 악화로까지 이어진다. 건전성과 수익성 관리란 '이중고'에 처한 저축은행이 위기대응 체계를 어떻게 구축해 운영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9월 24일 15시2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애큐온저축은행이 꼽은 올해 위기 요인은 건전성 악화였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고금리 기조에 차주들의 상환 능력이 떨어지면서 연체율이 가파르게 상승했기 때문이다. 업계 전체의 위기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성 평가에 따른 충당금 전입액 증가를 지목했으나 PF 비중이 높지 않아 충당금 쇼크는 제한적이었다.◇올해 당면 위기는 '건전성' 악화…PF 비중 전체 3.7% 불과
애큐온저축은행은 '더벨 위기대응 체계 설문조사'에서 올해 당면 위기로 건전성 악화를 꼽았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고금리 장기화 기조와 경기 침체 등으로 차주의 상환 능력이 저하되면서 업계 전체의 경영 환경이 악화한 탓이다.
지난해 초 자산을 줄이면서 가계대출 비중을 높이는 방식으로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했다. 이에 따라 올 상반기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1조9934억원으로 전체 대출액의 41.24%를 기록했다. 이는 작년 동기 가계대출 비중 29.16%보다 12.08%p 커진 수치다. 같은 기간 기업대출 비중은 57.9%에서 41.99%까지 15.91%p 감소했다.
지난해 초부터 포트폴리오를 재편했으나 수익성 악화는 피하지 못했다. 작년 1분기부터 4분기까지 연속 분기 적자를 기록했고 633억원의 연간 순손실을 기록했다. 개인신용대출을 중심으로 건전성이 나빠지며 수익성 악화에 빠졌다.
다만 올 들어 흑자 전환에 성공하며 수익성 방어에 성공했다. 올해 1분기 41억원, 2분기 61억원의 순이익을 올려 누적 순이익 102억원을 기록했다. 올 3분기에도 연속 흑자 기록을 이어갈지 관심이다.
작년 말 NPL 비율은 6.74%를 기록했는데 전년 동기(3.95%) 대비 2.79%p 상승했다. 같은 기간 연체율도 2.86%에서 5.09%까지 빠르게 올랐다. 올해 1분기 말 NPL비율과 연체율은 각각 6.93%, 5.27%까지 높아졌다.
한편 애큐온저축은행은 업계 전체의 위기 요인으로 부동산PF 사업성 평가에 따른 충당금 적립액 증가라고 답했다. 다만 애큐온저축은행은 부동산PF 대출 규모가 크지 않고, 작년 초부터 기업대출 규모를 줄이는 포트폴리오 재편으로 사업성 평가에 따른 충당금 확대 영향은 크지 않았다.
올해 상반기 말 부동산PF 대출잔액은 1801억원으로 신용공여한도 9667억원의 18.63%에 불과하다. 이는 전체 대출액(4조8336억원)의 3.7% 수준에 불과하다. 2022년 말 PF 대출잔액 2647억원에 비해 31.96% 감소한 수치다. 건설업(712억원), 부동산업(2801억원)까지 모두 포함한 부동산업종 대출잔액은 5314억원이다. 부동산업 대출 연체율은 9.41%다.
◇올 상반기 부실채권 850억 상매각, 건전성 지표 개선
최근 애큐온저축은행 경영 실적에서 눈에 띄는 점은 건전성 지표가 개선세를 보인다는 것이다. 올해 상반기 말 기준 NPL비율과 연체율은 각각 6.86%, 4.73%로 나타났다. 연체율과 NPL비율 모두 전 분기 고점을 찍고 하락하는 모양새다. 올해 1분기 말 NPL비율은 6.93%, 연체율은 5.27%까지 오른 바 있다.
애큐온저축은행은 부실채권에 대한 적극적인 상매각을 통해 건전성 개선을 이끌어낸 것으로 분석된다. 올 상반기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부실채권 상매각 및 환매 규모는 849억원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대손상각 규모는 49억원, 매각 및 환매 규모는 800억원이다. 전년 동기 571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상매각 및 환매한 것과 비교해 48.69% 늘어난 수치다. 작년 상반기 대손상각액은 12억원, 매각 및 환매액은 559억원이었다.
애큐온저축은행은 올 상반기 대손충당금 전입액 95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914억원)보다 4.16% 소폭 증가한 수준이다. 1년 새 대손충당금 전입액이 증가했으나 부실채권 상매각 규모가 크게 증가하며 충당금 잔액은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올 상반기 말 기준 대손충당금 잔액은 2345억원으로 전년 동기(2330억원) 대비 소폭 증가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갤럭시 언팩 2025]삼성의 AI폰 진화 전략, '소비자 중심' 원칙 확고
- [갤럭시 언팩 2025]'엔비디아' 출신이 확신한 '무한' XR 경쟁력
- 율촌 그룹대표 전격 교체, 기업법무·금융 ‘박재현·신영수호 출항’
- 지주사 전환 취소 빙그레, 초조했던 '2개월'
- [서울보증보험 IPO]밸류에이션 38% 하향…상장 완주 의지
- 고려아연, '영풍 빼고' MBK에 화해 제스처...반응은 '냉랭'
- 산은, 정치리스크 우려 불구 아시아계 SSA서 안밀렸다
- '장기휴면' 회사채 발행사 속속 복귀…무림페이퍼도 동참
- [서울보증보험 IPO]상장 재수 본격화…올 두번째 코스피 주자 '유력'
- 쿼드운용, 한국단자공업에 주주서한…최대주주 설득 관건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디벨로퍼 리포트]SK디앤디, 차입구조 단기화 속 부채비율 개선한다
- [상장 리츠 리포트]'순익 껑충' 롯데리츠, 배당 여력 커진다
- HL디앤아이한라, 차입금 리파이낸싱 '순항'
- [PF Radar]코오롱글로벌, '김해 공동주택' 준공 앞두고 만기 연장
- [건설사 CFO 성과 분석]맹주국 자이에스앤디 본부장, 재무 안정화 이어갈까
- [CFO Change]한신공영, 신임 경영기획실장에 김정훈 전무 '낙점'
- [thebell note]건설사 숨겨진 신년 키워드 '생존'
- [CFO Change]자이에스앤디, GS건설 출신 맹주국 본부장 선임
- 자이에스앤디, CSO 신설…배성환 신임 본부장 낙점
- [신동아건설 법정관리]워크아웃 대신 기업회생 택한 까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