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너가 무브먼트]글로벌세아, 심철식 단독 대표 체제로 전환김진아 대표 경영협의회 의장 취임, 그룹 차원 미래지향적 전략 수립 매진
김혜중 기자공개 2025-01-10 07:50:34
[편집자주]
국내 유통업계는 소비 트렌드 변화와 시장 재편 속에서 세대교체가 본격화되고 있다. 오너가 2·3세들은 경영 참여와 지배력 확대를 통해 새로운 리더십을 발휘하며 업계 흐름을 바꾸고 있다. 더벨은 오너가(家)의 행보 속 숨겨진 전략과 변화의 행간을 읽으며, 유통업의 미래 방향성과 경영 전략의 핵심 포인트를 짚어본다.
이 기사는 2025년 01월 08일 11시3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글로벌세아그룹 오너 2세인 김진아 사장의 그룹 내 역할에 변동이 생겼다. 취임 4개월만에 대표이사 자리에서 사임하고 신설된 경영협의회 의장으로 이동했다. 불확실한 대외환경 속 그룹의 중장기적인 전략 수립을 맡아 새로운 성장동력 모색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8일 업계에 따르면 김진아 글로벌세아 사장이 취임 4개월만에 대표이사직에서 사임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내이사직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지주사 글로벌세아 내 신설된 경영협의회 의장을 맡는다. 이에 따라 글로벌세아는 기존 심철식·김진아 각자대표에서 심철식 단독대표 체제로 전환됐다.

글로벌세아그룹은 2024년 8월 인사이동을 통해 김진아 글로벌세아 사장과 심철식 쌍용건설 경영총괄 사장을 지주사 글로벌세아 대표이사로 임명했다. 기기존 글로벌세아 대표이사를 맡고 있던 김기명 부회장은 그룹 총괄부회장 역활을 맡고 김웅기 글로벌세아 회장의 차녀인 김 사장이 보폭을 확대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다만 대표이사 부임 4개월만에 글로벌세아그룹은 김 사장에게 새로운 역할을 부여하면서 변화를 줬다. 김 사장은 그룹 내 중장기적 관점에서의 전략 수립을 위한 컨트롤타워를 총괄하고 심 대표는 회사 내 사업을 관리하고 안정적인 성장을 이끄는 형태다.
글로벌세아그룹의 이러한 결정은 그룹 내 위기의식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글로벌세아의 2023년 연결 기준 매출액은 4조648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했다. 잇단 인수합병(M&A)으로 외형을 키운 영향이 컸다. 다만 영업이익은 1164억원으로 35.8% 감소했다. 이자비용은 554억원에서 1084억원으로 늘어나면서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글로벌세아그룹은 모태 회사이자 캐시카우인 세아상역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특징을 지닌다. 주요 인수합병 주체로 나서기도 했고 계열사 자금지원 창구가 되기도 했다. 다만 고금리와 고물가로 인한 소비둔화로 인해 의류 시장 전반이 침체된 상황 속 세아상역도 그 여파를 피해가지 못했다. 2023년 세아상역의 매출액은 1조821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 감소했다.
글로벌세아그룹은 과거 ‘비전 2025’라는 경영목표를 제시했고 창립 40주년을 맞는 2025년까지 연 매출액 10조원과 영업이익 1조원을 달성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섬유와 식음료, 건설·제지·포장, IT 등 4대 핵심 사업군을 바탕으로 국내 기업순위 50위권의 기업으로 성장시키겠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적극적인 M&A와 신규사업 진출을 타진했다.
비전 2025의 원년을 맞이한 올해 목표 달성 가능성은 불투명하다는 평가다. 오히려 주력 계열사의 성장세가 꺾인 상황 속 반등을 위한 신규 성장동력을 마련할 필요성이 커졌다. 이에 관련 업무를 전담하는 지주사의 경영협의회와 의장 김 사장의 역할 또한 중요해졌다는 분석이다.
글로벌세아 관계자는 “김진아 사장은 경영협의회 의장으로서 대외 환경의 불확실성 속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미래 지향적 전략 수립에 매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HD현대일렉 "수주잔고 상승, 분기별 매출 편차 축소"
- [GM·르노·KGM 생존기]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 출시 효과' 실적 개선세
- [GM·르노·KGM 생존기]추가물량 배정받은 한국GM, 흑자행진 이어간다
- 이지스운용, 두산건설 논현사옥 5년 만에 판다
- 키웨스트운용, 주담대 펀드 주목 받는 이유
- 변동성 장세엔 KODEX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분배금도 우수
- 중국 주목하는 미래에셋운용, 테마형 ETF 출시 검토
- 해외 투자 여전히 강세…자문형랩도 활발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두산에너빌리티, '밥캣·베트남' 품고 배당수익 날아올랐다
- [CAPEX 톺아보기]현대글로비스, 1년 만에 300% 증액…탄탄한 재무 '뒷받침'
김혜중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에이피알을 움직이는 사람들]김병훈 대표, 젊은 감각으로 '변화의 흐름' 재편
- [사모펀드 유통 포트폴리오 점검]투썸플레이스, '투자·상환' 일단락에 회수 여력 '확대'
- '9부 능선' 티빙-웨이브 합병, K콘텐츠 산업 '기대감'
- 동서식품, '맥심플랜트' 앞세운 고객 접점 확대
- [사모펀드 유통 포트폴리오 점검]투썸플레이스, '투자'에 방점 찍은 기업가치 제고
- [밸류업 프로그램 리뷰]하나투어, 중장기 '실적'에 초점 둔 기업가치 제고
- [사모펀드 유통 포트폴리오 점검]맘스터치, 여유로운 엑시트 기한…밸류업에 '방점'
- '천주혁호' 크레이버, 첫 행보는 '스킨천사' 흡수합병
- hy, 계절 맞춘 '잇츠온 박속 연포탕' 신제품 출시
- [사모펀드 유통 포트폴리오 점검]맘스터치, 계획된 사업 구조조정 속 '경쟁력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