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퍼저축은행 이사회서 빠진 그룹 '창업자' 이사회 내 등기이사 6명서 4명으로…지난해 초 건강 문제로 그룹 CEO직 사임
유정화 기자공개 2025-01-24 12:38:42
이 기사는 2025년 01월 22일 07시41분 THE BOARD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호주 페퍼그룹의 창업자(Founder)이자 기타비상임이사로 활동하고 있는 마이클 찰스 컬헤인(Michael Charles Culhane·사진)이 페퍼저축은행의 임원직을 사임했다. 지난해 말 김리차드현 사외이사에 이어 창업자가 임원직을 사임하면서 페퍼저축은행 이사회에 속한 이사도 4명으로 줄었다.1968년생인 마이클 찰스 컬헤인 이사는 지난해 초 건강 문제로 그룹 최고경영책임자(CEO)직에서는 물러났지만, 이후에도 페퍼그룹과 계열사 이사회 일원으로 참여해 왔다. 최근 페퍼저축은행의 경영 상황이 악화한 만큼 임원직을 사임한 이유를 두고 업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임기 2년 4개월 남겨두고 사임

마이클 찰스 컬헤인 이사는 호주 페퍼그룹의 창업자다. 2000년 페퍼머니를 설립한 뒤 페퍼그룹이 운영하는 관할권에서 글로벌 비즈니스 전략을 총괄했다. 그러다 지난해 1월 건강 문제로 페퍼그룹 CEO직을 내려놨다. 당시 그는 "경영 업무에서 물러나 특정 페퍼그룹 이사회의 일원으로 계속 활동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지난해 8월 페퍼저축은행도 마이클 찰스 컬헤인 이사의 이사회 의장 임기를 1년 연장했다. 당시 페퍼저축은행은 이사회 의장 선임사유 공시를 통해 "외국인투자법인으로서 효율적인 이사회 운영을 위해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했다"고 설명했다.
마이클 찰스 컬헤인 이사의 사임으로 페퍼저축은행의 이사회 내 등기이사는 4명으로 줄었다. 앞서 2020년부터 페퍼저축은행의 사외이사로 활동했던 김리차드현 이사도 지난해 말 사외이사를 사임한 바 있다. 김리차드현 이사는 사임 후 유안타증권 해외법인영업본부장으로 합류한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페퍼저축은행의 이사회는 상임이사 1인, 그리고 사외이사 3인으로 구성된다. 장 매튜 하돈 대표이사는 2013년 10월 선임돼 올해 10월 임기가 만료된다. 사외이사로는 △박영규 △진 마이클 재욱 △구본석 이사 등이 활동하고 있다.
◇페퍼그룹 2년간 400억 유증…사임 여파는
마이클 찰스 컬헤인 이사는 그간 페퍼저축은행의 이사회 의장으로 경영에 영향력을 끼쳐온 것으로 알려졌다. 페퍼그룹은 유상증자를 통해 최근 2년간 페퍼저축은행에 총 400억원을 지원했다. 2023년 5월 200억원을 증자한 데 이어 지난해 3월과 10월 각각 100억원의 자금을 수혈했다.

자본확충 덕에 페퍼저축은행은 지난해 3분기 말 BIS비율은 11.83%을 기록했다. 2분기 말(11.21%) 대비 0.62%p 상승했다. 금융당국은 BIS비율 권고치를 11%로 두고 있다.
최근 페퍼저축은행의 경영 실적은 좋지 않다.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자산 부실화로 경영 상황이 악화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3분기 기준 762억원의 누적 적자를 기록했다. 페퍼저축은행은 전국 79개 저축은행 중 자산(3조1943억원) 기준 7위다. 9월말 기준으로 2023년(5조7773억원)에는 6위, 2022년(7조1949억원)에는 4위였다.
최근 페퍼저축은행은 저축은행업권에선 이례적으로 희망퇴직을 결정했다. 2013년 페퍼그룹에 인수된 이후 처음이다. 전 직원이 대상이며, 위로금은 기본급 1년치다.
마이클 찰스 컬헤인 이사의 사임이 이같은 상황이 맞물리다 보니 뒷말도 나온다. 저축은행업계 한 관계자는 "아무래도 그룹 영향력이 상당한 인사가 경영상황이 악화된 자회사의 임원직에서 사임했다는 건 그룹 내 영향력이 축소될 수 있는 사안"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자가면역질환 신약' 이노보테라퓨틱스, 미국 임상 1상 '성공적'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엔비디아 ‘커넥트’ 공식 파트너 선정
- [i-point]신성이엔지, 한국종합기술·다스코와 연료전지 발전사업 협약
- [i-point]신테카바이오, 'PEGS 보스턴 2025' 참가
- [AACR 2025]첫 구두발표 진씨커, 경쟁사 넘보는 '유전자가위 액체생검'
- [AACR 2025]이뮨온시아 'CD47' 안전성 굳히기 "경쟁약과 다르다"
- [AACR 2025]항암 신약 항체 대신 '페라틴', 셀레메디 플랫폼 데뷔전
- [AACR 2025]근거 쌓는 '루닛 스코프' 빅파마 공동연구 쇼케이스
- [변곡점 선 콜마비앤에이치]변화의 마지막 카드, 경영진 교체 '강수' 두나
- [변곡점 선 콜마비앤에이치]속절없는 주가 하락 '트리거', 주가 부양 의지 없었나
유정화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thebell interview]'리츠' 힘주는 우리자산신탁 "그룹 시너지 극대화"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중금리대출 '10년', 계륵에서 핵심 상품으로
- [금융 人사이드]하나저축, 심사본부장에 그룹 출신 전상윤 이사 선임
- [thebell note]기타오 SBI그룹 회장의 '차선책'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SBI홀딩스, '경제적 권리' 70% 합의…실속 챙겼다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1위 저축은행 PBR 0.95배, 상상인그룹은 '난색'
- 견고한 신한저축, 보증부대출 덕 지주계 순익 '1위'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엇갈린 지주사 전환의 꿈, SBI그룹 무뎌진 결속력
- [Sanction Radar]새마을금고, 또 자금세탁방지 의무 위반 '과태료' 징계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1조4000억 들여 이뤄낸 '1위 저축은행', 매각 배경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