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태 2025 1차 정시출자]기업승계 M&A, 린드먼아시아·L&S·K2인베 지원 이목[중기부]중간 회수시장 보강 위해 신설…전문 사모펀드 운용사 다수 도전
이채원 기자공개 2025-03-05 08:30:26
이 기사는 2025년 03월 04일 14시0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중간 회수시장을 보강하기 위해 모태펀드 기업승계 M&A 분야를 신설한 가운데 다수 사모펀드(PEF) 운용사가 지원했다. 이 중 전문 사모펀드 운용사가 아닌 린드먼아시아인베스트먼트와 케이투인베스트먼트파트너스, 엘앤에스벤처캐피탈(L&S벤처캐피탈)가 도전장을 내 눈길을 끈다.한국벤처투자가 공개한 모태펀드 중기부 소관 1차 정시 출자사업에 따르면 기업승계 M&A 분야에 총 9곳의 투자사가 지원했다. 모태펀드 출자액은 총 300억원이다. 선정 예정 위탁운용사(GP) 수는 정하지 않았다.
이 분야에는 다수 사모펀드 운용사가 지원했다. 지원사는 △나우아이비캐피탈 △다올프라이빗에쿼티 △린드먼아시아인베스트먼트 △어센트프라이빗에쿼티 △에버베스트파트너스·하버브릭스파트너스 컨소시엄 △에임인베스트먼트·화인자산운용 컨소시엄 △엘앤에스벤처캐피탈·오로라파트너스 컨소시엄 △케이앤티파트너스 △케이투인베스트먼트파트너스·중소기업은행 컨소시엄 등 9곳이다.

이 중 사모펀드 전문 운용사가 아닌 벤처캐피탈은 3곳이다. 2006년 설립된 L&S벤처캐피탈은 운용자산(AUM) 6000억원을 굴리고 있다. 신성델타테크의 자회사로 반도체·신소재 등의 분야 기업에 투자해왔다. 17개 벤처펀드와 L&S신성장동력 PEF를 운용 중이다.
린드먼아시아인베스트먼트는 2006년 설립됐으며 벤처캐피탈(VC) 겸 사모펀드(PEF) 운용사다. AUM은 지난해 기준 9378억원이다. 하우스가 운용하고 있는 벤처조합과 사모펀드는 총 9개이며 벤처조합 AUM은 3183억원, 사모펀드는 6195억원으로 비중은 1대 2 수준이다.
K2인베스트먼트는 중소기업은행과 손잡고 기업승계 M&A 분야에 지원했다. K2인베스트먼트는 국내 LLC(유한책임회사)형 VC다. 국내 LLC형 VC 중 프리미어파트너스를 제외하고 가장 큰 규모의 운용자산을 굴리고 있다. 더벨 리그테이블 기준 지난해 말 AUM은 6524억원이다.
지난해 말 성장금융·IBK 펀드 출자사업에 지원한 하우스가 이번 모태펀드 기업승계 M&A 분야에 지원한 점도 눈에 띄었다. 다올프라이빗에쿼티는 성장금융·IBK 펀드 소형 분야에서 GP로 선정됐다. 다올프라이빗에쿼티는 올 상반기 2000억원 규모 4호 블라인드 펀드를 1차 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에임인베스트먼트·화인자산운용 컨소시엄은 앞선 성장금융 출자사업에서 고배를 마시고 이번 기업승계 M&A 분야에 도전했다. 에임인베스트먼트는 2019년 설립된 사모펀드 운용사다.
이외에도 나우아이비캐피탈, 어센트프라이빗에쿼티, 에버베스트파트너스, 케이앤티파트너스 등 다수 중소·중견회사의 바이아웃 및 경영 참여 가능한 지분 투자에 특화된 사모투자전문회사가 지원해 눈길을 끌었다.
기업승계 M&A 분야는 정부가 ‘기업승계법’(가칭)을 제정해 인수합병(M&A) 방식의 기업승계 활성화에 나서면서 올해 신설됐다. M&A 및 바이아웃 등을 위한 중소기업 인수에 약정총액의 60%이상을 투자해야한다.
중견기업에 대한 투자는 피투자 중견기업이 중소·벤처기업을 인수·합병 하는경우에 한해 약정총액의 40% 이내에서 할 수 있다. 피인수기업의 대표자의 연령이 만 60세 이상이거나 경영기간이 5년 이상인 기업의 인수에 대해서는 약정 총액의 20%이상을 투자해야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HD현대일렉 "수주잔고 상승, 분기별 매출 편차 축소"
- [GM·르노·KGM 생존기]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 출시 효과' 실적 개선세
- [GM·르노·KGM 생존기]추가물량 배정받은 한국GM, 흑자행진 이어간다
- 이지스운용, 두산건설 논현사옥 5년 만에 판다
- 키웨스트운용, 주담대 펀드 주목 받는 이유
- 변동성 장세엔 KODEX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분배금도 우수
- 중국 주목하는 미래에셋운용, 테마형 ETF 출시 검토
- 해외 투자 여전히 강세…자문형랩도 활발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두산에너빌리티, '밥캣·베트남' 품고 배당수익 날아올랐다
- [CAPEX 톺아보기]현대글로비스, 1년 만에 300% 증액…탄탄한 재무 '뒷받침'
이채원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thebell note]VC가 실리콘밸리로 향할 때
- [VC 투자기업]아모지, 암모니아 수소변환 개발 총력…C레벨 충원
- '부산 연고' NVC파트너스, 부산혁신펀드 140억 결성
- [기술특례 상장 그후]‘목표치 훌쩍’ 씨어스테크놀로지, 아웃퍼폼에 주가 활짝
- [기술특례 상장 그후]실적 가이던스 지킨 에이치이엠파마, 성장 요인은
- [thebell interview]박세준 유니포트 대표 “정착 외국인 필수 앱 되겠다”
- [VC 투자기업]CJ프레시웨이 공략한 에니아이, 매출 상승 기대감
- 경남지역혁신펀드, 케이런벤처스 반전서사 쓸까
- [VC 투자기업]아이쿠카, 사용자 활동성 지표 시중은행 추월
- [VC 투자기업]델타엑스, 150억 시리즈A 시동…연구개발 총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