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C&E, 폐기물 계열사 4년만에 '흑자전환' 환경사업 자회사 '그린에코솔루션' 선전...전방산업 부진 속 순환연료대체율 50% 달성
김지원 기자공개 2025-04-09 15:15:18
이 기사는 2025년 04월 07일 16시1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홍사승 쌍용C&E 회장이 지난해 보수로 상여금 80%를 포함한 6억4600만원을 수령했다. 홍 회장이 상여금을 받은 건 2021년 이후 3년만이다. ESG경영비전인 'Green2030'에 따라 순환연료 대체율을 50%로 끌어올린 데 대한 성과를 인정받았다.지난해 환경사업과 관련한 성과를 내기도 했다. 폐기물 계열사인 그린에코솔루션이 사업 진출 4년만에 흑자를 실현했다. 다만 올해까지 환경사업부의 상각전영업이익(EBITDA) 비중을 50%로 만들겠다는 목표에는 변동이 생길 전망이다.
◇홍사승 회장, 3년만의 상여…ESG 성과냈다

ESG 경영에서 성과를 보인 덕이다. 쌍용C&E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 공정개선을 통해 순환연료 대체율 50%를 달성하는 등 ESG 경영비전인 'Green2030'에 맞춰 자원순환사회 구축에 다가가는 의미있는 성과를 거두었다"며 상여 지급 이유를 설명했다.
홍사승 회장은 1967년에 쌍용C&E의 전신인 쌍용양회에 입사했다. 1991년 임원으로 승진했고 2005년에 대표이사를 맡았다. 이후 대한시멘트 등에서 회장직을 지내다가 한앤컴퍼니가 쌍용C&E 경영권을 인수한 이듬해 쌍용C&E의 대표이사 회장으로 복귀했다.
쌍용C&E는 종합환경기업을 표방한다. 2021년 창립 60주년을 맞아 쌍용양회에서 시멘트를 뜻하는 한자어 양회(洋灰)를 떼어내고 쌍용C&E로 사명을 바꿨다. 시멘트(Cement)와 환경(Environment)의 앞글자를 딴 것으로 환경사업 진출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당시 'Green2030'도 발표했다. 탈석탄 비전을 제시하고 2030년까지 유연탄을 폐플라스틱 등 순환자원으로 전량대체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구체적인 수치는 제시되지 않았지만 지난해 순환자원 대체율을 50%를 넘기며 홍 회장이 이같은 성과를 인정받았다.
◇환경사업 자회사 흑자실현, 전체 사업부 목표는 '아직'

또 다른 성과는 환경사업의 자회사인 '그린에코솔루션'이 흑자를 실현한 것이다. 쌍용C&E는 환경사업 확장을 위해 그린에코솔루션을 설립했다. 이후 그린에코솔루션을 중간지주사로 삼고 그린에코사이클, 그린에코넥서스 등을 인수해 손자회사로 만들었다.
쌍용C&E는 크게 시멘트사업과 환경사업을 영위한다. 환경사업은 시멘트 제조과정에서 폐열발전을 활용하는 쌍용C&E의 환경사업부와 폐기물 사업을 영위하는 그린에코솔루션으로 구성된다.
그린에코솔루션은 폐기물을 활용해 수수료를 내는 사업구조다. 쉽게 말하면 20만원을 받아 폐기물을 수거한 다음 여러 작업을 거쳐 10만원에 순환자원을 판매하는 구조다. 양질의 폐기물은 재활용할 수 있게 만들고 재활용이 어려운 폐기물은 시멘트 기업에 순환자원으로 판매한다. 폐기물 수급량에 따라 가격이 수익성이 달라진다.
그린에코솔루션은 사업확장 4년만인 지난해 흑자를 실현했다. 그린에코사이클은 31억원, 그린에코넥서스는 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도에 각각 마이너스(-)78억원, -38억원를 기록했는데 이에 비해 큰폭으로 개선된 것이다.

다만 전체 환경사업부 실적은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쌍용C&E는 Green2030을 통해 2025년에 전체 EBITDA의 50%를 환경사업에서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현재 영업이익에서 환경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1%에 불과하다.
쌍용C&E 관계자는 "지난해 전체 EBITDA에서 환경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3~14%로 추산돼 아직 갈길이 멀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애큐온은 지금]보폭 다른 스웨덴계 사모펀드의 ESG경영, 핵심은 'G'
- [NPL 경영분석]우리금융F&I, 자본확충 힘입은 고속성장…순이익 3배 점프
- [8대 카드사 지각변동]'배당 생략' KB국민카드, 리스크 선제대응 만전
- [보험사 CSM 점검]KB손보, 신계약 성과로 극복한 가정 변경 영향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인수TF, 우리운용과 '계열사 시너지' 논의 본격화
- [금융사 KPI 점검/KB국민은행]재무성과 평가 항목에 'RoRWA' 추가한 까닭은
- [생명보험사는 지금]삼성생명, 빅3 중 유일하게 오너 영향권 밖, 영향은
- [신협 부실여신 관리 점검]7.5조 NPL 정리 속도…걸림돌은 대부업 '자산한도'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미래에셋캐피탈, 여신 부실 선제 대응…한도 관리 체계 강화
- 신세계프라퍼티, 6개월 공석 '지원본부장' 보강
김지원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int]탑런토탈솔루션, LG전자와 147억 규모 공급계약 체결
- [종합상사의 변신]GS글로벌, '희비갈린' 신사업…GS엔텍 '이목집중'
- [종합상사의 변신]삼성물산 '태양광 사업' 궤도 올랐다...유럽 진출까지
- [i-point]대동, 튀르키예 최대 규모 '콘야 농업 박람회' 참가
- [i-point]제이엘케이, 다인종 데이터 성능 입증
- [Company Watch]현대ADM, 연구개발비 탓 적자 지속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i-point]제이엘케이, 'JLK-LVO' 혁신의료기기 통과
- [thebell interview]"매출 1000억 이어 신사업 두 마리 토끼 잡을 것"
- [Company Watch]대유, 상폐 효력정지 가처분 '글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