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5년 04월 25일 07시03분 THE BOARD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단어와 ‘이름 붙이기(naming)’는 단순히 사물을 부르는 행위를 넘어 존재와 개념을 인식하고 사회적으로 받아들이게 하는 결정적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세상에 없던 ‘인공지능(AI)’이라는 단어가 등장하면서 인간의 지능을 흉내내거나 대체하는 기계·프로그램이라는 개념이 사회에 자리 잡았다.만약 이 단어가 없었다면 어땠을까. AI에 익숙지 않은 이들은 이를 단순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자동화 시스템 쯤으로 여겼을 가능성이 크다. 지금처럼 AI의 영향력이나 책임, 사회적 파장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기도 어려웠을 것이다. AI라는 이름이 생기면서 우리는 이 존재를 명확히 인식하고 법적·윤리적 논의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게 됐다. 물론 ‘언어 상대성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이같은 주장에 이견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새로운 단어가 등장할 때마다 ‘명명’의 힘과 그 파급력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게 된다.
‘소액주주’와 ‘비지배주주’라는 용어도 그렇다. 얼마 전 만난 한 사외이사는 소액주주 대신 비지배주주라는 표현을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액주주’라는 말이 자칫 '소액’에 방점이 찍혀 주주의 영향력이나 중요성을 축소하는 뉘앙스를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소액주주가 스스로를 ‘작은 존재’로 여기게 하고 사회적으로도 그들의 목소리와 권리를 과소평가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대안으로 제시된 ‘비지배주주’는 ‘지배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단순히 적은 지분을 가진 것이 아니라 주식의 규모와 상관없이 경영권이 없는 독립적 주체임을 명확히 한다.
무산되기는 했지만 여전히 뜨거운 감자인 상법 개정안을 떠올려 보면 우리 사회는 이미 ‘비지배주주’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다는 생각이 든다. 미셸 푸코의 말처럼 법은 사회적 권력과 인식의 변화가 선행된 뒤에야 비로소 변화된 현실을 제도화하고 규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법은 아직이지만 이미 현실에서는 비지배주주들이 스스로 목소리를 내고있다. 그들이 모인 단체들은 경영 감시와 견제, 권리 행사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동을 확대하고 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김춘수 시인의 시처럼 이름을 가진다는 건 존재의 무게를 사회가 인정하는 일이다. 이제 ‘비지배주주’라는 이름 아래 더 많은 목소리가 꽃처럼 피어나길 꿈꿔본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리브스메드, 흑자전환 여건 개선…5월 예심청구
- 혁신산업펀드, 성장지원 지원자 대거 서류 탈락
- 롯데칠성음료, '새로' 고객 접점 확대에 방점
- [New Issuer]한국물 데뷔 도전 포스코홀딩스, '장기물' 베팅 전략
- [코스닥 유망섹터 지도]미국발 훈풍, 국내 LNG 플레이어 수혜 '부각'
- 두산건설, '창원 메가시티 자이&위브' 무순위 청약
- [현대차-포스코 글로벌 신동맹]주도와 실익 사이 미묘한 '신경전'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핀테크 스타트업에 AI 보안 솔루션 무상지원
- [i-point]인크레더블버즈, '수네스코'로 스킨부스터 시장 공략
- [i-point]바이오솔루션, 세계 골관절염 학회(OARSI) 참가
김지효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비지배주주, 너의 이름은
- [사외이사 BSM 점검]미래에셋그룹, 기업경영 전문가 다수…ESG ‘빈자리’
- [사외이사 BSM 점검]셀트리온그룹, 빠진 곳 없는 '육각형' 이사진
- [사외이사 BSM 점검]DL그룹, 사외이사 ‘전문성 분산 배치’… 소수 정예 체제 구축
- [사외이사 BSM 점검]두산그룹, 사외이사 법률·규제 전문가 ‘쏠림'
- [사외이사 BSM 점검]LS그룹, 사외이사 절반이 '재무통'… 자본시장 신뢰 방점
- [사외이사 BSM 점검]카카오그룹, 업종별로 갈린 사외이사 전문성
- [밸류업 성과 평가]밸류업 공시, 상장 공기업 반쪽 참여…재무 부담에 발목
- [사외이사 BSM 점검]더 커진 한진그룹, '법률·규제' 전문가 사외이사 과반
- [사외이사 BSM 점검]CJ그룹, 사외이사 법률·규제 전문가 80% 육박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