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use Index]미래에셋캐피탈, 미래에셋증권 지분율 '30%' 육박대우증권 합병전 지분율 회복 임박, 6년간 장내매수…네이버 스왑지분 합치면 과반 육박
최윤신 기자공개 2023-03-20 13:30:13
이 기사는 년 월 일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미래에셋그룹이 불안했던 미래에셋증권에 대한 지배력을 시나브로 강화했다. 미래에셋캐피탈의 미래에셋증권 보통주 지분율이 어느새 3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대규모 증자 없이 꾸준히 시장에서 지분을 매입해 6년여만에 10%포인트 이상 높였다. 주주환원을 위한 미래에셋증권의 자사주 매입·소각이 지분율 상승에 속도를 더해줬다.
안정적인 지분율을 확보한 만큼 앞으로 지배력강화에 속도가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실제 미래에셋캐피탈은 증권 외 다른 계열사의 지분을 확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장내매수·자사주 소각 '쌍끌이'
미래에셋증권이 지난 15일 제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미래에셋캐피탈은 지난해 말 기준 미래에셋증권의 보통주 1억6921만7305주를 보유해 보통주 지분율이 27.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 들어 이뤄진 지분매입과 자사주 소각을 계산하면 2월 말 기준 현재 지분율은 29%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016년 말 18.47% 대비 10.53%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30%에 육박하는 보통주 지분율을 갖게되면서 미래에셋증권에 대한 그룹의 지배력이 어느정도 강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래에셋캐피탈은 합병 전 미래에셋증권의 36% 가량을 가진 최대주주였다. 그런데 2016년 미래에셋증권이 대우증권을 인수한 뒤 합병하는 과정에서 합병 법인에 대한 지분율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했다. 합병 작업을 모두 마친 2016년 말 기준 지분율이 18.47%에 불과했다.
최대주주 지위는 유지하고 있었지만 충분한 의결권 지분을 갖지 못한 아슬아슬한 지배구조였다. 이에 따라 일각에선 대규모의 유상증자 등을 통한 지배력 추가 확보를 예상했지만 이는 빗나갔다. 2018년 한 차례 유상증자를 실시했지만 보통주가 아닌 우선주가 발행됐기 때문에 의결권과는 관계가 없다.
미래에셋캐피탈은 장내에서 지분을 사들이는 형태로 미래에셋증권의 보통주 지분을 계속 늘렸다. 2017년 103만7604주를 매입한 데 이어 2018년 288만3693주, 2019년 말 651만2000주 등 매년 장내에서 사들이는 물량이 늘어났다.
2020년엔 코로나 폭락장을 기회로 대규모 물량을 매수하는 등 2126만7000주를 매입했다. 이에 따라 보통주 지분율이 23.98%로 크게 올랐다. 2021년과 2022년에도 각각 558만755주, 887만7550주를 사들였다. 지분 매입은 올해 2월 까지 계속됐다. 2월 24일까지 지분을 계속 사들여 1억7551만4500주를 확보했다.
지분율은 사들인 주식수보다 빠르게 높아졌다. 미래에셋증권이 ‘주주가치 제고’를 명분으로 꾸준히 장내에서 자사주를 사들이고 소각한 영향이다. 분모가 되는 발행주식수가 줄어들자 지분율 상승에 지렛대가 됐다.
미래에셋증권은 2018년·2020년·2021년에 각각 자사주 1000만주를, 2022년에도 2000만주를 소각했다. 올해 2월 말에도 1000만주를 지웠다. 이에 따라 현재 발행된 보통주식은 6억531만6408주가 됐다.

◇네이버 지분 더하면 의결권 과반 '코 앞'
실질적인 의결권 강화는 미래에셋증권의 자사주매입도 영향을 미쳤다. 자사주에는 의결권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자사주를 매입하는 것만으로도 미래에셋캐피탈 의결권지분율의 상승이 이뤄진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3년간 약 6600억원어치의 자사주를 매입한 바 있다.
올해 2월 말 기준 미래에셋캐피탈의 의결권 지분율은 37% 가량인 것으로 추산된다. 현재 미래에셋캐피탈 외에 네이버가 가지고 있는 지분까지 더하면 의결권지분율은 47.5%가량으로 추산된다. 의결권의 절반을 확보한 셈이다.
이에 따라 올해를 기점으로 미래에셋캐피탈의 미래에셋증권 지배력 강화가 속도 조절에 들어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최근 미래에셋캐피탈이 증권이 아닌 미래에셋벤처투자에 자금을 투입한 것도 증권 지분을 충분히 확보했다는 자신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해석된다. 미래에셋캐피탈은 지난 1월 말 제3자배정유상증자를 통해 미래에셋벤처투자에 250억원을 투입해 10%가량의 지분을 확보했다. 미래에셋캐피탈이 벤처투자 지분을 직접 취득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기로에 선 신NCR]‘간접금융’ 종투사, ‘청산 관점 규제’로는 부족하다
- [IB 풍향계]KB증권, '블랙 넘버' 무릅쓰고 메가스팩 성공할까
- 교보생명, 3번째 악사손보 인수 추진…이번엔 완주할까
- 보험사, 롱숏펀드 꽂혔다…새 IFRS에 머니무브 오나
- '레포 강자' 교보증권, 인하우스 헤드 교체
- 박차훈 회장 "위기 극복으로 100년 금고 기반 다져야"
- [우리은행 차기 리더는]'이석태 vs 조병규' 첫 '상업은행' 출신 매치업 성사
- [우리은행 차기 리더는]'행내 선임' 관측 틀렸다, '은행 부문장 vs 캐피탈 대표' 구도
- [Peer Match Up/지방금융3사]'맹주' 넘보는 JB금융, '성장통' 겪는 BNK·DGB금융
- 한국증권, 운용부문 호조에 실적 개선…IB 반등 '숙제'
최윤신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기로에 선 신NCR]‘간접금융’ 종투사, ‘청산 관점 규제’로는 부족하다
- [IPO 모니터]알멕 '테슬라 요건' 탄다…NH ‘6개월 환매’ 강수
- 황성엽 신영증권 대표 연임, 각자대표 체제 이어간다
- [IPO 모니터]마녀공장, 수요예측 흥행…밴드 상단 이상 확정적
- [IPO 모니터]한투·NH 손잡은 시프트업, ‘SK바사 신화’ 재현할까
- [기로에 선 신NCR]“채무보증 위험값 조정, 궁극적 해답 안돼”
- [House Index]미래에셋증권 ‘네이버·환율’ 효과에 자기자본 '11조' 돌파
- 삼성증권, WM 성장에 호실적…채권 평가이익도 주효
- [Market Watch]‘주식 6% 현물배당', 물적분할 자회사 IPO 기준되나
- [기로에 선 신NCR]신평사가 '구NCR' 미련 못버리는 까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