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장사 재무분석]변화 예고 SK매직, 재무·전략 키맨은③삼성전자 출신 정한종 본부장, 네트웍스 순혈 조인호 실장
박기수 기자공개 2023-09-15 07:29:30
[편집자주]
비상장사는 공개하는 재무정보가 제한적임에도 필요로 하는 곳은 있다. 고객사나 협력사, 금융기관 등 이해관계자들이 거래를 위한 참고지표로 삼는다. 숨은 원석을 찾아 투자하려는 기관투자가에겐 필수적이다. THE CFO가 주요 비상장사의 재무현황을 조명한다.
이 기사는 2023년 09월 11일 14시13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올해 상반기 SK매직은 C레벨 경영진을 교체하는 강수를 뒀다. 임기 만료일이 2026년 3월까지였던 윤요섭 대표이사와 이영길 경영전략본부장이 내려오고 그 자리를 김완성 대표이사와 정한종 경영전략본부장이 꿰찼다. 경영전략본부 산하에서 재무와 전략 실무를 담당하는 기획재무실의 수장은 조인호 실장으로 기존과 동일하다.SK매직은 모회사 SK네트웍스의 최근 고민거리였다. 2021년 이후 여전히 연간 영업이익률 5~6%를 기록하고 있지만 2019년 9.1%, 2020년 8%에 비해 수익성이 내려앉은 상태다.
가전 사업의 점유율 하락과 성적 부진 등 향후 성장에 대한 내부 고민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기업 변화 과정에서 신임 대표이사인 김완성 대표이사를 중심으로 정 본부장과 조 실장이 재무와 전략의 '키맨'으로 나설 전망이다.
SK매직은 조직 구조상 기획재무실이 전사 재무 이슈를 담당한다. 재무와 조달, ESG, IR 등 세부 부서들이 기획재무실에 소속된다. 이 기획재무실은 정 본부장의 경영전략본부 소속이다. SK매직의 최고재무책임자(CFO)를 정 본부장으로 볼 수 있는 배경이다.
정 본부장은 1978년생으로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시카고대학교 부스경영대학원과 런던비즈니스스쿨에서 MBA 과정을 수료했다.
정 본부장은 2003년 연세대 졸업 후 이듬해 삼성전자에 입사했다. 삼성전자에서 재무 분석과 중국·인도 지역 전략 매니저 등을 맡았다. 이후 2013년부터 미주 지역 MX사업부(옛 무선사업부)에서 회계 담당역에 이어 2016년부터 약 5년 간 동남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재무 부총괄 역할을 담당했다.
SK네트웍스로 근무지를 옮긴 것은 2021년 4월이다. 정 본부장의 소속은 글로벌투자센터(옛 투자관리센터)였다. 이후 2023년 1월 임원으로 승진하면서 신성장추진본부장 겸 글로벌투자센터장을 겸하게 됐다.
임원 승진 후 정 본부장은 'SK매직 경쟁력 강화 TF'에 소속됐다. 이때부터 자회사 SK매직에 대한 SK네트웍스의 고민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던 것으로 보인다. 이어 올해 6월 말일 자로 정 본부장은 SK매직 CFO로 부임했다.
정 본부장이 전략과 재무의 큰 틀을 총괄한다면 재무 실무는 기존 기획재무실장인 조인호 실장이 맡는다. 조 실장은 1976년 2월 생으로 고려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졸업 직후 SK네트웍스로 입사해 20년이 넘는 시간 동안 SK그룹에서 몸 담고 있다.
조 실장은 CEO의 싱크탱크 역할을 하는 현장경험팀에 이어 재무기획실 파트장으로도 일하면서 재무와 전략 관련 부서에서 오랫동안 커리어를 쌓아왔다. SK네트웍스가 패션사업부를 매각하고 SK매직과 SK렌터카를 인수하는 과정에서도 일조했다.
조 실장은 SK네트웍스가 SK매직을 인수한 이후인 2017년부터 SK매직으로 이동했다. 첫 보직인 기획팀에서 1년 뒤 2018년 1월부터는 기획팀장을 맡았다. 현 직무인 기획재무실장을 맡은 것은 2021년부터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이해진의 복귀, 네이버의 큰 그림]포시마크로 보여준 '빅딜' 성과…글로벌 기업 '한발짝'
- [유증&디테일]셀리드, 최대주주 재원 마련 방안 '지분 매도'
- [대진첨단소재 줌인]줄어든 공모자금, 미국 공장에 90% 투입
- [하이테크 소부장 리포트]원익머트리얼즈·QnC의 흑자, 재고 감축 전략 통했다
- [Red & Blue]후공정 포트폴리오 확대한 ISC "하반기 추가 M&A"
- [Red & Blue]스피어, 특수합금 신사업 모멘텀 부각
- [thebell interview/고피자는 지금]임재원 대표 “인도 흑자전환 목표로 한식 브랜드 론칭”
- [Company Watch]한창, 애물단지 한주케미칼 매각 '눈앞'
- [AACR 2025]미국 클리아랩 인수하는 딥바이오 '매출 다변화' 예고
- [AACR 2025]대웅제약도 항암신약 경쟁 가세 "타깃·속도 자신있다"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FOs View]캐즘 저물어가나…배터리·양극재 업체들의 전망은
- [저평가 시그널: PBR 0.3]'자산 절반이 현금' 태광산업, 오너 부재 여파 컸다
- [저평가 시그널: PBR 0.3]롯데그룹, '양대 축' 유통·화학 저평가 타개책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소명해야 할 것
- [조선업 리포트]삼성중공업, 3년만에 FCF '플러스' 전환…4883억 순상환
- [조선업 리포트]삼성중공업, 관과의 '연결 고리' 강화
- [밸류업 성과 평가]DB손보, 금융권 2위…메리츠에 모자랐던 '한 끗'은
- [밸류업 성과 평가]포스코홀딩스, 업황 악화에 고전…밸류업 '하위권'
- [Financial Index/한화그룹]그룹 전반 차입 부담 심화, 에어로 유증만으로 될까
- [밸류업 성과 평가]'10위권 밖' HMM, 마의 PBR 1배 '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