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오너3세 신유열 위한 핀셋 조직 개편 전무 승진 동시에 지주 미래성장실 구축, 대외 경영 승계 절차 본격화
이우찬 기자공개 2023-12-08 07:18:33
이 기사는 2023년 12월 06일 14시5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동빈 롯데 회장의 장남 신유열 전무(사진)가 그룹 신사업을 총괄하는 보직을 맡게 되며 승진했다. 한국에서 보직을 맡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를 위한 맞춤형 조직 개편도 단행되며 신 회장에서 신 전무로 이어지는 승계 절차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롯데는 6일 2024년 정기임원인사를 단행했다. 신 전무가 승진하며 롯데지주에서 근무하게 됐다. 승진과 동시에 지주에 신설되는 미래성장실을 맡는다. 글로벌과 신사업을 전담하는 조직으로 파악됐다. 바이오와 헬스케어 등 신사업부문 관리와 제2 성장 동력 발굴이라는 중책을 맡게 됐다. 향후 추가 조직 구성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나 현재 산하 세부 조직 개편은 확인되지 않았다.
신 전무는 1986년생으로 게이오대학을 졸업하고 노무라증권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미국 컬럼비아대에서 MBA를 받은 뒤 노무라증권에 복귀했다. 2020년 일본 롯데홀딩스 자회사인 롯데에 들어갔다.
작년 5월 롯데케미칼 일본지사 상무로 발탁된 뒤 대외적으로 존재감을 알리기 시작했다. 같은 해 8월 일본 롯데파이낸셜 최대주주인 롯데스트레티직인베스트먼트(LSI) 공동대표로 선임됐다. 그는 올해 9월 신 회장과 함께 베트남에서 진행된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 일정을 직접 소화하며 후계 이미지를 각인했다.
신 전무가 LSI 대표, 롯데파이낸셜 대표 등 투자 계열사 대표직을 지내며 재무에 대한 전문성을 높여왔다는 게 롯데 측 설명이다. 롯데케미칼 일본지사에서 새로운 사업기회를 발굴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승진으로 신 전무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직을 맡으며 대외 경영을 본격화한다는데 의미가 있다. 승계 절차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신 전무는 신 회장의 노선을 따라 경영 활동에 힘을 싣는 상황이다. 신 회장은 과거 일본을 거쳐 한국 롯데 경영에 참여하면서 후계 지위를 굳혀나갔다. 롯데케미칼 전신 호남석유화학에 입사해 일본에서 주로 활동했다. 1994년 코리아세븐 전무로 선임된 뒤 1997년 2월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신 전무의 궤도도 유사하다. 향후 그룹에서 경영 보폭을 확대하며 승계 작업도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대내외 경영환경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을 강화하기 위한 차원에서 임원인사를 준비했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i-point]'자가면역질환 신약' 이노보테라퓨틱스, 미국 임상 1상 '성공적'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엔비디아 ‘커넥트’ 공식 파트너 선정
- [i-point]신성이엔지, 한국종합기술·다스코와 연료전지 발전사업 협약
- [i-point]신테카바이오, 'PEGS 보스턴 2025' 참가
- [AACR 2025]첫 구두발표 진씨커, 경쟁사 넘보는 '유전자가위 액체생검'
- [AACR 2025]이뮨온시아 'CD47' 안전성 굳히기 "경쟁약과 다르다"
- [AACR 2025]항암 신약 항체 대신 '페라틴', 셀레메디 플랫폼 데뷔전
- [AACR 2025]근거 쌓는 '루닛 스코프' 빅파마 공동연구 쇼케이스
- [변곡점 선 콜마비앤에이치]변화의 마지막 카드, 경영진 교체 '강수' 두나
- [변곡점 선 콜마비앤에이치]속절없는 주가 하락 '트리거', 주가 부양 의지 없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