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이엔지, 대구 행정복지센터에 'BIPV 솔라스킨' 적용 태양광 모듈·건축 외장재 결합...코오롱글로벌 공동 개발
성상우 기자공개 2023-11-23 14:17:14
이 기사는 2023년 11월 23일 14시1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성이엔지가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인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솔라스킨’ 사업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신성이엔지는 대구 두산동 행정복지센터에 컬러 BIPV 솔라스킨을 적용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건물은 재생에너지 설치 의무화 대상 건물로 태양광 모듈을 통해 생산된 전력을 자가소비한다. 이번 BIPV 솔라스킨은 15.3 kW 규모로 설치돼 연간 9.2 tCO2-eq 탄소를 감축할 수 있게 됐다.
BIPV 솔라스킨은 불소수지필름(ETFE)이 적용돼 건축 자재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전력 생산이 가능한 유색 태양광 모듈이다. 아이보리, 테라코타, 그레이 등 다양한 색상으로 제품화 됐으며 200W 이상 출력을 갖추고 있다.
‘KS C 8577 인증’을 취득해 태양광 모듈로서 성능도 입증했다는 설명이다. KS 인증은 계통 연계, 안전성, 전자기 호환 등 엄격한 한국산업표준을 반영한다. BIPV는 별도의 설치 면적이 필요 없기에 국토가 좁고 고층건물이 많은 국내 보급 환경에 적합하다고 평가받는다.

신성이엔지는 BIPV가 건축물에 적용되는 만큼 디자인 요소도 중요하다고 봤다. 이에 건설사 코오롱글로벌과 다양한 컬러 버전을 개발 및 적용하고 있다. 빠른 설치 보급 확산을 위해 시공 기술 경쟁력을 보유한 에이비엠(ABM)과 손잡고 BIPV 밸류체인도 완성해 가고 있다.
신성이엔지 관계자는 “제로에너지빌딩 확대에 따라 국내 BIPV 시장규모가 올해 2300억원에서 2030년 9000억원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설치 의무화가 민간건축물에도 확대 적용될 예정으로 공공시설 및 아파트 등의 대규모 주택 단지에 적용해가며 사업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내년부터 30가구 이상의 신축 민간 공동주택에 대해 제로에너지빌딩 5등급을 의무화한다는 계획이다. 5등급은 에너지자립률 20∼40% 수준이다. 2050 탄소중립 로드맵에 따르면 2050년에는 모든 신축 건물은 1등급(자립률 100%)으로 지어야 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i-point]'자가면역질환 신약' 이노보테라퓨틱스, 미국 임상 1상 '성공적'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엔비디아 ‘커넥트’ 공식 파트너 선정
- [i-point]신성이엔지, 한국종합기술·다스코와 연료전지 발전사업 협약
- [i-point]신테카바이오, 'PEGS 보스턴 2025' 참가
- [AACR 2025]첫 구두발표 진씨커, 경쟁사 넘보는 '유전자가위 액체생검'
- [AACR 2025]이뮨온시아 'CD47' 안전성 굳히기 "경쟁약과 다르다"
- [AACR 2025]항암 신약 항체 대신 '페라틴', 셀레메디 플랫폼 데뷔전
- [AACR 2025]근거 쌓는 '루닛 스코프' 빅파마 공동연구 쇼케이스
- [변곡점 선 콜마비앤에이치]변화의 마지막 카드, 경영진 교체 '강수' 두나
- [변곡점 선 콜마비앤에이치]속절없는 주가 하락 '트리거', 주가 부양 의지 없었나
성상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엔비디아 ‘커넥트’ 공식 파트너 선정
- [i-point]신성이엔지, 한국종합기술·다스코와 연료전지 발전사업 협약
- [i-point]신테카바이오, 'PEGS 보스턴 2025' 참가
- [i-point]소니드, 부동산·자회사 매각 "유동성 확보·체질 개선"
- [대진첨단소재 줌인]줄어든 공모자금, 미국 공장에 90% 투입
- [i-point]케이쓰리아이, 엔비디아 연동 플랫폼 개발 착수
- [i-point]바이오솔루션, ‘카티라이프’ 미국 임상 2상 성공
- [대진첨단소재 줌인]1차 락업 물량 보호예수 해제, 공모가 '유지'
- [나우로보틱스 줌인]상장 승인 프리패스 원동력 '글로벌사 ODM 계약'
- [대진첨단소재 줌인]미국 ESS 이어 영국·독일 가전업체 '러브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