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콜 Q&A 리뷰]권재중 BNK금융 CFO가 꼽은 ROE 10% 달성 열쇠는CCR 10bp 하락시 ROE 1%p 상승 효과…은행권 최고 CIR, 3년간 개선할 것
김영은 기자공개 2025-02-07 10:59:47
[편집자주]
컨퍼런스콜로 진행하는 기업설명회(IR)의 백미는 기업 관계자와 시장 관계자 사이에 오가는 질의응답(Q&A)이다. 투자자를 대변하는 시장의 관심이 무엇인지 드러나고 기업 입장에서 되도록 감추고 싶은 속살도 드러나기 때문이다. 이런 까닭에 자사 홈페이지에 IR 자료와 음성파일을 올릴 때 Q&A 부분만 제외하는 기업이 적지 않다. THE CFO가 IR의 백미 Q&A를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6일 17시4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권재중 BNK금융그룹 CFO가 ROE 10%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CCR(대손충당금적립비율)과 CIR(총영업이익경비율)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BNK금융은 3년 내로 ROE 10% 상승을 계획했지만 대손충당금 적립, 판매관리비 등의 영향으로 목표 달성이 쉽지 만은 않은 상황이다.BNK금융 내부에서는 고질적인 생산성 저하가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보고 있다. 그러나 향후에도 희망퇴직을 비롯한 인건비 증가로 CIR 상승 압력이 존재해 관리에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빈대인 BNK금융 회장은 3년 내로 CIR을 타 은행지주 평균 수준으로 개선하자는 내부 방침을 수립했다.
◇CCR 0.68→0.6%로 낮춘다

권재중 BNK금융 CFO는 "제일 어려운 과제"라면서도 건전성 및 생산성 관리를 통해 달성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권 CFO는 "CCR이 10bp 하락하면 ROE는 1%포인트 올라가는 구조"라며 "2025년 0.6% 수준을 목표로 잡고 있는데 다른 조건이 똑같다고 단순하게 가정을 한다면 (ROE가) 올라갈 수 있는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손충당금전입액을 줄여 당기순이익 하락 압력을 방어한다면 ROE 상승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BNK금융은 2023년부터 부동산PF 충당금 영향으로 CCR이 대폭 악화했고 점차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 2023년 0.84%를 기록했던 CCR은 지난해 0.16%포인트 개선된 0.68%를 기록했다. 올해 캐피탈과 증권 계열사에 추가적으로 충당금을 쌓는다면 PF 관련 비용은 일단락될 전망이다. 다만 중소기업 및 자영업자 대상 부실채권이 상승할 수 있다는 불확실성은 남아있다.
BNK금융은 장기적으로 CCR을 0.5% 수준으로 개선시키겠다는 계획이다. 목표 수준으로 내려가면 ROE 약 2%포인트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빈대인 회장, "CIR 3년 내로 관리"…내부 목표 40%

그러나 CIR 개선이 쉽지 만은 않은 상황이다. 당장 올해에도 BNK금융은 CIR 연간 전망치를 현 수준에서 0.19%포인트 상승한 47.38%로 보고 있다. 올해부터 향후 5년간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의 희망퇴직 대상자가 800명에 달하고 있다. 이에 퇴직금 지급 등으로 인한 비용 상승 압력이 지속될 전망이다. BNK금융은 그 대신 고정비 성격으로 지출되는 비용 관리를 통해 생산성을 높여간다는 입장이다.
빠른 시일 내에 관리비 개선이 어려운 점을 감안해 BNK금융은 3개년 계획으로 CIR을 낮춰나가기로 했다. 빈대인 BNK금융 회장 또한 내부 임원진들에게 이 점을 강조했다. 권 CFO는 "회장님께서도 CIR 문제는 3년의 긴 호흡으로 (개선)하자고 해 그룹 차원의 제일 중요한 이니셔티브로 추진을 할 것"이라며 "2027년까지 조금 의욕적이기는 하더라도 40% 정도로 내려간다면 수익성이 높아지는 과정에서 ROE 10%는 도전해 볼 만한 목표"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우리금융, '회장 3연임 주총 특별결의' 신설…금융권 영향은
- [카드사 글로벌전략 점검]신한카드, 글로벌 4각편대…카자흐, 'JV전환' 덕 봤다
- [여전사경영분석]NH농협캐피탈, 건전성 중심 운영 지속…상반기 실적 전망은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CET1비율 새 목표 '13%', 자본 배치 계획은
- [캐피탈사 해외법인 실적 점검]BNK캐피탈, 중앙아 법인 성장 궤도 안착…신사업 추진 지속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금융지주 계열 생보사, 중위권 싸움 불붙는다
- [Rating Watch]등급 상향 기대감 LG CNS, 남은 트리거 ‘차입금의존도’
- [IR Briefing]카카오뱅크, 월등한 여신 성장 자신감 배경엔 '개인사업자'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임종룡 회장 '비은행' 재건 완수, 추가 보강 계획은
- [은행경영분석]카카오뱅크, 수신 운용이 견인한 순익 성장세
김영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R Briefing]카카오뱅크, 월등한 여신 성장 자신감 배경엔 '개인사업자'
- [은행경영분석]카카오뱅크, 수신 운용이 견인한 순익 성장세
- [토스뱅크 2막]적자 머무른 비이자손익…'액티브 시니어'로 돌파구 찾을까
- [교보생명 지주사 전환 전략 점검]조대규 사장, '보험 대표, 지주 TF' 도맡으며 남다른 입지
- [은행경영분석]농협금융, 예대업 약화…낮아진 비은행 기여도 '설상가상'
- [은행경영분석]제주은행, 90% 넘는 지역 의존도…가파른 연체율 상승세
- [교보생명 지주사 전환 전략 점검]지주사 전환 단초 된 SBI그룹 동맹 강화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제주은행, 임베디드 금융으로 수도권 진출…정체기 극복할까
- [토스뱅크 2막]서혜란 CFO "혁신에 안정 더한다…인뱅 최적화된 재무 체계 구축"
- [컨콜 Q&A 리뷰]iM금융, 자본비율 오르자 주주환원 가속화에 쏠리는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