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5년 04월 21일 10시40분 THE BOARD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금융감독원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증권신고서를 재차 반려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달 첫 번째 정정 요구를 받은 뒤 공모 유상증자 규모를 3조6000억원에서 2조3000억원으로 줄이고, 증자 사유를 보다 상세히 기재해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 그럼에도 금감원은 투자자 오해가 없도록 더 자세한 설명을 요구했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 이사회는 이번 증자를 승계와 연계해 바라보는 시장 반응을 고려해 조달 구조를 바꿨다. 필요한 돈(3조6000억원)을 모두 공모 증자로 조달하는 건 부적절하다고 판단했다. 이사들은 시장 오해를 풀 방안을 논의하면서 '공모 증자 금액 축소는 감내해야 하는 부분'이라 언급하기도 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차로 증권신고서를 정정할 때 증자 결정 전후로 이사회가 어떤 논의를 했는지를 추가로 기재했다. 이사회 전 사전 설명회 개최 시점과 보고된 방안이 무엇인지 등을 투자자들이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지난달 증자 결정을 공시할 때 첨부한 이사회 의사록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내용이다.
보통 기업들이 공개하는 이사회 의사록은 상호 간에 충분한 토의·검토 뒤 출석 이사 전원 찬성으로 가결했다는 결과만 담겨있다. 만장일치라도 정반합 과정을 거쳐 결론에 다다른 사례와 시류에 휩쓸려 표결을 끝낸 경우는 다르다. 회의장 밖에선 반대 사유를 따로 기재한 특이 케이스가 아니면 이사회에서 무슨 논의가 오갔는지 알기 어렵다.
이사회가 거수기 역할에 그친다는 선입견을 품은 투자자가 많다. 이사회가 어떤 의사 결정 과정을 거쳤는지 모르는 투자자들의 불만이 쌓이고 쌓인 결과다. 정보 비대칭이 야기한 신뢰 저하의 한 단면이다.
기업의 내밀한 정보가 담긴 이사회 의사록을 낱낱이 공개하는 건 어려운 일이다. 전략 기술, 핵심 거래선 관련 정보는 통제해야 마땅하다. 하지만 주주 환원, 공모 증자 같은 투자자 이해가 직결된 사안까지 의사록에 담는 내용을 제한할 필요가 있을까.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증권신고서를 정정하며 이사회 절차를 보고하는 새로운 선례를 만들어 가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대동모빌리티, 로봇 프로덕트 총괄로 강성철 박사 영입
- [Red & Blue]'실적 우상향' 삼륭물산, 탈플라스틱 공약 모멘텀 부각
- 현대차그룹, 적자 포티투닷 '美 드론 자회사' 청산
- [영상]금감원 넘은 차바이오텍 유상증자, 주요 사용처는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코인 POLA 결합한 노트필기앱 ‘폴라노트’ 공개
- [옵트론텍 줌인]미국 완성차 제조사 양산 결실, 미·중 무역갈등 ‘반사이익’
- [i-point]아이즈비전, 가족·친구 결합 필요 없는 '솔로 결합 서비스' 출시
- [i-point]딥노이드, 연세대 공대와 의료영상·AI 공동 연구 협약
- 넥슨 오너일가의 달라진 배당금 셈법
- [소부장 2세 시대 개막]한미반도체, '17년 만에 회장' 곽동신 체제 순항
김형락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증권신고서 정정의 나비 효과
- [자사주 리포트]셀트리온, 네 가지 활용 방안 제시
- [자사주 리포트]롯데지주, 3000억 규모 매각…지배력 강화 포석
- [Board Change]현대백화점그룹, 사추위·보상위서 사내이사 제외
- [그레이존 이사회 점검]세방전지, 기타비상무이사 출석률 높일까
- [주총 안건 리뷰]우양, 오너가 이사 선임 부결 이유는
- [주총 안건 리뷰]크리스에프앤씨, 세무 전문가 셋으로 늘리지 못해
- [밸류업 성과 평가]주주 행동 나선 기업들 '중위권' 포진
- [이슈 & 보드]한화에어로, 이사진이 요구한 공모 유증 규모 축소
- [주총 안건 리뷰]케이프, 2대주주가 정관 개정 요구하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