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전체기사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두산에너빌리티, '밥캣·베트남' 품고 배당수익 날아올랐다⑩그룹 재편 속 계열사 지분 매입…배당 계열사 수 7곳으로 확대

김동현 기자공개 2025-04-24 15:14:28

[편집자주]

중간지주사는 그룹 내 사업군별 자회사를 관리하며 이들로부터 올라오는 배당을 주요 수익원으로 삼는다. 최근 자체 사업을 가져가며 수익을 올리는 경우가 늘었지만 중간지주의 제1 사업목적은 자회사 관리다. 자회사의 배당과 자체 사업 수익을 묶어 그룹 지주사로 현금배당을 밀어 올리는 역할도 맡는다. 더벨이 주요 중간지주사의 배당수익 변화를 분석하며 그룹 내 사업군별 성과를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5년 04월 18일 11시0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두산그룹 사업 재편으로 계열사를 품었던 두산에너빌리티의 배당금수익이 재편 전 대비 큰폭으로 증가했다. 두산밥캣 지분 취득, 베트남법인(Doosan Enerbility Vietnam) 지분 인수 등 구조 재편을 마무리한 결과 이들 회사로부터 배당수익을 인식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원자력, 가스터빈 등 무탄소 에너지 솔루션 사업을 영위하는 사업회사이지만 그룹 내 주요 계열사 지분을 보유하며 시장에선 중간지주사로도 평가받는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두산그룹 지배구조 개편 이후 중간지주사로 올라섰다. 두산에너빌리티 산하에는 두산밥캣(46.7%), 두산퓨얼셀(30.3%), 두산큐벡스(100%), 오성파워오엔엠(100%) 등이 있다.

중간지주사 도약 이후 두산에너빌리티는 자회사들로부터 매년 막대한 배당수익을 올리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가 배당을 수려아는 자회사는 지난해 말 기준 7곳으로 집계됐다.

지난해만 놓고 보면 두산에너빌리티의 배당금수익은 일부 줄었다. 지난해 두산에너빌리티는 자회사 등 특수관계자로부터 배당금으로 총 1510억원의 수익을 얻었다. 전년 대비 40.9% 감소한 수치다. 2023년 1316억원을 올려보낸 베트남법인의 배당금이 지난해 692억원으로 절반 가까이 줄어든 영향이다.

그러나 범위를 2020년 전후로 넓혀 보면 이전과 비교해 매년 큰 규모 배당금 수익을 확보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전까지 계열사로부터 올라오는 배당금 수익이 전무한 사례(2016년)가 있을 정도로 배당 수익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2020년대 들어서도 2020년과 2021년 특수관계자 배당금수익은 10억원을 밑돌았다.


두산에너빌리티의 배당금 수익이 본격적으로 늘기 시작한 것은 2022년이다. 두산밥캣에서 배당금이 유입되면서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두산중공업 시절이던 2021년 건설기계 자회사 두산인프라코어를 HD현대그룹에 매각하며 두산인프라코어의 자회사로 있던 손자회사 두산밥캣은 그대로 남겼다. '두산중공업→두산인프라코어→두산밥캣'으로 이어지던 지분구조가 '두산중공업→두산밥캣'으로 단순화하며 두산밥캣 배당금을 곧바로 받을 수 있었다.

두산에너빌리티 자회사로 편입된 두산밥캣은 곧바로 921억원(주당 1200원)의 배당금을 올려보냈다. 이에 힘입어 두산에너빌리티의 그해 특수관계인 배당금수익도 1124억원으로 단번에 뛰었다. 중간배당을 포함한 당해 사업연도 기준 주당배당금도 2021년 1200원(총액 1203억원), 2022년 1350원(1353억원), 2023년 1600원(1602억원) 등으로 증가하며 두산에너빌리티는 안정적인 배당수익을 확보했다.

두산밥캣과 함께 두산에너빌리티의 배당금 수익을 극대화 해주는 또다른 계열사는 베트남법인이다. 베트남법인 역시 두산밥캣과 유사하게 지분 재편이 마무리되고 배당금을 모회사에 올려보내기 시작했다. 2006년 두산중공업과 두산메카텍이 공동 출자로 설립한 베트남법인은 2020년 두산에너빌리티의 잔여 지분 인수로 100% 완전자회사가 됐다.

당시 유동성 위기로 사업을 정리하던 두산건설이 보유한 23.7%의 베트남법인 지분을 두산에너빌리티가 637억원에 인수했다. 2017년까지 순손실을 상태였던 베트남법인은 2018년부터 흑자전환에 성공한 이후 꾸준히 수익성을 확보하고 있다.


베트남법인은 2022년 1297억원의 최대 순이익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이듬해 1316억원을 배당금을 두산에너빌리티에 올려보냈다. 두산밥캣과 더불어 베트남법인에서도 배당이 들어오면서 2023년 두산에너빌리티의 특수관계자 배당금수익도 2553억원으로 최대치를 찍을 수 있었다.

다만 베트남법인의 순이익 규모가 2023년부터 300억~400억원대 수준으로 줄면서 지난해에는 배당금 규모도 692억원으로 절반 가까이 축소됐다. 지난해 두산에너빌리티의 계열사 배당수익 규모가 40% 감소한 배경이다.

대신 배당수익을 인식하는 계열사 수 자체는 증가했다. 2022년만 해도 두산밥캣, 오성파워오엔앰, 케이디디아이코리아 등 3곳뿐이던 배당 계열사가 지난해는 7곳으로 늘었다. 여기에는 앞선 3개 회사 외에도 두산파워시스템아라비아(41억원), 삼척블루파워(14억원) 등 국내외 계열사의 배당금이 더해졌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더벨 서비스 문의

02-724-4102

유료 서비스 안내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4층,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김용관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황철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