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회 분석]SBI저축, 모리타 SBI홀딩스 전무 사임…차기 의장은"기타 비상무이사 선임 계획 0명"…10년간 이어온 '홀딩스 이사=의장' 체제 막 내릴까
유정화 기자공개 2025-05-20 12:58:35
이 기사는 2025년 05월 16일 12시54분 THE BOARD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BI저축은행과 SBI캐피탈에서 기타 비상무이사이자 이사회 의장으로 활동해 온 모리타 슌페이(Morita Shumpei) SBI홀딩스 전무가 최근 사임했다. SBI홀딩스 내부 인사에 따른 조치다. 모리타 이사는 SBI홀딩스의 일본 계열사인 SBI신세이은행으로 자리를 옮겼다.눈에 띄는 점은 SBI저축은행이 후임자 선임 계획에 '해당사항 없음'이라고 기재한 대목이다. SBI캐피탈이 모리타 전무의 사임과 동시에 이사회 의장을 SBI홀딩스 측 인물로 즉각 교체한 것과 대비된다. SBI홀딩스는 저축은행 지분을 교보생명에 단계적으로 넘기기로 한 만큼, SBI홀딩스 이사가 곧 이사회 의장이라는 공식이 깨질지 관심이 쏠린다.
◇이사회 6인 체제로 전환…사외이사 충원 전망
SBI저축은행과 SBI캐피탈은 최근 모리타 슌페이 기타 비상무이사가 일신상의 사유로 인해 사임했다고 공시했다. 모리타 이사는 지난 2022년 2월부터 SBI저축은행과 SBI캐피탈 이사회 의장을 겸임해 온 인물로, SBI홀딩스 측 인사다.

1974년생인 모리타 이사는 2009년 SBI홀딩스 이사로 선임된 뒤 최고재무책임자(CFO), 디지털에셋사업관장, 지방은행사업추진관장 등을 역임했다. 일본 SBI홀딩스에 따르면 모리타 이사는 지난 9일 자로 일본 SBI신세이은행 전무로 자리를 옮겼고, 이에 따라 SBI저축은행과 SBI캐피탈 이사회에서 모두 이름이 빠진 것으로 보인다.
특히 SBI저축은행 이사회 내 기타 비상무이사직은 사라질 것으로 관측된다. SBI저축은행은 그간 이사회 내 결원이 생길 경우 향후 선임 일정도 함께 공시했으나, 이번엔 해당사항 없음으로 명시했다.
반면 SBI캐피탈은 모리타 이사 사임과 동시에 이사회 내 기타 비상무이사로 활동하던 미야자키 마코토 SBI홀딩스(일본) 전무를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했다.
또 SBI저축은행은 모리타 이사의 사임 공시에서 사임 후 해당 직위 임원 현황을 묻는 항목에 '0명', 사외이사 비율 항목엔 71.4%를 기재했다. 71.4%는 7명 중 5명을 뜻하는데, 모리타 이사의 사임 후 이사회 내 멤버가 6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사외이사를 추가로 충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SBI저축은행 이사회 내 사내이사진으로는 김문석 대표이사, 타니구치 카즈쓰구(Taniguchi Kazutsugu) 이사가 있다. 사외이사는 소현철 이사, 카토 요시타카(Kato Yoshitaka) 이사, 김은미 이사, 박재성 이사 등으로 구성됐다.
◇내년 대주주 교체, 차기 이사회 의장에 '관심'
공석이 된 SBI저축은행의 차기 이사회 의장을 누가 맡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문석 대표, 타니구치 부사장도 유력 후보다. 타니구치 부사장은 미국과 일본 은행에서 근무한 금융 전문가로 SBI저축은행에서는 최고재무책임자(CFO)로 활동해 왔다.

SBI홀딩스 이사진은 약 10년간 SBI저축은행 이사회를 이끌어왔다. SBI홀딩스 출신 의장들은 모자회사 간 소통 채널 역할을 담당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SBI저축은행 공시가 시작된 시점인 2015년 이사회 의장으로 등재된 인물은 나카무라 히데오 SBI홀딩스 이사다. 나카무라 이사는 SBI저축은행 대표로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됐다.
2016년 카와시마 카츠야 SBI홀딩스 대표(부사장)가 SBI저축은행 이사회 의장직을 수행했다. 카와시마 부사장은 나카무라 전 대표와 달리 대표이사가 아닌 기타 비상무이사로서 SBI저축은행 이사회 의장에 올랐다. 이후 모리타 이사가 2022년 2월부터 이사회 의장직을 수행해 왔다.
최근 이사회 내 변화가 감지되는 건 SBI저축은행의 지분 구조 변화와 깊게 연관돼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SBI홀딩스는 교보생명에 SBI저축은행 지분 지분 50%+1주를 오는 2026년 10월까지 단계적으로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매각가액은 9000억원이다.
SBI홀딩스와 교보생명은 주식 양도가 마무리되더라도 공동경영 체제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SBI홀딩스는 앞서 "주식 양도가 실행 후에도 SBI그룹과 교보생명이 각각 파견하는 이사의 인원수는 동수로 할 것"이라며 "또 SBI그룹이 SBI저축은행의 경제적 권리의 70%를 보유할 것에 쌍방 합의했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KGC인삼공사, 혈당 케어 브랜드 ‘GLPro’ 확장
- [i-point]원영식 오션인더블유 회장, 산불 피해 장애인·주민 후원
- [thebell note]WM의 IB화
- [연기금투자풀 지각변동]ETF 포트폴리오 추가…삼성·미래에셋운용의 '고민'
- [Product Tracker]IMM로즈골드5호 GP커밋, 유동화 펀드 구조는
- 전진건설로봇 기초자산 EB…운용사 우려에도 700억 매듭
- 엘엑스운용 'NPL펀드' 론칭…패밀리오피스 자금 확보
- [스튜어드십코드 모니터]마이다스에셋운용, 적극적 행사기조 '현재진행형'
- ACE 미국500타겟커버드콜, 월배당 매력 '눈길'
- [연기금투자풀 지각변동]하위운용사도 눈치싸움…"증권사 무방 vs 기존 선호"
유정화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 분석]SBI저축, 모리타 SBI홀딩스 전무 사임…차기 의장은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웰컴저축, 금융권 저신용자 대출 '최후의 보루'
- [thebell interview]오화경 회장이 짜낸 양극화 해소 묘수 '영업권 광역화'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CSS 차별화 애큐온저축, '중금리대출' 시장 강자로
- [상호금융 부동산 리스크 점검]'동일인 대출한도' 위반 반복…구멍 뚫린 내부통제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중금리' 힘준 다올저축, 빅테크 손잡고 영업채널 확장
- [상호금융 부동산 리스크 점검]충당금 압박 커진 새마을금고·신협, 흑자전환 '안갯속'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CSS'에 진심인 OK저축, 중금리로 수익·건전성 관리
- [상호금융 부동산 리스크 점검]PF·토담대 한눈판 서민 금융기관, 공동대출 '화' 불렀다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중금리대출' 해답 제시한 SBI저축, 10년째 독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