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간스탠리PE, 위생용지 2위업체 모나리자 인수 모나리자·대전 모나리자·쌍용C&B 등 3사 경영권 2000억 초반에 사들여
정호창 기자공개 2013-02-10 10:33:15
이 기사는 2013년 02월 10일 10시3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미국 모간스탠리 계열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인 모간스탠리 프라이빗에쿼티 아시아(이하 모간스탠리PE)가 국내 위생용지 업계 2위인 모나리자를 인수한다.10일 인수합병(M&A) 업계에 따르면 모간스탠리PE는 최근 김광호 모나리자 회장과 접촉해 경영권 인수를 위한 협상을 끝낸 것으로 알려졌다. 인수 대상은 상장법인인 서울 모나리자와 비상장업체인 대전 모나리자, 쌍용씨앤비(C&B) 등 3개사다. 인수가격은 2000억 원대 초반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광호 회장은 직계 가족 등 특수관계인 지분을 포함해 서울 모나리자 지분 66%, 대전 모나리자와 쌍용C&B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모간스탠리PE는 거래 대금의 절반 정도는 PEF를 조성해 마련하고, 나머지 절반은 금융권 차입을 통해 조달할 예정이다. 인수금융(Loan) 주선 기관은 신한은행이 맡았다. 신한은행은 이번 거래에 1000억 원 규모의 인수금융을 제공할 예정이며, 이미 내부 투자심의위원회 승인과 신디케이트론 조성을 위한 셀다운(Sell Down) 작업을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대주단 참여기관은 수협은행, 전북은행, LIG손해보험 등이다.
|
2011년 기준 세 회사의 상각전 영업이익은 266억 원 가량이다. 쌍용씨앤비가 128억 원으로 가장 규모가 크고, 서울과 대전 모나리자가 각각 88억 원, 50억 원 가량의 에비타를 기록했다.
이번 거래에서 모간스탠리PE는 세 회사의 총 기업가치(EV)를 2500억~2600억 원 정도로 평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2011년 상각전 영업이익과 비교하면 에비타 멀티플은 (EV/EBITDA)은 9.5배 내외로 계산된다. 2012년 실적 기준 에비타 멀티플은 7~8배 정도인 것으로 추정된다.
|
1977년 설립된 모나리자는 화장지, 기저귀, 미용티슈 등 위생용 종이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벨라지오, 부자되는 집, 녹스 등의 브랜드를 갖고 있다. 업계 1위인 유한킴벌리가 1970년 미국 킴벌리클라크와 합작법인으로 세워진 것과 달리 모나리자는 창업주 변자섭 회장이 순수 국내자본으로 설립했다. 1995년 변 회장이 경영권을 신호그룹에 넘겼고, 1997년에는 다시 피앤텍그룹에 인수됐다. 외환위기 이후 펄프가격 폭등으로 경영난에 빠진 모나리자는 1999년 법정관리에 들어갔고, 2002년 현 최대주주인 김광호 회장이 새 주인이 되면서 법정관리를 졸업했다.
|
이밖에 김 회장은 2005년 국내 3대 제화업체 중 하나인 엘칸토를 인수했다가 2011년 이랜드그룹에 팔았다. 2009년에는 본인이 세운 첫 회사로 코스닥시장에 상장돼 있던 웨스텍코리아를 우회상장 통로(쉘, Shell)로 출판업체인 예림당에 매각하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