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3년 06월 18일 10시3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남대교 북단을 지나다 보면 큰 활자로 "IBK 기업은행 PB센터"라고 쓰인 간판이 보인다. 윈클래스(Win Class)라는 브랜드 명이 있지만 PB센터로 표기한 게 오히려 참신했다. 방송인 송해 씨의 광고처럼 군더더기 없이 핵심 메시지 전달에 충실한 기업은행 이미지와 잘 맞아 떨어진다는 인상이다.한남동PB센터는 기업은행 한남동IBK고객센터 1층 중앙에 위치해 있다. 이 건물은 기업은행이 단국대학교 건물을 리모델링해 재오픈한 곳으로 콜센터와 업무지원부, 물류담당 부서까지 본사 직원 1000여 명을 수용하고 있는 대형 빌딩이다. PB센터를 건물 입구 중앙에 입점 시키고 별도의 일반 영업점을 개설하는 대신 센터 내부에 일반거래 창구를 설치해 놨다. PB 영업에 역량을 집중하는 전략이다.
|
기업은행이 PB센터를 오픈할 때 주 타깃으로 삼은 대상은 건물 뒤쪽에 위치한 고급 주택단지인 한남 더힐(THE HILL) 600세대와 인근 단독 주택 세대다. 주변에 유엔빌리지 정도가 큰 주택단지로 있지만 지리상 접근성이 좋지 않아 더힐로 영업대상이 명확하게 한정돼 있다.
타깃군에 다양성이 없다는 문제보다는 기업은행이 리모델링 공사로 인해 더힐 완공 1년 뒤에야 오픈할 수 있었던 게 약점으로 작용했다. 신규로 입주한 고객들이 인근 영업점에서 거래를 이미 시작해 후발주자로 시장에 뛰어들어 불리했다.
하지만 기업은행 한남동 PB센터는 개점 두 달째 관리 자산이 250억 원으로 늘었고 만 1년이 되던 지난 4월에는 1000억 원을 돌파하고 최근까지 자산이 꾸준히 늘고 있다.
파이를 나눠먹으려는 경쟁자가 없고 명확하게 타깃 군을 선정했다는 게 성공의 열쇠였다. 주변에 PB 센터는 기업은행 뿐이다. 하나은행과 외환은행, 국민은행, 씨티은행, 농협은행이 있지만 일반 영업점이고 더힐 건너 편에 신한은행이 있지만 기업금융 중심이라고 한다.
한남동 위치상 고객들은 압구정으로 내려가 거래를 하기도 하지만, 이 구역의 계수만 따져보면 총 1조 원 가량인 것으로 알려졌다. 5개 은행이 평균 2000억 원의 자금을 유치하고 있는 셈이다.
|
자산 비중은 예수금이 72%, 나머지 투자상품이 28%다. 안정적인 고객 성향과 기업은행 특성상 예수금 비중이 크다. 구체적으로는 신탁이 150억 원, 펀드가 150억 원, 방카(보험) 상품이 50억 원이다. 일반 거래 창구를 통해 유입된 기업 여신까지 고려하면 총 자산계수는 1700억 원이지만, 기업 자산은 평가(KPI)에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중요한 고려대상이 아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에스넷시스템, 시스코 주최 세미나 참여
- [Company Watch]회생 딛고 올라선 원일티엔아이, 10년간 알짜 이익
- [Company Watch]지란지교시큐리티, 순손실 배경 'SSR' 영업권 손상
- 삼성·LG 'OLED TV' 확전에 정철동 웃는다
- '펀딩 3관왕' 트리거투자, 조력자 '유경원 상무' 눈길
- [VC 투자기업]뱅카우, 22일 4호 공모청약…5호부터 복수계좌 도입
- [thebell interview]황상연 HB인베 PE본부장 "차별화된 투자·밸류업 방점"
- [VC 투자기업]이플로우, 프리시리즈A 시동…독일법인 세운다
- [VC 투자기업]아토리서치, 적자 확대에 IPO 시계 늦춰졌다
- [동상이목(同想異目)] '아보하' 시장이 그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