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5년 12월 23일 11시1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최근 유가가 폭락하자 원유 DLS 시장은 공포에 빠졌다. 2012년부터 지난 10일까지 브렌트유와 WTI를 기초자산으로 공모 발행된 미상환 DLS 10개 중 8개는 현재 녹인 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 금액으로 치면 1조 2000억 원에 달한다.원금 손실 상품이 무더기로 발생한 이유는 페이오프(Pay-off) 구조가 천편일률적이기 때문이다. DLS 시장에서 증권사별 차이점은 전무하다고 봐도 무방하다. 대부분 스텝다운형에 녹인 배리어가 50~60이고, 만기는 2~3년이다. 기초자산이 만기 시 발행 당시의 50~60% 이하로 떨어지면 원금이 손실되는 구조다.
원유 DLS가 집중 발행됐던 2012년부터 2014년 당시 유가는 배럴당 90~110달러 선에서 움직였다. 유가가 배럴당 36~66달러로 떨어지면 녹인 구간에 진입한다. 올 초 60달러 선으로 1년 만에 40% 이상 폭락한 유가는 21일 장중 11년만의 최저치인 36달러까지 주저앉았다.
예컨대 녹인 배리어가 100 이상, 즉 기초자산 가격이 발행 당시의 100% 위에 있어야 원금이 손실되는 상품이라면 유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수익이 났을 것이다. 이런 인버스 하이파이브 구조 상품은 현재 미상환 DLS 900여 건 중 단 2건에 불과하다.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글로벌 경제 상황을 알아 맞추지 못했다고 증권사를 나무랄 수는 없다. 첨예한 국제 정치에 크게 영향을 받는 유가는 더욱 예측이 힘들다. 그럼에도 똑같은 구조의 상품을 마구잡이로 찍어낸 발행사의 상품 전략은 비판을 면하기 어려워 보인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하나금융, 절묘한 RWA 관리 '밸류업 행보' 지속
- BNK캐피탈, 소매 연체 확대에 아쉬운 순익 '뒷걸음'
- 하나캐피탈, 올해도 이어진 영업 부진…수익성 회복 '위안'
- JB우리캐피탈, 2540억 목표 순항…실적 견인한 포트폴리오는
- 한 달째 멈춘 보험사 자본성 증권…감독기준 변경 주시
- 견고한 신한저축, 보증부대출 덕 지주계 순익 '1위'
- [금융사 KPI 점검/하나은행]영업점에 수익 확대보다 '고객 만족' 강조한다
- [BNK금융 인사 풍향계]하나·KB금융 출신 전문가 영입 '리스크관리·디지털' 강화
- [우리금융 인사 풍향계]IB 임원 겸직 체제 도입, 임종룡 회장 우투증권 힘싣기
- [Sanction Radar]GA 해킹 정황…고객 개인정보 유출에 '촉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