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펀드 대중화 시대 온다" [thebell interview] 유덕현 이지스자산운용 개인투자팀 이사
최필우 기자공개 2016-10-26 10:39:36
이 기사는 2016년 10월 21일 18시0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아직 부동산 투자라고 하면 아파트 가격 상승으로 인한 매매차익을 떠올리는 투자자들이 대다수다. 앞으로 대중들이 부동산펀드를 통해 오피스 빌딩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만들겠다."유덕현 이지스자산운용 개인투자팀 이사는 '부동산펀드 대중화'라는 신념을 갖고 올해 신설된 개인투자팀에 합류했다. 개인투자자 자금이 부동산펀드에 투자된 사례는 많지만 리테일 대상 부동산펀드를 전담하는 팀이 있는 경우는 흔치 않다.
요즘은 개인투자팀 출범 이후 첫 번째로 선보일 공모펀드 준비로 분주하다. 서울 중구에 위치한 '퍼시픽타워'에 투자하는 1호 공모펀드는 다음달 모습을 드러낼 예정이다. 향후 공모 부동산펀드 출시를 이어갈 것이니 만큼 성공적으로 초석을 다지겠다는 각오다.
◇업계 최초 개인투자팀…공모펀드 시장 잠재성 높아
|
아울러 높은 수요에 비해 매력적인 투자 수단 공급이 부족한 것으로 봤다. 중산층 투자자는 아파트 매매가 상승을 기다리거나 월세 소득을 노리는 게 대부분이라는 설명이다.
유 이사는 "고액자산가들은 사모펀드 투자나 빌딩 인수 등 다양한 부동산 투자 수단이 있지만 중산층 투자자들에게는 매력적인 선택지가 부족하다"며 "아파트 매매차익이나 월세 대비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제공하는 공모 부동산펀드가 제공되면 흥행할 여지가 충분하다"고 말했다.
마침 이지스운용을 이끌고 있는 김대영·조갑주 공동대표도 부동산 공모펀드 시장 잠재력이 크다는 데 이견이 없었다. 그는 리테일 투자자 대상 부동산펀드에 전념할 수 있는 개인투자팀에 매력을 느끼고 과감히 이지스자산운용으로 적을 옮겼다.
유 이사는 부동산펀드 투자에 적합한 시장 환경이 장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저금리 기조로 부동산펀드의 6~7% 수준 배당률이 웬만한 금융상품 수익률을 뛰어넘는 데다 오피스 빌딩 매매가가 꾸준한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는 설명이다.
여기에 부동산펀드가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는 상황에서 다른 자산 대비 안정적인 노후 대책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주거용 부동산에 투자하면 금리가 인상될 경우 수익률 대비 높은 이자 부담으로 매각해야 하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며 "공모 부동산펀드는 만기가 길긴 하지만 이자율을 상회하는 배당수익률을 제공하기 때문에 변동성이 낮은 편"이라고 말했다.
◇지속성·접근성 갖춘 시리즈 준비
최근 몇몇 공모 부동산펀드가 시중에 나오면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지만 유 이사는 부동산펀드 대중화를 이끌어낼 만한 사례는 아니라고 판단했다. 그룹 차원에서 일회성으로 출시한 펀드가 다수라는 설명이다.
유 이사가 이끄는 개인투자팀은 '퍼시픽타워'에 투자하는 1호 공모펀드를 시작으로 공모 부동산펀드 시리즈를 지속 출시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1호 펀드 마무리 작업과 동시에 2호 펀드가 투자할 물권 검토에 들어간 상태다.
그는 "올해 1호 펀드를 마무리하고 내년 3~4개 공모펀드 출시가 이어질 수 있도록 물권을 검토하고 있다"며 "안정적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물권을 다른 팀이 확보하면 개인투자팀과 연계해 리테일 대상 공모펀드로 먼저 고려하는 등 전사적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공모펀드를 대중화하기 위해서는 지속성 뿐만 아니라 다양한 판매채널로 접근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게 유 이사의 지론이다. 앞서 출시된 부동산 공모펀드는 판매 채널이 계열사나 몇몇 판매사로 한정돼 있어 파급력에 한계가 있었다는 지적이다.
유 이사는 "부동산펀드가 계열사나 일부 판매사에서만 판매될 경우 반짝 흥행은 가능하지만 대중의 부동산펀드 접근성을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며 "많은 투자자들이 부동산펀드 존재를 인식하고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최대한 많은 판매 채널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덕현 이지스자산운용 개인투자팀 이사 약력
- 2005년 SAMS 투자자문팀장
- 2010년 아시아자산운용 투자운용팀장
- 2011년 하나은행 WM지원부 부동산팀장
- 2016년 이지스자산운용 개인투자팀 이사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MM PE, 교보생명 강제이행금 '항고' 법적 근거는
- [LP Radar]'기업투자 수익률 8%' 과기공, PEF 출자 보폭 넓힐까
- [Company Watch]상장폐지 후 첫 성적 낸 커넥트웨이브, '티메프' 타격
- 제이앤티씨, 오너일가 나란히 자사주 매입 "신사업 자신감"
- 아이엠, 최대주주 반대매매에 감사 의견거절까지, 지배력 '시험대'
- [Company Watch]갈 길 바쁜 소룩스, 합병심사 사실상 '원점으로'
- 'A+' 오른 삼양식품, 조달 계획 없는 이유는
- [LP Radar]'역대 최대 출자' 산재기금, PEF 시장 존재감 커진다
- [캐시플로 모니터]'흑자전환' 코디, 유동성·재무건전성 동반 회복
- [On the move]CJ제일제당, '식품성장추진실' M&A 인력 물색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우리은행, 동남아 3대 법인 '엇갈린 희비' 출자 전략 영향은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우리은행, 해외 법인장 인사 '성과주의 도입' 효과는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신한카자흐, 2년 연속 '퀀텀점프' 성장 지속가능성 입증
- [thebell note]김기홍 JB금융 회장 '연봉킹 등극' 함의
- [하나금융 함영주 체제 2기]명확해진 M&A 원칙, 힘실릴 계열사는 어디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신한베트남은행, 한국계 해외법인 '압도적 1위' 지켰다
- [하나금융 함영주 체제 2기]밸류업 재시동 트리거 '비은행 경쟁력'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NH농협, '보험 전문가' 후보군 꾸렸지만 선임은 아직
- [하나금융 함영주 체제 2기]'40년 커리어' 마지막 과업, 금융시장 '부채→자본 중심' 재편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JB금융, 사외이사 후보군 '자문기관 위주' 전면 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