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8년 02월 08일 18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한항공이 지난해 사상 최대 규모의 순이익을 냈다. 중국의 사드 보복 영향에도 불구하고 탄력적인 항공기 공급과 내국인들의 해외여행 수요가 늘어난 덕을 봤다. 그러나 2016년 대비 높아진 유가 수준과 사드 및 북핵 영향으로 수익성은 악화됐다.대한항공은 8일 지난해 매출액이 별도 기준 11조8028억원으로 전년 대비 2.6% 증가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9562억원으로 2016년 대비 11.4% 감소했다. 다만 순이익은 지난해 9079억원을 기록하면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2016년에 5914억원의 순손실을 봤다.
|
여객사업과 화물사업 모두 매출이 증가했다. 국내·국제여객에서 2016년 대비 매출이 798억원 증가했다. 특히 화물사업은 지난해 '반도체 특수'의 효과를 봤다. 2016년 대비 화물부문 매출은 무려 3650억원 증가했다. 다만 항공우주부문에서 매출이 2016년보다 1708억원 줄어들면서 매출 상승에 악영향을 줬다.
영업이익률은 2016년 대비 1.3% 포인트 줄어든 8.1%를 기록했다. 영업이익 악화는 2016년 대비 높아진 유가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연료유류비로만 2조6162억원을 사용했다고 밝혔다. 2016년 대비 19.5% 늘어난 수치다. 매출원가와 판관비도 2016년 대비 4.1% 증가했다.
대한항공은 올해 지난해 부진했던 중국 및 일본 노선에 대한 실적 회복을 기대하고 있다. 평창동계올림픽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의 개항 등으로 여객 수요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전망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중국 및 일본 노선에 대한 탄력적 공급 운영을 통해 수익 극대화를 노린다.
지난해 매출 상승을 이끌었던 화물부문도 올해 흑자 기조를 유지할 계획이다. 대한항공은 글로벌 경기가 호조됨에 따라 아시아지역의 IT 화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지배구조 분석]'2세 승계' 비츠로그룹, 계열사 재편 움직임
- [유증&디테일]주주에 손벌린 오텍, 자회사 채무상환용 조달 '눈총'
- [에이블씨엔씨는 지금]'IMM 깐부' 신유정 대표, 홀로서기도 '성공적'
- [thebell desk]바이오 트랜스포메이션(BT)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몸값 올라간 'K패션' 대표주자, 내년 상장 도전
- [캐시플로 모니터]'비상장 전환' 락앤락, 흑자 복귀 후 현금곳간 채웠다
- [thebell note]사모펀드는 기업사냥꾼일까
- [인투셀 IPO]상장 주관사에 후한 보상, 10% 신주인수권 별도 지급
- [아이스크림에듀는 지금]풋옵션 자금 조달…그룹사 참여 '상환 안정성' 확보
- '노티드' 운영사 GFFG, 실적 턴어라운드 배경은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밸류업 성과 평가]메리츠금융·카뱅만 PBR 1배 이상, 저PBR '고질병' 여전
- [밸류업 성과 평가]7할이 PBR 1배 미만, 갈길 먼 '기업가치 제고'
- [밸류업 성과 평가]'밸류업' 1년, 어디가 잘했나…지표로 분석하니
- [Financial Index/한화그룹]한화엔진, 영업익 8배 증가…수익성 제고 1위는 에어로
- [Financial Index/한화그룹]한화오션, 그룹 상장사 중 매출 성장률 '1위'
- [Financial Index/한화그룹]한화에어로, TSR 압도적 선두…솔루션 주주는 '근심'
- [Financial Index/한화그룹]한화그룹, 방산·조선 빼면 전부 PBR 0.5배 미만
- [Financial Index/한화그룹]방산·태양광 희비 '극명'…솔루션 ROE 악화 심화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잉여현금흐름 '20조' 육박…계열사 대부분 흑자
- [캐시플로 모니터]한화 3형제 가족회사 한화에너지, 가용 현금만 5000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