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신규투자 '환율 착시' 극복할까 [Company Watch]여객기 16대 도입…환율 상승시 재무지표 악화 우려
고설봉 기자공개 2018-03-07 11:07:53
이 기사는 2018년 03월 05일 16시1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한항공이 지난해 신규 항공기 도입에 따른 영업망 확대와 재무건전성 회복이라는 일석이조 효과를 거뒀다. 올해 신규 도입되는 항공기 관련 차입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한 결과다.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면서 재무지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등 관리능력이 돋보였다.다만 지난해 대한항공의 재무지표 개선은 환율 영향에 따른 일시적인 착시라는 지적이다. 환율이 하락하며 총차입금의 약 70%에 달하는 외화차입금을 원화로 계상한 규모가 줄어들었을 뿐 실제 차입금 규모는 줄지 않았기 때문이다. 향후 환율 상승시 재무지표가 다시 한꺼번에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대한항공은 올해 총 16대의 항공기를 신규 도입한다. 지난해 말 161대였던 항공기를 올해 말 177대로 늘린다. 신규 도입하는 항공기는 B777 4대, B787-9 4대, CS300 8대 등 모두 여객기로 구성된다. 장거리노선 확대와 여객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다.
대한항공이 이처럼 투자를 확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꾸준히 확장되고 있는 여객수요다. 항공시장이 폭발적으로 커지며 각 항공사들은 매년 최고 실적은 갱신하고 있다. 대한항공도 지난해 매출 11조8028억원을 기록, 2016년 대비 2.61% 매출을 불렸다.
|
항공기 추가 도입이 거의 마무리되는 가운데 지난해 재무건전성이 대거 개선되는 등 추가 투자여력도 좋아졌다는 평가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차입금의존도를 낮추고, 부채비율 등 주요 재무지표를 개선했다. 지난해 부채비율은 541.68%를 기록, 2016년 1273.54%대비 약 731.86% 포인트 하락했다.
이 같은 재무지표 개선을 이끈 것은 차입금 감축이다. 지난해 총차입금 규모는 약 13조8288억원으로 집계됐다. 2016년대비 약 10.15% 줄었다. 원화차입금이 일부 늘어났지만 차입금 중 규모가 가장 큰 외화차입금의 감소와 환율 하락이 겹치면서 전체적으로 차입금이 줄어드는 효과를 봤다.
대한항공의 총차입금 가운데 원화차입금은 지난해 4조1500억원을 기록했다. 2016년대비 원화차입금 규모가 8.4% 가량 늘었다. 전체 차입금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25.6%에서 지난해 30%로 상승했다.
반면 미화, 엔화 등 외화차입금 규모는 줄었다. 전체적으로 외화차입금 규모는 2016년 약 11조5614억원(96억불)에서 지난해 9조6788억원(91억불)으로 감소했다. 총 차입금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4.4%에서 70%로 낮아졌다.
차입금 비중이 가장 큰 미화의 경우 2016년 9조7889억원(81억불)에서 지난해 7조7141억원(72억불)로 줄었다. 엔화 등 기타통화 차입금은 2016년 1조7725억원(15억불)에서 지난해 1조9647억원(19억불)로 소폭 늘었다.
|
외화차입금 규모가 소폭 줄어든 데 이어 환율이 하락하면서 원화로 계상한 금액 자체는 낮아졌다. 2016년 12월 말 기준 1208.5원이었던 1달러당 환율은 지난해 12월 말 기준 1071.4원으로 낮아졌다. 원화로 환산한 차입금 규모가 줄면서 지난해 부채총액은 19조8909억원으로 감소했다.
환율 효과는 단순히 차입금과 부채총액을 줄이는 데 그치지 않았다. 외화차입금 감소는 외화환산차손익 흑자전환으로 이어졌다. 이에 따라 순이익도 흑자로 돌아섰고, 대규모 잉여금이 쌓이며 자본총액을 불렸다. 지난해 대한항공의 자본총액은 3조6721억원을 기록, 2016년대비 122.13% 불었다.
그러나 여전히 과도한 부채를 지고 있는 상황에서 환율 상승이 이어지면 대한항공의 재무지표는 한 순간에 무너져 내릴 수 있다는 지적이다. 외화차입금 규모가 여전히 많은 상태여서 환율 변동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항공기 도입 등 대규모 투자가 끝난 만큼 차입금 관리에 신경써야 할 때"라며 "영업현금흐름으로 차입금을 갚아나가면서 서서히 재무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코스닥 상장사 매물 분석]'잔금납입 지연' 아이에이, 불안한 '전 주인'
- [우리기술 사업 돋보기]방산 자회사 성장세 지속, 최대 실적 기대감
- [제노코 줌인]기업결합 승인 하세월, 동종업계 '변수'
- [사외이사 BSM 점검]더 커진 한진그룹, '법률·규제' 전문가 사외이사 과반
- [밸류업 성과 평가]지주사 대부분 낮은 점수, 1등 '한진칼' 선전
- [밸류업 성과 평가]롯데리츠, 리츠업계 유일 '밸류업' 성과...17위 안착
- [밸류업 성과 평가]역대급 순익 SK하이닉스, '밸류업' 무엇이 모자랐나
- [밸류업 성과 평가]삼양식품, '불닭'이 만들어준 밸류업 1위 '기염'
- [밸류업 성과 평가]SK스퀘어, SK그룹내 밸류업 성적표 '우수'
- [TAX & 밸류업]주주환원 가로막는 배당소득세…밸류업 의지 후퇴 원인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감액배당 리포트]'실적 부진' KCC글라스, 자본준비금으로 배당재원 확대
- [감액배당 리포트]HS효성, 분리독립 첫해 배당재원 3000억 장전
- [감액배당 리포트]'세금없는' 배당, 제도 바뀌기전 자금회수 '러시'
- [변곡점 맞은 해운업]SM그룹 중견해운사 버팀목 '대한해운'
- [변곡점 맞은 해운업]대한해운, 실적 성장보다 '가파른' 재무구조 개선세
- [변곡점 맞은 해운업]SM그룹 벌크 이끄는 대한해운, 호황기 지났나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한화에너지 '자생력'에 베팅했다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옥상옥’ 그룹 지배구조, 개편 없이 그대로 간다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한화에너지-㈜한화 합병 안한다’
- [윤석열 대통령 탄핵]새정부 출범 대응 고심, '무게 실리는' 재계 대관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