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국생명, 대부분 유형 수익률 '평균 이하' [변액보험 운용분석/ 보험사별 실적]국내주식혼합형·해외주식형 부진…국내주식형, '삼성그룹주' 덕 선방
최필우 기자공개 2018-07-17 08:53:42
이 기사는 2018년 07월 12일 14시4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흥국생명이 올 상반기 대부분의 변액보험펀드 유형에서 평균을 밑도는 수익률을 기록했다. 국내주식혼합형과 해외주식형의 부진이 두드러졌다. 국내주식형은 최상위권 수익률을 기록한 삼성그룹주펀드 덕분에 선방했다.12일 theWM에 따르면 흥국생명은 상반기 변액보험펀드 10개 유형 중 7개 유형에서 평균을 밑도는 수익률을 기록했다. 순자산은 지난달 말 기준 1조 2271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816억원(6.2%) 감소했다.
|
흥국생명 국내주식혼합형은 수익률 마이너스(-) 3.23%를 기록했다. 이는 업계 평균인 -2.59%를 밑도는 수익률이다. 다른 보험사들과 비교해보면 국내주식혼합형을 운용하는 19개 보험사 중 14위에 이름을 올랐다.
인덱스 전략 활용도가 높은 게 수익률 부진의 원인으로 꼽힌다. 흥국생명의 국내주식혼합형 변액펀드 4696억원 중 인덱스 전략을 사용하는 펀드의 순자산은 35.4%(1663억원)를 차지하고 있다. 올 상반기 국내 증시가 조정되면서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전략이 부진할 수 밖에 없었다는 설명이다. 국내주식혼합형은 수익률 부진 여파로 순자산이 지난해 말 대비 548억원(10.5%) 감소했다.
해외주식형은 수익률 -2.15%를 기록해 업계 평균인 -1.16%보다 약 1%포인트 낮았다. 순자산 447억원으로 규모가 가장 큰 '인베스트아시아혼합형'은 수익률 -2%로 부진했다. 상반기 아시아 지역 증시가 전반적으로 조정을 받은 게 부진 요인으로 꼽힌다. 이 변액펀드의 위탁 운용은 이스트스프링자산운용, 흥국자산운용, KB자산운용이 맡고 있다.
국내채권형은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다만 금리인상 국면에서 운용에 어려움을 겪어 0.95%를 기록하는 데 그쳤다. 이 역시 업계 평균인 1.06%를 소폭 밑도는 수익률이다.
국내주식형은 수익률 -4.88%를 기록했다. 업계 평균인 -5.80%보다 1%포인트 가량 높았다. 대다수 국내주식형 변액펀드가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한 가운데 '삼성그룹주주식형'이 1.47%로 선방한 게 수익률 하락폭을 줄일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삼성그룹주주식형은 상반기 전체 국내주식형 변액펀드 중 2위에 해당하는 수익률을 기록했다. 현재 삼성자산운용과 흥국자산운용이 위탁운용을 맡고 있다.
이밖에 국내채권혼합형(-1.38%), 국내외주식형(-2.44%), 국내외주식혼합형(-3.33%), 국내외커머디티형(-0.37%)도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코스닥 신사업 '옥석가리기']이차전지 소재사업 나선 나노실리칸첨단소재, 조달 관건
- [다시 돌아온 초록뱀 그룹]원영식 회장, 쌍방울그룹 디모아 후방지원 '눈길'
- [VC 라운지 토크]벤처투자 '친목회 교과서’ 84모임, 클럽딜 결실 '끈끈'
- [거래재개 노리는 코스닥사]엔지스테크널러지에 베팅한 다산네트웍스, 재개 촉각
- [딥테크 포커스]유라클, 기업·기관용 AI 구축 원년 기대감
- 박셀바이오, 신사옥 구축 시동…첨생법 상업화 전략 본격
- [K-바이오텍 열전]고진국 알테오젠헬스케어 대표 "테르가제 해외 진출 시동"
- [제약바이오 현장 in]큐로셀, '림카토주' 적응증 확장에 넥스트 개발까지
- [제약사 IPO 전략 점검]제일약품 체질 개선 이끈 온코닉, 확고해진 3세 승계 기반
- 각자대표 전환 제이인츠바이오, 조안나·김춘옥 투톱체제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우리은행, 동남아 3대 법인 '엇갈린 희비' 출자 전략 영향은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우리은행, 해외 법인장 인사 '성과주의 도입' 효과는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신한카자흐, 2년 연속 '퀀텀점프' 성장 지속가능성 입증
- [thebell note]김기홍 JB금융 회장 '연봉킹 등극' 함의
- [하나금융 함영주 체제 2기]명확해진 M&A 원칙, 힘실릴 계열사는 어디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신한베트남은행, 한국계 해외법인 '압도적 1위' 지켰다
- [하나금융 함영주 체제 2기]밸류업 재시동 트리거 '비은행 경쟁력'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NH농협, '보험 전문가' 후보군 꾸렸지만 선임은 아직
- [하나금융 함영주 체제 2기]'40년 커리어' 마지막 과업, 금융시장 '부채→자본 중심' 재편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JB금융, 사외이사 후보군 '자문기관 위주' 전면 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