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기 식은' 건설사 IPO, 적기 놓쳤나 주택경기 내리막, 증권사 IB 핵심 딜에서 배제
김시목 기자공개 2019-03-22 14:49:13
이 기사는 2019년 03월 19일 15시5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뜨겁게 달아오르던 건설사의 기업공개(IPO) 열기가 사그라들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미 주관사를 선정하거나 물밑에서 적극 검토해오던 상장 후보군들이 하나둘 대열에서 이탈하고 있다. 외형상 IPO 절차를 밟는 곳도 있지만 연내 완주 가능성은 불투명하다. 일부 증권사는 사실상 연내 핵심 IPO에서 건설업종 딜을 배제하는 분위기인 것으로 전해진다.건설사들은 절정의 주택 경기를 업고 상장에 나섰지만 올해 정부 규제, 업황 전망 등의 여파로 한 발 물러선 기색이 역력하다. 재무개선 목적 등 녹록지 않은 여건에 상장을 강행해야 할 명분도 없는 만큼 IPO 작업이 갑자기 탄력을 받을 가능성도 낮다는 관측이다.
지난해 이후 IPO를 검토 혹은 추진에 나선 건설사는 최소 5~6곳 가량이다. 호반건설, 보성, 홍성건설 등은 이미 주관사를 뽑았다. 댐 붕괴 사고 직전 RFP를 발송하려던 SK건설, 그룹 계열사 IPO 행렬 속에 유력 거론된 롯데건설, 포스코건설 등도 후보군이었다.
IPO 검토 혹은 추진을 결정한 지난해만 해도 건설사들의 열기는 최근 수년 중 가장 뜨거웠다. 2013년 해외 사업 어닝쇼크 등의 여파에 따른 오랜 침체기에서 벗어났다. 주택경기를 업고 건설사들은 호실적을 누렸다. 기상장 건설사 주가 역시 탄탄한 모습이었다.
하지만 주택경기가 지난해 정점을 찍고 난 올해 분위기는 조금씩 가라앉는 분위기다. 업계의 경기 및 실적 전망 역시 불투명한 상황이 되면서 증시 문턱은 더욱 높아졌다. 주관사 선정을 마친 곳들은 물론 상장을 적극 검토해오던 건설사들은 하나둘 발을 뺐다.
실제 대형 건설사는 올 들어 검토 자체를 접은 것으로 전해진다. 호반건설은 연내 완료 공표 속에 절차를 밟고 있지만 예비심사 등 일정을 확정하지 못하고 시장 상황에 따른 대응전략을 펼치고 있다. 보성은 상장 관련 절차를 아예 진행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
업계에서는 '정중동' 행보로 IPO 절차를 밟고 있는 건설사들도 있지만 현실적으로 증시 입성을 마무리하기까진 적잖은 걸림돌이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 상장 추진 당시보다 낮아진 몸값을 발행사가 수용할 수 있는 지를 고려하면 변수가 상당하다는 분석이다.
증권사 역시 올해 주요 딜 명단에서 건설업종을 제외하는 경우가 나오고 있다. 주관사 선정을 마친 곳은 언제든 추진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발행사들의 의지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발행사 입장에서 낮은 몸값에 상장을 강행해야 하는 명분이 낮다는 판단이다.
시장 관계자는 "건설업종에 대한 현재 상황과 전망 등을 고려하면 지난해 만큼의 밸류에이션을 인정받긴 힘든 게 사실"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강행하는 것은 꼭 해야하는 명분이 있어야 하지만 그런 부분도 없고 오히려 쌓아놓은 외부자금은 넉넉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오르비텍, 방사성폐기물 처리 신기술 도입
- 대우건설, 해외시장 진출 '박차'
- [Company Watch]온타이드, 매출절반 차지하는 해외법인 부진 지속
- [ESS 키 플레이어]한중엔시에스 '국내 유일 수랭식 공급' 가치 부각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빗썸, 비언바운드 법인 청산…해외사업 '고배'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투자 대폭 늘렸는데도 '무차입 기조' 유지
- [i-point]서진시스템 "베트남 대상 상호관세 부과 영향 제한적"
- [저축은행경영분석]굳건한 1위 SBI저축, 돋보인 '내실경영' 전략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iM라이프, 4달만에 후순위채 또 발행…힘에 부치는 자력 관리
- [저축은행경영분석]J트러스트 계열, 건전성 개선 속 아쉬운 '적자 성적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