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성장금융, 소부장 투자펀드 출자 착수 블라인드펀드 1200억 투입 2곳 선정, 프로젝트펀드 1000억 위탁
이윤재 기자공개 2020-01-08 08:10:19
이 기사는 2020년 01월 08일 08시0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산업은행과 한국성장금융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전용 투자펀드 위탁운용사 선정에 착수한다. 블라인드와 프로젝트로 펀드를 구성해 다양한 소부장 기업에 자금이 지원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산업은행과 한국성장금융은 소부장 전용 투자펀드 출자사업에 착수했다. 이번 출자사업은 산업은행이 블라인드 펀드, 한국성장금융이 프로젝트 펀드를 조성하는 형태로 이원화됐다. 블라인드 펀드는 위탁운용사 2곳을 선정할 예정이며, 프로젝트 펀드는 수시출자 형태로 진행한다.
블라인드펀드는 2개 위탁운용사에 1200억원을 출자한다. 각 펀드별 최소 결성금액은 1000억원이며 최대 2000억원 이내다. 다만 부득이한 경우에 한해 정책출자자 협의를 거쳐 결성 규모를 조정할 수 있다.
주목적 투자 대상은 소부장 관련 기업이다. 중소벤처기업부, 산업통상자원부와 같은 정부 및 유관기관에서 선정하는 소재·부품·장비산업 관련 기업 등이 해당된다. 주목적 투자비율은 결성금액의 60% 이상이다.
관리보수는 펀드 결성금액 기준 구간별로 누적 적용된다. 500억원 이하는 2%, 1000억원 이하는 1.5%, 1000억원 이상은 1%다. 예를 들어 1000억원 규모로 펀드가 결성되면 관리보수율은 1.75% 이내가 된다.
성과보수 허들레이트는 IRR 5%다. 일반적인 벤처펀드 기준수익률인 IRR 8%보다 낮다. 운용사 자금모집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초과수익 이전, 후순위 보강 등 민간 출자자에 대한 인센티브도 제공한다. 운용사도 신주 보통주 투자실적 비율에 따라 추가 인센티브를 지급받는다.
이달 말까지 제안서를 접수받아 심사 작업에 돌입한다. 서류 및 구술심사 등을 거쳐 내달말 최종 위탁운용사를 선정할 예정이다. 펀드 결성 시한은 운용사 선정 이후 5개월이며 협의에 따라 5개월 이내로 연장이 가능하다.
프로젝트펀드는 총 1000억원 출자 예정이다. 펀드별로는 최대 300억원까지 배정된다. 운용사들은 각자 상황에 맞춰 펀드 결성금액, 출자요청 비율 등을 한국성장금융에 제안하면 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세라젬, 안전보건 국제 표준 인증 'ISO 45001' 획득
- [i-point]TKENS, 전장 램프 제습 모듈 글로벌 공급사 확대
- [캐시플로 모니터]현금흐름 흑자 무신사, 순이익+운전자본 최적화 효과
- [VC 투자기업]자비스앤빌런즈, AI 개인화 서비스 강화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점포 매각대금 수령 '난항', 채무 상환 차질로 이어질까
- [캐시플로 모니터]더본코리아, 실적호조에도 순현금유출 까닭은
- [롯데칠성 해외사업 점검]바틀링·직수출 투트랙 전략…종착점은 '롯데 브랜드'
- [정용진 회장 취임 1년]'CJ·알리바바' 신세계 이커머스 살릴 동아줄 될까
-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지금]R&D로 쌓은 수출 경쟁력,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 안착
- [LGU+를 움직이는 사람들]'관 출신' 권용현 전무, 하락세 기업부문 살리기 미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