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O 워치]SK가스, '에너지 왕국' 건설 위한 자금 전략은단기차입 위주 차입 구조 변화 전망
박기수 기자공개 2020-02-24 08:49:29
이 기사는 2020년 02월 20일 15시5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액화석유가스(LPG) 트레이딩 업체 SK가스는 이제는 에너지를 수입하고 저장·운반하는 역할에 그치지 않으려 하고 있다. 회사가 보유한 최대 LPG 저장기지가 있는 울산에 발전소를 짓고 에너지를 직접 생산하려는 꿈을 갖고 있다. 201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발전소 프로젝트는 여러 우여곡절 끝에 상업 생산 목표를 2024년으로 잡은 상태다.◇발전소 건립 계획부터 함께한 재무 전문가 누구?
SK가스의 에너지 발전 사업 진출 계획의 시작점은 '동부발전당진' 인수였다. 당시 SK가스는 산업은행과 함께 동부발전당진의 지분 60%를 인수하며 석탄 발전 사업을 계획했다. 시점은 2014년 말이다.
이후 SK가스는 동부발전당진의 사명을 '당진에코파워'로 바꾸고 미래 세울 발전소의 발전 양식 종류를 석탄 발전에서 LNG·LPG 발전 방식으로 바꾸는 '대형 변화'를 마주했다. 정부가 주도한 미세먼지 대책 때문이었다. 이미 석탄발전사업에 대한 수 차례 유상증자를 마친 뒤였다. 결국 당진에코파워는 2018년 발전사업허가 변경과 함께 사업 구조 자체를 바꿔버렸다. 법인을 음성·울산·당진으로 바꾸고 음성은 공기업이, 울산은 SK가스가, 당진은 공동 운영하기로 한 것이다.
현재 SK가스는 울산 법인(울산GPS)을 운영하며 2024년 상업 생산을 목표로 환경영향평가 등 사업 추진을 위한 제반 사항을 준비 중이다.

이해원 본부장의 SK가스 커리어를 되짚어보면 그를 최고재무관리자(CFO)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을 정도다. 다만 SK가스 내에는 CFO라는 공식 명칭이 아직 없다. 지난해부터 '재무관리실장'이라는 직책이 생겨 이 본부장의 후임 격인 이성모 실장(사진)이 이 직책을 맡고 있다. 현재 SK가스 내에서는 이성모 실장이 CFO 역할을 맡고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다만 이성모 실장이 재무관리실장으로 부임한 시점이 지난해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발전 사업 진출 과정에서 있었던 재무쪽 최고 관리자는 이해원 본부장이라고 볼 수 있다.
◇단기차입 위주 차입 구조 변화 생길까
2010년대 초만 해도 SK가스는 전체 차입금의 대부분을 단기차입금으로 운영하던 회사였다. LPG 트레이딩 사업을 하며 장기적 관점에서 투자 이슈가 적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011년 말 SK가스의 별도 기준 단기차입금 비율은 무려 90%다.

이해원 본부장이 SK가스로 온 뒤 회사의 차입 전략은 어떻게 바뀌었을까. SK가스 별도 재무지표를 놓고 보면, 발전소 건립 결정 시점 이후 단기차입금이 소폭 줄어드는 모습이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SK가스의 단기차입금 비율은 33.9%다. 이 본부장이 부임한 2014년 말 SK가스의 단기차입금 비율은 67.2%였다.
지난해의 경우 새로운 회계기준 도입으로 그간 부채로 잡히지 않던 '리스부채'가 새롭게 부채로 잡히기 시작했다. 이에 선박 리스 등으로 약 4000억원 이상의 리스부채가 장기차입금으로 산입됐다. 앞서 언급된 단기차입금 비율 등은 새롭게 추가된 장기리스부채를 제외한 값이다.
단기차입금 비율이 줄어드는 대신 회사채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도 눈여겨 볼 점이다. 2010년대 초만 해도 거의 회사채를 발행하지 않았던 SK가스는 현재 전체 차입금의 약 20~30%를 회사채로(2019년 3분기 말 기준 29.1%) 구성하고 있다. 사채 시장의 저금리 기조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재계는 향후 SK가스의 단기차입금 비중이 더욱 낮아질 여지가 있다고 해석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단기차입금의 경우 한 기업이 운영 자금 등을 단기적으로 사용할 이슈가 있는 경우 주로 빌린다"면서 "발전소 건립 등은 1년 안으로 해결될 수 있는 이슈가 아니기 때문에 1년 이상의 회사채 비중이 더욱 높아질 확률이 높다"고 분석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고수익 제품군 중심' 아나패스, 영업이익률 대폭 개선
- [Policy Radar]MG손보, '가교보험사' 거쳐 정리한다
- [캐피탈사 해외법인 실적 점검]IBK캐피탈, 신규 영업 위축 지속…미얀마 사업 정상화는
- [카드사 글로벌전략 점검]신한카드, '카자흐 질주'로 재도약…베트남도 기지개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미래에셋생명, 손실흡수력 탄탄…자본 하방 압력도 선방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은행과 기업 플랫폼, '경쟁자→동반자' 인식 바뀌었다
- [디지털 보험사 리포트]신한EZ손보, 실적 고민 속 더딘 디지털 색 내기
- [thebell interview]"수탁고·수수료수익 '200-200클럽' 조기달성할 것"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중금리' 힘준 다올저축, 빅테크 손잡고 영업채널 확장
- [부고]김도현(더벨 산업2부 기자)씨 모친상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더본코리아 재무 분석]백종원식 가맹 사업 중심 사업 모델의 '명암'
- [더본코리아 재무 분석]'2000억 현금 창고'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 [조선업 리포트]한화엔진, HSD 시절보다 높아진 이사회 전문성
- [유동성 풍향계]'유심 해킹 사태' SK텔레콤, 재무 완충력은
- [조선업 리포트]한화엔진, 한화의 '한 수'…적중한 인수 의도
- [비용 모니터]원가 부담 덜어낸 삼성SDI, 실적 회복 추진력 얻었다
- [저평가 시그널: PBR 0.3]삼천리, 쌓이는 현금에도 0.1~0.2배 박스권
- [CFOs View]캐즘 저물어가나…배터리·양극재 업체들의 전망은
- [저평가 시그널: PBR 0.3]'자산 절반이 현금' 태광산업, 오너 부재 여파 컸다
- [저평가 시그널: PBR 0.3]롯데그룹, '양대 축' 유통·화학 저평가 타개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