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랭클린템플턴운용, 키움운용 '펀드 이관' 가닥 이달 내 결론…"프랭클린템플턴 국내 사업 철수 의지 강해"
김진현 기자공개 2020-03-24 08:07:39
이 기사는 2020년 03월 20일 10시5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6개월 가까이 이어지던 키움투자자산운용의 프랭클린템플턴투자신탁운용 인수는 이달 내 결론이 날 전망이다. 키움자산운용이 프랭클린템플턴투신운용을 직접 인수하지 않더라도 펀드 이관을 통해 프랭클린템플턴투신운용이 국내 사업을 철수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2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키움투자자산운용이 추진 중인 프랭클린템플턴투자신탁운용 인수 딜은 이달 내 마무리될 예정이다. 키움투자자산운용은 지난 9월 이후 6개월여간 이어져온 프랭클린템플턴투신운용 인수 딜에 대한 검토를 이달 내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프랭클린템플턴투신운용이 국내 펀드 사업을 접으려는 의지가 확고한 것으로 알고 있다"라며 "공동 대표인 마크 브라우닝 이사가 국내 사업 매각 작업을 주도하면서 본사와 밀접하게 소통 중인 것으로 안다"라고 말했다.
가장 유력한 안은 과거 JP모건자산운용이 한화자산운용에 펀드를 이관하고 사업을 국내 사업에서 손을 뗀 것처럼 프랭클린템플턴투신운용도 현재 운용 중인 펀드를 키움자산운용에 이관하는 것이다. 키움자산운용이 프랭클린템플턴투신운용을 직접 인수한다면 인력 등도 함께 떠안아야 해 득보다 실이 많다는 평가다.
키움자산운용은 현재 외형이 줄어든 프랭클린템플턴투신운용 인수로 얻을 수 있는 실익이 제한적이라고 보는 것으로 풀이된다. 결산월이 3월인 프랭클린템플턴투신운용은 지난 9월말(반기) 기준 순이익으로 -13억원을 기록했다. 2018년 9월말 기준 105억원이던 수수료수익도 지난해 69억원으로 36억원(34.3%)가량 감소했다.
본래 키움자산운용이 프랭클린템플턴투신운용 인수를 추진한 이유는 크게 두가지였다. 프랭클린템플턴투신운용과 계약을 맺고 있는 연기금 등 기관투자가 자금을 확보해 외형을 확대하는 목적이 첫번째다. 김성훈 대표가 취임 이후 일관되게 강조하고 있는 해외투자 강화 목적이 두번째였다.
외형이 줄어든 탓에 키움자산운용이 추진한 첫째 목표는 달성이 어려워 진 것으로 보인다. 인수를 추진했던 9월말 기준 일임계약 잔고는 8261억원이었지만 12월말 기준 6933억원까지 계약고가 줄어들었다. 사업 철수설 등이 이어지면서 기관 자금이 1328억원(16%)가량 이탈한 것이다. 일임계약은 23건에서 13건으로 10건이나 줄었다.
펀드 설정액도 감소했다. 9월말 6748억원이던 설정액은 12월말 4562억원으로 2186억원(32.4%)가량 줄었다. 수익에 영향을 미치는 순자산가치(NAV) 기준으로 보더라도 5996억원이던 순자산총액은 12월 4285억원으로 1711억원(28.5%) 감소했다.
외형이 줄어든 프랭크린템플턴투신운용을 인수하면서 인력 등을 떠안아야 하는 부담을 지는 대신 펀드 이관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12월말 기준 프랭클린템플턴투신운용의 임직원은 총 37명이다. 이 가운데 임원을 제외한 정규직 및 비정규직 직원만 떠안더라도 31명의 자리를 만들어야 한다.
비용도 만만치 않다. 지난해 12월말 기준 프랭클린템플턴투신운용 직원 급여는 81억원이다. 151명의 직원이 근무하는 키움자산운용의 12월말 기준 직원 급여인 125억원인 점을 감안하면 개인당 급여가 상당히 높은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지난 2017년 JP모건자산운용 국내 사업 철수 당시 펀드 이관을 추진하다 한화자산운용에게 고배를 마신 키움자산운용은 세 차례의 인수 도전 끝에 결실을 보게 됐다. 지난해 하이자산운용(현 브이아이자산운용)이 시장 매물로 나왔을 당시에도 키움자산운용은 관심을 표한 바 있다.
김성훈 키움투자자산운용 대표는 "신의성실의 원칙에 따라 프랭클린템플턴투자신탁운용과 인수와 관련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라며 "이달 중 어떤 식으로든 결론이 날 것으로 보고 있다"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동인기연, 필리핀 바타안경제특구청과 협력 강화
- [i-point]태성, 임대공장 계약 "복합동박 장비 초도물량 대응"
- [상호관세 후폭풍]중국·베트남 생산비중 높은 HS효성, '고관세' 영향 불가피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동국산업, 손익 '엇박자'…영업흑자에도 순손실 300억
- [Red & Blue]무상감자에 관세 전쟁까지...'신저가' 찍은 KG모빌리티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유니드, 고ROE와 상반된 PBR…중국공장 신설효과 기대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이사회 '오너 3세' 주축…'역할 분배' 뚜렷
- NH증권 점프업리그, 해외로 확장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KG스틸, 그룹내 '유동성 창출' 중심 부상
- KB국민은행, 가판대 대폭 조정…한·중 펀드에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