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전체기사

오리온, '규모의 경제'가 만든 中 수익성 마법 3월 영업이익률 31%, 평상시 두배…마케팅 없이 매출확대로만 마진 개선

최은진 기자공개 2020-04-24 08:04:17

이 기사는 2020년 04월 23일 14:31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식품업계에서 두자릿수 영업이익률을 기록하기란 쉽지 않다. 생활경제와 밀접한 제품인 만큼 가격을 올리기 쉽지 않아 마진율을 높이기 어려운 구조다. 상대적으로 가격조절이 용이한 해외시장은 그나마 상황이 좀 낫다.

그런 의미에서 오리온이 최근 중국시장에서 영업이익률 30%를 기록한 것은 꽤 경이로운 성과로 꼽힌다. 이렇다 할 마케팅이나 비용절감 전략 없이 오로지 규모의 경제만으로 실현한 수익성이라는 데 주목된다. 중국에서 한번 잭팟이 터지면 얼마나 높은 수익성을 기록할 수 있을지를 보여준 단적인 예로 회자된다.

오리온은 일찌감치 해외시장에 눈돌리며 중국과 베트남, 러시아에 각각 법인을 설립하고 현지화에 힘을 쏟았다. 특히 중국시장을 적극 공략하기 위해 'Orion Food Co., Ltd.' 등 9개 법인을 설립했다. 베트남과 러시아 법인은 오리온의 종속기업으로, 중국법인은 홍콩에 세운 해외지주사 'PAN ORION Corp. Limited.'를 통해 거느리는 형태의 지배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해외법인의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의 약 68%로 압도적이다.

코로나19가 강타한 올해 역시 해외매출은 호조세를 보였다. 재택근무가 확대되고 사재기 열풍까지 불어닥치면서 과자나 비스킷류의 소비가 덩달아 확대됐다. 올해 1분기 해외법인의 매출 총액은 3529억원으로, 전년도 3228억원보다 9.3% 증가했다. 같은기간 국내 매출은 이보다 낮은 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베트남과 러시아 법인이 각각 23%, 32% 증가하며 매출 견인차 역할을 했다.


이번 해외 매출 호황기에 특히 눈에 띄는 부분이 있다면 중국의 수익성이다. 코로나19가 한창 정점에 달했던 3월 중국에서 처음으로 영업이익률 31%를 찍었다. 중국에서는 물론 오리온 전체적으로도 처음인 역대 최대 수익성 기록이다.

중국 현지법인 9곳의 총 매출액은 1176억원, 영업이익은 368억원이다. 코로나19확산의 초창기였던 1월과 2월 매출액이 각각 946억원, 507억원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갑자기 3월에 폭발적으로 장사가 잘 됐던 셈이다. 코로나19사태가 본격적으로 불거진 데 따른 수혜로 해석된다.

오리온은 중국 지역 내 일반 슈퍼마켓이 아닌 대형마트나 편의점, 기업형 슈퍼마켓(SSM) 등 대량으로 판매할 수 있는 점포를 중심으로 판매전략을 펼친다. 반면 현지의 경쟁제품들은 일반 슈퍼마켓 등을 기반으로 영업한다. 코로나19로 지역 슈퍼마켓이 대부분 셧다운 되면서 구매인파가 대형마트 등에 몰렸다. 매대에 더 많이 깔려 있는 오리온 제품이 현지 경쟁제품을 제치고 흥행을 일으킨 것은 당연한 결과였다.

오프라인 점포 매출 비중은 전체의 42% 비중에서 50%를 넘었다. 온라인 매출 비중도 기존 7%에서 10%로 증가했다.

매출이 평상 시의 두세배 가량 늘면서 원가절감 효과도 누릴 수 있었다. 보통 중국법인의 영업이익률은 약 10%대를 유지했다. 지난해 같은기간 영업이익률은 15.4%, 연간으로는 16%였다. 코로나19로 매출이 급격하게 확대되면서 수익성을 평상시보다 약 두배가량 높이는 효과를 본 셈이다.

판매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을 풀가동 하면서 단위당 원가가 낮아지며 마진율이 상승했다. 매출을 늘리기 위해 특별한 프로모션이나 이벤트 등 마케팅을 따로 하지 않았기 때문에 추가 지출되는 비용도 없었다. 고정비는 그대론데 매출원가가 낮아지면서 수익성이 치솟은 셈이다.

순수하게 매출확대로 수익성 올린, 전형적인 '규모의 경제' 효과라고 볼 수 있다. 이에대해 오리온 안팎에서는 중국시장의 저력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하고 있다. 매출확대가 가져오는 파급을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는 설명이다.

오리온 내부 관계자는 "감가상각비나 관리직 인건비 등은 매출이 늘어난다고 같이 올라가는 게 아니고 특별한 마케팅 비용을 쓰지 않고도 매출이 확대된 것인만큼 전형적으로 규모의 경제가 실현된 결과"라며 "대형마트 등 벌크로 판매할 수 있었던 전략과 온라인을 혼합한 판매전략이 현 코로나19 사태에 잘 맞아떨어졌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더벨 서비스 문의

02-724-4102

유료 서비스 안내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이진우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김용관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