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0년 05월 20일 07시0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약한 고리 하나가 전체 사슬의 강도를 결정한다. 이른바 ‘미니멈의 법칙’이다. 독일 화학자 유스투스 폰 리비히가 제시한 개념인데 공모 회사채 시장에 빗대니 딱 어울린다. 공모채 시장에서 A급 이하 비우량채가 존재감을 잃자 전체 시장의 활기가 사라졌다. 3~4월 A급 이하 비우량채 발행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조 단위로 감소하면서 전체 공모채 시장도 크게 위축됐다.정부가 공모채 시장을 되살리려고 각종 정책을 내놨지만 정작 비우량채 발행사들은 입맛만 다시는 눈치다. 회사채 신속인수제도는 자칫 유동성 위기 기업으로 낙인찍힐 우려가 있다. P-CBO로 가자니 자금집행까지 시간이 걸리는 데다 조달금리도 알 수 없다. 저신용등급 회사채·CP를 매입하기 위한 SPV 설립안도 나왔지만 갈 길이 멀어보인다.
A급 발행사들이 가장 눈여겨 보는 회사채 차환 지원 프로그램도 마찬가지다. 이 프로그램은 KDB산업은행이 인수단으로 참여해 공모채 수요예측에서 발생한 미매각분을 가장 먼저 인수하는 것을 뼈대로 한다.
시행된 지 약 한 달이 지났지만 시장기대에는 못 미친다는 평가가 많다. 채권시장 안정펀드가 ‘밀어주고 끌어주는’ AA급 공모채에 치중됐기 때문이다. 3월 이후 산업은행이 인수단으로 참여한 공모채 딜 중 A급은 한일홀딩스뿐이다. 얼마 안 되는 실탄 중 수천억원이 시장의 관심을 한몸에 받는 AA급에 쏠린 것이다. 취지와 달리 산업은행이 인수한 미매각분도 거의 없다.
물론 산업은행의 입장도 이해는 된다. 비우량채 발행량이 워낙 적어 지원하고 싶어도 돕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수요예측에서 흥행할 법한 발행사는 산업은행을 배제하고, 상황이 어려운 곳은 아예 발행을 미뤄버리니 본래 취지대로 제도를 운영하기 힘들었을 터다. 그러나 그렇게 시간이 흐르는 동안 경쟁력 있는 발행사들은 공모채 시장을 떠나 사모채 시장으로 숨거나 은행대출 확대로 가닥을 잡았다.
올해와 달리 지난해는 그야말로 비우량 공모채의 전성기였다. 비우량 기업의 조달안정화에 힘입어 시장 발전과 신용위험 축소라는 공모채 시장의 취지가 되살아나는 듯 보였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로 선순환 구조는 찬물을 맞았다.
산업은행의 역할은 이런 선순환 구조가 다시 활기를 띠도록 불씨를 되살리는 것이다. 기회는 여전히 남아있다. 6월과 7월에만 각각 약 1조원가량의 A급 회사채 만기가 돌아온다. 약한 고리가 강해져야 전체 사슬이 튼튼해진다. 주요 대기업으로 포진된 비우량채 시장이 살아나야 전체 공모채 시장이 활기를 띤다. 헐거워진 사슬을 다시 조이려면 약한 고리 보수가 우선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딥테크 포커스]유라클, 기업·기관용 AI 구축 원년 기대감
- 박셀바이오, 신사옥 구축 시동…첨생법 상업화 전략 본격
- [K-바이오텍 열전]고진국 알테오젠헬스케어 대표 "테르가제 해외 진출 시동"
- [제약바이오 현장 in]큐로셀, '림카토주' 적응증 확장에 넥스트 개발까지
- [제약사 IPO 전략 점검]제일약품 체질 개선 이끈 온코닉, 확고해진 3세 승계 기반
- 각자대표 전환 제이인츠바이오, 조안나·김춘옥 투톱체제
- [코스닥 주총 돋보기]'상장폐지' 대유, 주주제안 안건 부결
- [코스닥 주총 돋보기]'재선임' 우혁주 온타이드 대표, 적자 탈출 관건
- [코스닥 CB 만기도래]아이씨에이치, 첫 청구기간에 풋옵션 100% 행사
- [동원의 CFO]'기술 경영' 재무 조력자 동원시스템즈 원종훈 CFO
이지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 분석]하이브, '대기업 리스크 대응' 사외이사진 재편
- [상호관세 후폭풍]쇼크에도 K팝 엔터주는 '웃었다'
- [탈한한령 훈풍 부는 콘텐츠기업들]잠잠한 듯했는데…JYP엔터의 중국 굴기 '반격 노린다'
- 엔터4사 주총, 말의 온도와 숫자의 무게
- [이사회 모니터/SOOP]‘비욘드 코리아’ 달성 목표, 글로벌 인사 전진배치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하이브 이재상 "어도어 사태, 멀티 레이블 튜닝 중 진통"
- [이사회 분석]NEW, 유제천 사장 포함 5인 재신임 ‘안정 택했다’
- [K-팬덤 플랫폼, 뉴 패러다임]카카오엔터, '베리즈'로 K컬처 통합 팬덤 플랫폼 야심
- [Company Watch]NEW, 2년 연속 적자…승부는 올해부터
- [Company Watch]하이브 흔든 BTS 공백, 뉴진스 리스크는 ‘올해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