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M생명과학, 바이오업계 첫 전문경영인 성공사례 녹십자·종근당 출신 이병건 대표…M&A·기업공개 등 성과
민경문 기자공개 2020-06-11 07:57:05
이 기사는 2020년 06월 10일 16시0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바이오텍 경영은 ‘연구자’ 중심이 대부분이다. 창업자가 R&D를 책임지고 최대주주로서 경영을 전담하는 식이다. 전문경영인 체제는 비(非) 바이오기업에서나 가능한 일인 것처럼 여겨졌다.SCM생명과학은 이 같은 기존 공식을 깨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시장의 눈길을 끌고 있다. 2년 전 회사로 스카우트된 이병건 대표가 그 주인공이다.
SCM생명과학은 송순욱 인하대 교수의 줄기세포 연구가 시작이었다. 한진그룹이 그의 기술을 바탕으로 2008년 호미오세라피(현 SCM생명과학)를 설립했다. 한진은 지주회사 재편 과정에서 주력인 항공사업과 연관성이 낮고 누적된 영업적자로 이익실현이 요원하다는 판단 하에 2014년 청산을 결정했다.
회사는 청산됐지만 송 교수를 포함한 인력과 기술은 그대로 살아있었다. 송 교수는 신규 투자자를 모아 SCM생명과학을 새로 만들었다. 다만 최대주주인 송 교수는 R&D에 전념하기 위해 외부에서 CEO를 뽑기로 했다. 스카우터는 벤처캐피탈이었다. 한국투자파트너스의 김연준 상무가 녹십자, 종근당 등 국내 굴지의 제약사를 이끌던 이병건 대표를 영입했다.

이 대표의 SCM생명과학 지분은 2.53% 밖에 되지 않는다. 하지만 최대주주인 송 교수(21.96%)는 이 대표에 전권을 위임했다. 그는 오랜 기간 쌓아온 해외 빅파마들과의 네트워킹 이력 등을 바탕으로 SCM생명과학의 체질 개선에 착수했다. 줄기세포업체로만 알려져 있던 SCM생명과학이 M&A에 본격적으로 나선 시점이기도 하다. 이 대표는 녹십자나 종근당에서 번번이 막혔던 M&A 거래를 신생 바이오텍을 통해 현실화시켰다.
작년 제넥신과 함께 인수한 미국 코이뮨이 대표적이다. IPO를 앞두고 줄기세포에 이어 항암제 파이프라인를 장착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후 코이뮨을 통해 이탈리아 바이오 회사인 포뮬라를 사들이며 항암제 후보물질을 추가했다. 밸류에이션 상승 추이만 보면 초기 투자액의 몇 배 되는 금액을 M&A를 통해 창출했다. 임상 3상 도전과 라이선스아웃(L/O) 등을 넘어서 국내 바이오기업의 새로운 사업 모델을 제시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이 대표는 회사에 걸맞게 사명을 바꾸기도 했다. SCM의 약자를 줄기세포에 국한하지 않고 'Specialized Cell Medicine(세포치료제 전문 업체)'로 바꾼 점도 M&A를 통한 오픈이노베이션 행보라는 해석이다. 한 VC 관계자는 “파이프라인 자체도 중요하지만 CEO 한 명이 바이오기업을 얼마나 변화시킬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라며 “이 대표가 SCM생명과학의 밸류에이션에 차지하는 비중도 상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SCM생명과학은 최근 일반 투자자를 대상으로 이뤄진 공모주 청약에서 경쟁률이 814.91대 1을 기록했다. 청약 증거금은 약 2조 5000억원에 달했다. 앞서 수요예측에서는 기관들이 몰리며 밴드 상단인 1만7000원으로 공모가가 정해졌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킵스바이오파마, 암·당뇨 환자 구내염 치료제 '뮤코사민' 대만 판매
- [Auction Highlights]고미술 강한 서울옥션, 광복 80주년 맞아 '옛것' 재조명
- [SK스퀘어의 새판짜기]'음악회사' 거듭난 드림어스, 손익개선·주가부양책 '고심'
- [thebell interview]"앤틀러코리아, 창업팀 키워 투자…매년 20팀 발굴"
- [VC 투자기업]아이쿠카, 사용자 활동성 지표 시중은행 추월
- [VC 경영분석]파트너스인베, '성과보수' 증대…조합청산 효과
- [VC 투자기업]'흑자 지속' 스트리밍하우스, 일본 진출 가속
- [VC 투자기업]델타엑스, 150억 시리즈A 시동…연구개발 총력
- [thebell interview]"신한벤처, 투자·관리 '상향평준화'…자생력 키울것"
- 크래프톤의 '격'